• 제목/요약/키워드: Small librarie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1초

운영진단을 통한 유형별 작은도서관 사례분석 연구 (A Case Study on Measures to Revitalize Small Libraries of the Type through Operational Diagnostic)

  • 조미아;변현주;김보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93-31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 부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은도서관의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전국 작은도서관 중 등급별, 유형별, 이용대상별 22개관의 작은도서관을 선정하였으며 직접 작은도서관을 방문하여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도서관 운영담당자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작은도서관 활성화방안으로 사서자격증 소지자 인센티브 부여, 도서관리 프로그램 무상 보급 및 교육, 지자체의 정기적인 도서 지원 정책, 운영 평가를 위한 차등 지원, 이용자서비스 가이드라인 설정, 공공도서관과의 협력 등을 제시하였다.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the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 노영희;최만호;김윤정;장로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71-95
    • /
    • 2020
  • 국내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에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비율이 42%에 이르고 있으나, 법적 의무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들이 자발적 의지에 의존하여 관리·운영됨에 따라 휴관·폐관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지 내 마을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통해 활성화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작은도서관의 현황 조사,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공동체 인식 개선, 자체 운영 능력 배양, 법·제도 개선, 지자체의 지원 강화의 4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뿐 아니라 타 사립작은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재건축 아파트 단지 내 작은 도서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J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a Small-Size Public Library in the Area of the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A Case Study of J Apartment Complex in Seoul)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29-448
    • /
    • 2008
  • 우리나라에 공공도서관이 많이 없다. 그 이유는 국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중앙 및 지방정부의 도서관건립에 대한 인색한 투자와 함께 효과적인 공공도서관 건립정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 선진국과 같은 작은 도서관 건립 및 운영 정책을 펴야 한다. 지역 재개발 및 아파트 재건축 추진은 이들 지역에 작은 규모의 마을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서울에 있는 J아파트는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시점에서 새로운 위치로 옮겨가는 동사무소와 우체국을 하나의 건물로 신축하고, 이 건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들 시설들과 함께 1층에 배치한다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세 기관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처럼 재개발 및 재건축 지역에 공공기관 혹은 상엽시설과 함께 복합건물 형태로 작은 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부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PDF

서울시 작은도서관의 자치구별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mall Libraries in Seoul by Autonomous District)

  • 노영희;한문성;이근화;최만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1-1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작은도서관에 대한 각종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작은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운영방식이 상이한 자치구의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된 운영방식을 제안하여 자치구별 작은도서관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획일적인 예산지원 및 지도관리가 아니라 운영주체에 따른 운영 특성을 감안하여 공립과 사립이 구분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서울시에 산재된 작은도서관들은 각자의 설립주체에 의해 공중의 생활권역에서 지식정보 및 독서문화서비스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 되었다. 따라서 질적인 면이나 양적인 면에서 이용자의 욕구 충족 여부를 떠나 설립 목적에 부합하게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서울시가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관리하려고 하다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관련 조례에 근거하여 제한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 동기 탐색 (Exploring Users' Motivation in Using Small Library)

  • 나경식;정용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409-434
    • /
    • 2023
  • 작은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빈 틈을 매울 수 있는 지역공동체의 구성원을 위한 문화적인 소통과 교육적인 체험의 장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은도서관의 이용자들의 이용동기를 조사하였다. 작은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4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면접을 실시하여 그들의 경험에서 나온 인식을 네 가지 카테고리,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작은도서관은 네 가지 동기 분류와 관련한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분석, 관리, 설계하면 지역공동체 주민들이 작은도서관을 찾는 기회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for the Activation of Small Library)

  • 김보일;김홍렬;이보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7-175
    • /
    • 2020
  • 이 연구는 사회적 관심의 증대와 작은도서관 관련 독립법률인 「작은도서관 진흥법」의 제정 등을 통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작은도서관에 대하여 활성화 부진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정책 및 지원과 법규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및 과제를 제안하였다.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는 '지역주민의 행복한 삶을 지원하는 작은도서관 활성화'라는 비전과 '포괄적 정책 근거, 정책 체계 혁신, 지속할 수 있는 운영 지원'의 핵심가치 아래 '정책기반 마련 및 실천 동력 확보를 위한 법·제도 개선', '정책 단위별 역할 재정립 및 협력체계 강화', '작은도서관의 안정적 운영지원체계 구축'이라는 3가지 추진과제와 14가지 세부과제로 구성하였다.

작은도서관 장서개발 과정에 관한 현상적 연구 (A Descriptive Study 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es in Small Libraries)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03-221
    • /
    • 2011
  • 이 연구는 작은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서개발 과정을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장서의 중요성과 주로 소규모장서로 운영되는 작은도서관의 특성에 비추어 볼때 특히 작은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중요성은 재론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작은도서관은 자료구입 예산의 부족, 전문사서의 부재, 운영자의 비전문성과 과다한 업무, 잦은 이직 등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장서구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소장 자료의 질도 높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관찰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바탕하여 이 연구에서는 현재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작은도서관의 장서가 실제로 어떻게 개발되고 관리되는지 장서개발 과정을 파악하고,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상황을 분석하여 실천적 문제들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작은도서관 현장에서 체계적인 장서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양평군 공립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위한 운영자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Operator's Awareness for Revitalization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Yangpyeong-gun)

  • 전경선;이지수;조상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19
    • /
    • 2022
  • 본 연구는 양평군 작은도서관 중 지자체에서 설립 및 운영하고 있는 공립 작은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운영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은도서관 정책 및 활성화 방안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현황 분석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기본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기반으로 양평군 공립 작은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순회사서와 운영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 작은도서관 건물의 노후화, 인력 및 전문성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장서 구성 및 프로그램, 지역사회 네트워크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을 위한 시설 및 환경 개선,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력 확충 및 전문성 강화, 지역밀착형 마을공동체 공간으로서 특성화 장서 및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생활중심 네트워크 구축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mall Library Evaluation System and Indicators)

  • 김보일;김홍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46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작은도서관의 활성화 및 내실화 측면에서의 평가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고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행 작은도서관 평가지표 분석, 국내외 작은도서관 관련 평가지표 분석, 국내 타 관종 평가지표 분석,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련 단체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및 지표를 개선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작은도서관의 평가체계는 단위 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트랙 1과 기초지방자치단체 평가하는 트랙 2로 구분된다. 작은도서관의 평가지표는 트랙 1 작은도서관에 대하여 통계를 통해 확인되는 지표는 생략하고 단순화하였으며, 작은도서관 운영에 따른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 도서관 서비스의 3개 평가영역, 8개 평가항목, 10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20점 총 120점으로 된 정성평가로 구성하였다. 트랙 2 기초지방자치단체의 평가지표는 정성평가 없이 작은도서관 정책 수립 및 시행과 작은도서관 지원 등에 관하여 도서관 경영, 도서관 인프라의 2개 평가영역, 4개 평가항목, 5개 평가지표 100점으로 구성된 정량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Analysis and Solution of Small Libraries in Jeon-buk Province)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7-98
    • /
    • 2010
  • 최근에 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기업의 지원과 관심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작은도서관이 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전라북도에서도 2004년 이래로 47개의 작은도서관이 새로이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모범적인 운영사례를 보이는 도서관이 생겨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의 작은도서관 운동은 수적인 증가에만 치우친 나머지, 대부분의 작은도서관은 아직도 열악한 환경 속에서 운영상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있다. 이것은 주민에 대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의 저하를 가져오며, 나아가 정보격차해소와 문화복지 향상이라는 작은도서관 본연의 역할을 달성하는데 상당한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나 민간기업의 후원으로 조성된 전라북도 지역의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를 점검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여 작은도서관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달성하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