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houses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1초

액화석유가스 용기의 자연 증발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Evaporation Capacity of LPG Container)

  • 조영도;김지윤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29
    • /
    • 2001
  • 체적거래제에 의하여 소규모 공동주택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적절한 용기설치수의 결정 및 용기교체시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 축적된 자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용기 설치수의 결정과 용기수 및 가스사용 형태에 따라 용기교체시 남아 있는 액화석유가스 양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기화능력, 잔량, 용기의 온도, 용기내부 압력 등을 시뮬레이션으로 살펴보았다. 용기표면으로부터 액화석유가스 용기의 총괄 열전달계수의 변화에 따른 자연기화량 변화는 크지 않으며, 실험으로부터 구한 값은 약 $9{\~}13 kcal/m^2{\cdot}hr{\cdot}^{\circ}C$이었다. 그리고 액화석유가스 용기내부의 압력이 압력조정기의 압력조정 하한계에 도달하였을 때 가스방출 유량은 공기로부터 전달되는 열량과 균형을 이루는 일정한 값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LP가스용기의 자연기화능력은 외기온도 및 프로판의 조성에 따라 증가하였고, 연속사용시간에 따라 초기 급격히 감소하여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였다. 한 가구당 용기수는 자동절체기 사용에 의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농어촌 독거노인 공동생활주거 실태조사 연구 - 충남지역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Group Hom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 With Focus on Demonstration Projects in the Chungnam Region -)

  • 박헌춘;김승근;박광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8
    • /
    • 2011
  • Due to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drain of young rural manpower to the cities, aging is being intensified, and the conditions of housing and welfare of elderly households are inadequate. Currently, group home is being discussed as part of specialized housing and welfare support policy for the people in the vulnerable class with poor self-supporting abilities such as the aged living alon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aged farming and fishing households.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proposing the policy of supplying group home through examining the realities of housing and welfare of the people in the vulnerable clas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4 regions -Cheonan-si, Gongju-si, Yesan-gun, and Seosan-si - whose apartments were all occupied by the residents among the group hom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in Chungcheongnam-do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First, great effects can be attained at small costs by reorganizing and utilizing the public facilities that are unused or little used and the existing houses that are exposed to risks due to improper maintenance. Second,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was improved without impairing the existing village landscape. Third, housing welfare was enhanced without investing a large sum of money and the system to promptly cope with negligent accidents and emergency can be built and operated. Fourth, the cases promo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oor, unhygienic, and unsafe housing of the elderly and the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were very positive and well worthy of being presented as planning direction of future group home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Finally, if they are operated entirely for free, it will cause the lack of the sense of ownership and the problems in securing the budget, so the ways of paying minimum individual housing expenses should be examined. The alternatives of housing welfare for the vulnerable member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needed and the ways of constructive planning and researches should be continuously made. Also,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should be actively promoted.

조선시대 아산 공세곶창성의 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ock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Tribute Granary Castle at Asan Cape Gongse in the Joseon Dynasty)

  • 이왕기;이정수;임초롱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3호
    • /
    • pp.75-94
    • /
    • 2007
  • There were many researches on marine transportation and granaries, most of which focused on the historical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However, a few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the architectural aspects. Hen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matters: first, documents and relics concerning the tribute granary castle at Cape Gongse in Asan, a typical granary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investigated to academically understand the castle's establishment and historical background; second, the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ary and the castle, including its adjacent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to review its archaeological value; finally, basic materials were provided for systematical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hese relic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author referred to and analyzed sundry records and old maps, and ascertained in detail historical evidence through residential testimonies and the on-the-spot surveys. In addition, the author investigated the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ibute granary castle at Cape Gongse by analyzing its exact size and shape, based on the old documents and an actual survey of the castle rem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bute granary castle at Cape Gongs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ibute granary at cape Gongse is a only tribute granary which has a granary and castle. second, the tribute granary castle at Cape Gongse has a curvilinear shape, like a gourd dipper; a large circle surrounding the village and a small circle surrounding the area of Mt. Shinpoong both meet up with it. Third,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tribute granary castle at Cape Gongse is in a style similar to a town castle or a battle camp castle located in the coastal regions. As for its locational conditions, however, the east gate, presumably an incoming and outgoing route to the granary for vessels, was a feature unique to the marine granary castle. Fourth, the tribute granary at Cape Gongse had a granary of eighty kan in 1523 and, in addition, there were also Bongsang-cheong, Sa-chang, Joseon-sobakcheo, Chimhae-dang, and more, not to mention many privates houses in the castle. The granary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ribute granary castle, where Gongse Nonghyub is currently located. The loc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s seemed to be on the northern ridge. Fifth, the tribute granary castle at Cape Gongse is a valuable relic that offers insight into marine transportation, tribute granaries, and tribute granary castl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has special archaeological value because it was one of only a few tribute granary castles that served to protect the tribute granaries.

  • PDF

누출종류에 따른 LP가스용기 누출량 실증 실험 (LPG Cylinder Leak Experiment from Multiple Leak Scenarios)

  • 이민경;이강옥;김영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1-66
    • /
    • 2019
  • 액화석유가스는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도시가스와 달리 용기 또는 소형저장탱크와 같이 독립된 저장방식이 사용되며 이러한 사용특성에 의해 사고 발생률이 높다. LP가스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주택 및 업소는 인구밀집도가 높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액화석유가스는 타 가스에 비해 인명피해율이 높아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이에 따라 1996년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는 LP가스 누출시험을 진행한 바 있다. 본 연구는 1996년 실험을 바탕으로 외기온도, 배관 상태 등의 추가 조건을 설정하여 LP가스 용기의 가스 누출량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LP가스 누출의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누출경향을 확인하였다. 가스누출에 있어서 조정기 등 감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용품이 연결되지 않은 누출의 경우 외기 온도에 의해 누출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조정기와 같은 용품이 체결될 경우 출구압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LP가스 누출 사고에 대한 누출량 판단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가스안전관리 방안에 효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만곡수로 내의 호안 안정성 연구 (A Study on Stability of Levee Revetment in Meandering Channel)

  • 김수영;윤광석;김형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2호
    • /
    • pp.1077-1087
    • /
    • 2015
  • 제방은 홍수가 발생했을 때 하천의 범람을 막아 제내지의 인명, 가옥, 재산 등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하천구조물이다. 제방의 붕괴원인은 크게 월류에 의한 붕괴, 침투에 의한 붕괴, 침식에 의한 붕괴로 분류되며, 침식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호안을 설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호안의 안정성은 제방 전체의 안정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흐름의 강도가 증가하는 만곡부와 같은 수충부에서는 호안의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질성 호안의 수리실험을 통해 만곡수로에 설치된 호안의 취약지점을 파악하였으며 주요 지점의 유속과 수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조건으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실험에서 계측장비의 한계로 확인하기 어려운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방사면의 전단응력이 크게 산정된 부분과 사석호안이 붕괴된 위치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단응력은 작으나 붕괴가 발생한 지점에서는 만곡의 영향으로 발생한 2차류에 의해 순환흐름이 발생되어 호안의 붕괴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사석산정공식을 이용하여 사석호안의 규모를 결정하였으며 하도의 평균유속보다 국부적인 최대유속으로 산정하였을 때, 1.5~4.7배 크게 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만곡수로에서는 직선수로에서와는 사석의 규모를 산정하는 방법을 달리해야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곡률반경 및 구조물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고 대표형상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 할 수 있으면 보다 합리적이고 정확한 호안사석의 규모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서 추진하는 기업도치의 성격 : 전경련의 구상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Town Project in Korea : The FKI's Conception)

  • 장영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1-394
    • /
    • 2005
  •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기업도시 건설을 제안한 이후 기업도시개발특별법이 통과된 지금까지도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기업도시의 성격에 대해서는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도시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고찰하고 기업도시 건설을 제안한 전경련의 기업도시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기업도시의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바람직한 기업도시 건설을 위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고에서는 전경련이 기업도시를 제안한 이후 전경련의 견해를 대변하고 전경련에게 이론적 배정을 제공해온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기입도시의 정의와 사례 및 기대효과 등 세 부문에 걸친 논의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검토하였다. 전경련의 기업도시는 제안 초기부터 서구의 전형적인 기업도시를 기초로 하여 기업이 개발하는 도시라는 관점을 지속적으로 관철시키면서 벤치마킹을 통해 일본형 기업도시를 추구하고 동시에 성공적인 클러스터를 준거로 채택하였다. 이들은 시대적 배경과 형성과정 및 경쟁력 창출 메커니즘이 상이하여 전경련이 추진하는 기업도시의 성공적인 실현 가능성은 의문시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도시가 현행법규의 틀 내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지나치게 대규모로 개발하는 것을 지양하고 다양한 경제주체들의 공간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다수의 관련기업 및 공공기관의 참여가 가능한 방식으로 추진하며 혼란스럽게 중첩되고 있는 최근 신도시 개발계획들의 상호 관련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을 주장한다.

  • PDF

경북지방 시설과채류의 생리장해 발생조사 (Survey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 Greenhouse Fruit Vegetables in Kyungbuk Province)

  • 황재문;엄정식;이영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37-741
    • /
    • 1999
  • 본 조사는 생리장해 연구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에 경북 시설 과채류 주산지에서 재배실태와 생리장해에 대하여 농가 현장방문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재배시설의 형태는 단동 또는 연동의 철 파이프 PE하우스가 대부분이며, 딸기, 참외, 수박은 단동 PE하우스, 그리고 토마토와 오이는 연동하우스를 이용하였다. 전체 조사농가 중 단작의 비율은 56.8%, 그리고 윤작은 40.9%로 나타났다. 시설내의 관수는 점적만 하는 농가는 전체 농가의 38.6%이다. 연작연수는 전제적으로 5년 미만의 농가가 38.1%였으며, 10년 이상 된 농가도 20.5%에 달하였다. 재배품종은 작물별로 다양하나, 특히 오이와 수박에서 다양하였다. 딸기의 기형과는 3월에 발생이 많았고 수확종기에 소과가 나타났다. 영양결핍에 의한 황화증상은 5월 이후에 많았고, 월동기에 왜화와 생육초기에 런너발생 등이 관찰되었다. 토마토는 9~11월에 열과, 10월과 2~4월에 기형과, 7~9월에 배꼽썩음과 등이 심하였으며, 순멎이, 이상경, 영양결핍증 등도 관찰되었다. 오이는 곡과, 곤봉과, 어깨빠진과 등 기형과는 11~12월에 심하게 나타났으며, 5~7월에 낙하산엽 증상 등이 조사되었다. 참외의 기형과와 발효과는 3~5월에 심하였고 수박의 열과도 4~5월에 많았으며 변형과는 8월에 나타났다. 식물체에는 영양결핍인 황화증상이 다수의 농가에서 발견되었다. 생리장해에 대한 인식은 병해충에 대한 인식보다 강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장해의 동정이나 방제법에 소홀한 점들이 많았다. 생리장해 발생원인으로는 토양환경 불량과 온도관리의 미흡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대책으로는 하우스 환경관리를 잘 해야 한다고 대부분의 농가가 응답하였다.

  • PDF

Rhizoctonia soiani에 의한 결구상추 밑둥썩음병(Bottom rot)의 발생과 병원성 (Occurrence of Bottom Rot of Crisphead Lettuc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nd Its Pathogenicity)

  • 김현주;박종영;백정우;이진우;정순재;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89-695
    • /
    • 2004
  • 2003년 11월 경상남도 부림면 신반리의 결구상추 재배 플라스틱 하우스내에서 늦가을부터 밑둥썩음병이 발생하여 수확기인 11월에 평균 5.3%의 발병율이 조사되었다. 이는 비교적 낮은 수치이나, 2차적으로 균핵병과 잿빛곰팡이병이 유발되어 큰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였다. 이때의 병징은 아랫잎의 밑둥 부위에 수침상의 원형 내지 타원형의 담갈색 또는 갈색점무늬가 나타나고 진전되면 윗잎쪽으로 병반이 부정형으로 크게 확대되어 결국 잎이 무르게 썩고 누렇게 변하며 종이처럼 말라죽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에, 밑둥썩음병이 발생한 지역의 병든 식물체와 토양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 병원성이 가장 강한 PY-1 균주가 Rhizoctonia solani AG1 (IB)로 동정되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30$^{\circ}C였으며, 병원성 검정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접종원으로 검정 방법이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인 균사조각 부유액 접종원을 생육상내 폿트 검정용으로 선발하였고, 토양내 부생적 착생을 위한 플라스틱 하우스내 토경 재배 검정용으로는 WRSP배지 접종원을 선발하였다. 또한, 선발된 각 접종원의 최적 처리농도 및 처리량에서는 각각 균사조각 부유액 접종원의 경우, 평균 주당 51.1%의 발병도를 보인 $A_{550}$=1.0농도를 가장 적합한 처리 농도로 선발하였으며, WRSP 배지 접종원의 처리량 비교에서는 평균 주당 61.6%의 발병도를 보인 40 $m\ell$를 최적 처리량으로 선발하였다.

낙선제(樂善齊) 일곽(一廓) 건축(建築)의 조영(造營)에 관한 복원적(復元的) 고찰(考察) (A Study on the Original State of the Buildings in NakSunJae Area)

  • 노진하;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43-70
    • /
    • 1995
  •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architectural purpose of the buildings in NakSunJae area to the original state.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clarified facts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 with the buildings for the Crown Prince in the ChangDok Palace By constructing buildings in the NakSunJae area, the spatial conception of the Royal Palace was changed, that is, buildings for the Crown Prince in the ChangDok Palace disappeared and they became to belong to the ChangGyeong Palace. Moreover, by constructing the NakSunJae and its attached buildings, the area for the Crown Prince shifted to use as a private area for the king. 2. The date and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he NakSunJae area is consisted of three compounds of building: NakSunJae, SukBokHun and SooKangJae. The NakSunJae was constructed for the king HunChong's private occupancy in 1847 and the SukBokHun for a residence of a royal concubine Kim, in 1847. The SooKangJae was originally built in 1785 in the SooKang Palace where the ex-king took up as his residence after abdicate the throne. Later on, it was repaired as the residence of the Queen SoonWon, king HunChong's grandmother, in commemoration for the 60th anniversary of her birth in 1848. 3.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NakSunJae area at the time of construction First, as the NakSunJae area is surrounded by quite high hills in northeast and by low hills in southwest, it is naturally distinguished from its surroundings and gives a cosy feeling. Second, the NakSunJae area shows very untrammeled style of arrangement in general, because it was constructed as a private occupancy for the king. other buildings are arranged in the latticing orderly, nonetheless, they are free by themselves from a strict form and make themselves an area full of variety. Third, the buildings in the NakSunJae area have a characteristic of naivety of common people's houses, because they were not an official but private place for the king, his concubine and his grandmother. Forth, the ornaments in the NakSunJae area are variously, elegantly and harmoniously patterned with the meaning of good luck. Fifth, back garden in the NakSunJae area was made by taking advantage of sloping hills. The back garden is beautifully configurated by arranging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of pavilions, tiered flower beds, chimneys, decorated walls, small doors between walls, stoneworks and trees.

  • PDF

건축 임대시장에서 모듈러 건축의 적용성 연구 - 수익성 분석을 중심으로 - (A Business Model for Application of the Modular Building in the Rental Market)

  • 윤종식;신동우;차희성;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3-11
    • /
    • 2015
  • 현재 부동산 경기는 매매건수의 감소와 장기적 경기 침체로 인해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대응하여 최근 정부는 기업형 주택임대사업 육성을 통한 중산층 주거혁신방안을 발표하면서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한편 국내 주택시장은 가구구조의 변화, 전세에서 월세의 증가를 겪는 등 구조적 전환기에 접어들고 있다. 또한 1~2인 소형가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점차 가파르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결과적으로 1~2인 소형 주택 사업이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내 건설업계는 모듈러 건축물이라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진 상태이다. 모듈러 건축이란 공장에서 모듈을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형태로서 빠른 시공성과 친환경성 및 이동성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건축기술이다. 종합해보면 부동산 시장의 변화, 모듈러 건축기술이라는 두가지 큰 이슈가 현재 건설시장의 화두이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본 논문은 시장분석을 통해 모듈러 진출분야를 선정하고 LCC분석을 통해 수익성 분석 및 사업시나리오 구상 등을 통한 임대시장에서의 모듈러 사업모델을 제안해보고 모듈러 건축물을 이용한 1~2인 소형 임대주택 사업 가능성을 판단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