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electric vehicle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52초

다용도 소형 전기자동차 구동장치 개발 (Development of Drive Circuit for a Multipurpose Small-Size Electric Vehicle)

  • 전태원;;이홍희;김흥근;노의철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0-451
    • /
    • 2010
  • In this paper, the low-cost drive circuit of dc motor for a multipurpose small-size electric vehicle is developed. In order to change smoothly the rotating direction of dc motor for traction, the operating sequence of both the field current and the armature voltage according to the angle of a pedal of vehicle is suggested. The simulation study is carrier out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and the control system is implemented with 8-bit AVR.

  • PDF

전기자동차 응용을 위한 DC-DC 컨버터의 설계 및 제어 (Design and control of a DC-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 강정일;노정욱;이성세;문건우;윤명중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2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4-758
    • /
    • 2002
  • In the fuel-cell electric vehicle system, the low-voltage output of unit fuel-cell demands a number of cells to be stacked In series to produce a DC link voltage which is high enough to drive the vehicle inverter system. However, this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he fuel-cell control system.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high-efficiency boost converter employing the average current-mode control, which is able to convert a low voltage of a fuel-cell generator with a small number of unit cells to a stable and high DC link voltage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 PDF

소형 전기차 적용을 위한 AC/DC 복합 V2X 시스템 설계 (Design of AC/DC Combined V2X System for Small Electric Vehicle)

  • 김영중;장영학;문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17-624
    • /
    • 2022
  • V2X를 탑재한 소형 전기운송차는 기존 자동차의 운전시스템에 더 많은 정보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V2X 기술의 주요 요소는 V2V(자동차 대 자동차), V2N(자동차 대 네트워크), V2I(자동차 대 인프라)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외부장비와 연계되는 VI형 E-PTO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으로 E-PTO는 DC/DC 변환기, DC/AC 변환기, 배터리 양방향 충전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구동을 위한 기기와 제어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기동/정지 및 정상상태 운전 통한 VI형 E-PTO 구성부품에 대한 시험결과는 100ms 이내 회복시간과 순간 전압변동율 10%의 허용 가능한 요건을 충족하였다.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Electric Vehicle Using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Ikeda, Hidehiro;Ajishi, Hideki;Hanamoto, Tsuyoshi
    • Journal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 /
    • 제2권2호
    • /
    • pp.171-178
    • /
    • 2013
  • This paper discusses to conduct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wo types of micro electric vehicles (EV) in order to realize improvement in electric mileage and shorten a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First,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systems to use as a secondary battery are proposed. The internal resistance of EDLC is small compar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nd it is suitable for momentary charge-discharge of EV. Next, control circuits of the capacitors to increase the regenerative electric power are utilized. Then, a novel method to charge a main battery of the EV is introduced. Finally,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전동 통합 샤시를 이용한 2륜 독립구동 차량의 선회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f Driving Stability Performance of 2-Wheeled Independently Driven Vehicle Using Electric Corner Module)

  • 박진현;최정훈;송현우;황성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7호
    • /
    • pp.937-943
    • /
    • 2013
  • 독립 구동형 전동 통합 샤시 시스템은 시스템 내구 성능 관련 신뢰성 확보, 구동 전동기 고장 시 차량 안정성 확보, 차륜 중량 증가에 따른 Ride & Handling 성능 저하 등의 문제로 실제 차량에 적용이 지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 중 Ride & Handl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성능 평가가 가능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MATLAB/Simulink를 이용하여 독립구동형 전동 샤시 시스템이 적용된 소형 전기 자동차를 모델링 하였으며, 27자유도의 차량 거동 해석이 가능한 CarSim을 이용하여 차량동역학을 모델링 하였다. 개발된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검증함으로써 차량의 Ride & Handling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농촌 다목적 모듈형 전기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ular Design for Multi-purpose Electric Motor Vehicles in Rural Areas)

  • 권성자;김명수;이봉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73-182
    • /
    • 2020
  •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 EU의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 규제 강화, 고유가 추세 그리고 농촌 인구분포의 고령화 등에 따라 친환경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농촌 소상공인을 위한 다목적 전기차에 대한 니즈 강화가 시장의 큰 흐름이 되고 있다. 농촌 소상공인을 위한 다목적 전기차는 적은 비용으로 유지가 가능하고 친환경 에너지의 활성화를 통한 온실 가스를 감축할 뿐 아니라 고령화 되어가고 있는 농업 종사자의 노동 강도를 줄이고 야간작업 및 물류 운반을 위하여 매우 혁신적인 운송수단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정책 시행과 함께 영세 규모의 농촌 소상공인들이 비포장도로와 웅덩이가 많은 농로환경에서 쉽게 운행할 수 있고, 농작물 운반 시 노동 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사고 시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농촌 다목적 모듈형 전기차를 제안하기 위하여 기존 문헌들을 고찰하고 국내외 전기차를 벤치마킹하여 12개의 모듈형 부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모듈형 전기차의 산업계는 물론 디자인계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소형발사체 개발 및 최신 기술 동향 (Technology and Development Trends of Small Launch Vehicles)

  • 최준섭;허환일;기원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1-102
    • /
    • 2020
  • 최근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시작되었다. 뉴스페이스 시대는 소형위성 시장 및 소형발사체 시장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민간이 우주개발에 적극 참여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우주개발 선진국에서는 소형발사체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제작/운용비용의 감소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전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국외 소형발사체 개발 동향 및 소요 기술의 동향을 분석하고 요약하였다. 소요 기술 중 전기 펌프, 적층 제조 등 spin-on 기술을 우주개발기술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수소충전소와 수소전기차간의 안전통신을 위한 WiFi 프로토콜 비교 (Comparison of WiFi Protocols for Safety Communication Between Hydrogen Refueling Station and Fuel Cell Electric Vehicle)

  • 황하진;소동건;차도호;채혜진;정서희;황성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81-87
    • /
    • 2023
  • 수소충전소와 수소전기차 간의 통신 프로토콜인 SAE J2601과 SAE J2799는 수소 충전에 관련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소전기차의 수소검출, 전류, 전압을 측정하여, 수소충전소로 WiFi 프로토콜을 변화시켜 가면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소전기차의 센싱, 제어 및 센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소규모 실험실 모델을 만들었다. 센서 데이터를 수소충전소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고, 저장된 데이터 분석을 위해 그라파나를 이용하여 대쉬보드를 구성하였다. 수소가 검출되면 수소충전소의 디스펜서 밸브를 잠근다. 그리고 WiFi 프로토콜에 따른 평균 전송 지연을 측정하였다. 전송 지연 측정 결과, 수소충전소와 수소전기차간의 센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WiFi 프로토콜은 IEEE 802.11a가 가장 적합하였다.

A Study on the Steering System of Electric Scooter

  • Park, Sung Ch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2호
    • /
    • pp.219-225
    • /
    • 2022
  • Recently, the popularization of personal mobility(PM) has made it possible to see many electric scooters. The energy source of personal transportation used by the general public and the disabled can be seen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s electricity.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re divided into small electric vehicles because they use electric energy, and they are being treated as new models by automobile manufacturers in each country and spurring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may cause various types of traffic accidents as they travel between roads and a human walk. In order to prevent such accidents, it is judged that the enactment of laws on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ations for electric scooters, which are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nd the method of restricting road oper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The electric scooter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vehicle. The steering shaft of the steering system applied to the electric scooter one to two is possible. 1 to 2 the front-wheel under the steering column is used.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heel installed at the electric scooter is the vehicle body into 2 wheel - electric scooter, and 3 wheel - electric scooter and 4 wheel - electric scooter. In this study, we propose a steering shaft design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n electric scooter, one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A design model for 1-shaft steering and 2-shafts steering that can be applied to electric scooters is proposed. In addition, we have produced the prototyp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proposed models, and reviewed the pros and cons of the manufactured prototypes and models.

수치해석에 의한 고효율 BLDC 모터의 제어기 설계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Design of Controller for the Highly Efficient BLDC Motor using Numerical Analysis)

  • 우천희;박건식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5권2호
    • /
    • pp.62-66
    • /
    • 2006
  • This thesis focuses on the design of control schemes for highly efficient BLDC motor drive applications using drives with output capacity of 1Hp. The control syste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on a PIC micro-controller and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as a viable replacement to the existing a high phase induction motor that is currently being used for these low cost, small traction drive applications. This paper for the brushless drive research has shown the optimization of the drive system for improved drive design and switching techniques that can improve the entire drive system efficiency for electric vehicle both large and small traction applications using sinusoidal PWM techniques for synthesizing the AC waveforms needed to control these traction drives. In addition, Numerical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esigned BLDC Motor using MotorPro simu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