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urry wall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시추 안정액 배합설계에 따른 공벽 붕괴방지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Drilling Fluid with Different Mix Designs for Bore Hole Collapse Prevention)

  • 유충식;최정혁;한윤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15-2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지반 시추시 공벽붕괴 방지를 위해 적용되는 시추 안정액(drilling fluid)의 다양한 배합설계에 따른 공벽붕괴 방지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먼저 벤토나이트 계열 안정액의 공벽 붕괴 방지 메카니즘을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벤토나이트계 안정액의 배합(conditioning)에 따른 안정액의 성능지표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간략히 기술하였다. 또한 지반시추(굴착) 및 안정액 투입을 간략히 모사하는 토조 장치를 구축하여 세립분이 20% 포함된 화강풍화토 및 모래지반을 대상으로 다양한 배합으로 조성된 벤토나이트계 안정액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안정액 투입량, 수평 침투범위, 굴착가능 깊이 등을 측정하여 공벽붕괴 방지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벤토나이트에 폴리머를 추가할 경우 안정액 투입량 및 수평 침투범위가 굴착가능 깊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머의 공벽유지 기능 향상 정도는 모래층보다 화강풍화토 지반에서 보다 뚜렷하게 발휘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도출된 연구결과가 실무적 차원에서 지니는 의미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난지도 매립장 지반을 통한 오염이동 특성과 제어 (The Characteristic and Control of Contaminant Transport through the Subsurface of Nanjido Landfill)

  • 장연수;이광열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
    • /
    • 1994
  • 난지도 매립장 하부지반을 통한 오염이동 특성을 2차원 유한 요소 오염이동 모델을 이용하여 알아보고 부분적인 차폐벽을 매립장 주위에 설치하였을 경우 초래되는 매립장내 침출수 누적 효과를 유한 차분 지하수흐름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입력계수는 현장에서 측정된 오염농도 자료를 이용 검증한 후 향후 30년 동안에 한강변으로 누출될 수 있는 오염농도 변화를 분석하고 매립장내 침출 수두와 확산계수의 증가가 오염물 이동에 미치는 민감도를 알아보았다. 오염이동 해석 결과 한강주변의 난지도 매립장 침출수로 인한 염소이온농도 최대값은 1488 mg/l로서 매립장 패쇄후 17년만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립장내 침출수위와 확산계수의 변화는 모두 침출수 이동을 촉진하나 침출수위면이 증가 할수록 침출수 농도 증가 폭은 커져가는 반면 확산계수 증가에 대한 침출수 농도 증가 폭은 작아져서 일정 농도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Camphene/WO3-NiO 슬러리의 동결건조 및 수소분위기 열처리에 의한 W-Ni 다공체 제조 (Porous W-Ni Alloys Synthesized from Camphene/WO3-NiO Slurry by Freeze Drying and Heat Treatment in Hydrogen Atmosphere)

  • 박성현;박성민;박소정;박보영;오승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8-112
    • /
    • 2018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 of raw powder on the pore structure of porous W-Ni prepared by freeze drying of camphene-based slurries and sintering process. The reduction behavior of $WO_3$ and $WO_3-NiO$ powders is analyzed by a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method in Ar-10% H2 atmosphere. After heat treatment in hydrogen atmosphere, $WO_3-NiO$ powder mixture is completely converted to metallic W without any reaction phases. Camphene slurries with oxide powders are frozen at $-30^{\circ}C$, and pores in the frozen specimens are generated by sublimation of the camphene during drying in air. The green bodies are hydrogen-reduced at $800^{\circ}C$ and sintered at $1000^{\circ}C$ for 1 h. The sintered samples show large and aligned parallel pores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and small pores in the internal wall of large pores. The strut between large pores, prepared from pure $WO_3$ powder, consists of very fine particles with partially necking between the particles. In contrast, the strut densification is clearly observed in the Ni-added W sample due to the enhanced mass transport in activation sintering.

나노크기 Cu 분산입자를 갖는 Al2O3 다공체의 제조 및 미세조직 특성 (Synthesis and Microstructure of Porous Al2O3 with Nano-Sized Cu Dispersions)

  • 유호석;김안기;현창용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7-71
    • /
    • 2013
  • Porous $Al_2O_3$ dispersed with nano-sized Cu was fabricated by freeze-drying process and solution chemistry method using Cu-nitrate. To prepare porous $Al_2O_3$, camphene was used as the sublimable vehicle. Camphene slurries with $Al_2O_3$ content of 10 vol% were prepared by milling at $50^{\circ}C$ with a small amount of oligomeric polyester dispersant. Freezing of the slurry was done in a Teflon cylinder attached to a copper bottom plate cooled to $-25^{\circ}C$ while unidirectionally controlling the growth direction of the camphene. Pores were subsequently generated by sublimation of the camphene during drying in air for 48 h. The green body was sintered in a furnace at $1400^{\circ}C$ for 1 h. Cu particles were dispersed in porous $Al_2O_3$ by calcination and hydrogen reduction of Cu-nitrate. The sintered samples showed large pores with sizes of about $150{\mu}m$; these pores were aligned parallel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Also, the internal walls of the large pores had relatively small pores due to the traces of camphene left between the concentrated $Al_2O_3$ particles on the internal wall. EDS analysis revealed that the Cu particles were mainly dispersed on the surfaces of the large pore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porous $Al_2O_3$ with Cu dispersion can be successfully fabricated by freeze-drying and solution chemistry routes.

동결-젤 주조 공정 기반 삼차부틸알코올을 이용한 단일방향 기공구조를 가지는 이상인산칼슘 세라믹 지지체의 제조 및 특성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Scaffolds with an Unidirectional Macropore Structure Using Tertiary-Butyl Alcohol-Based Freeze-Gel Casting Method)

  • 김경록;옥경민;김동현;박홍채;윤석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63-268
    • /
    • 2013
  • 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scaffolds were fabricated by a freeze-gel casting technique using a tertiary-butyl alcohol (TBA)-based slurry. After sintering, unidirectional macropore channels of scaffolds aligned regularly along the TBA ice growth direction were tailored simultaneously with micropores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pore channels. The crystallinity, micro structure, pore configuration, bulk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for the scaffolds were investigated with X-ray diffractomete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a water immersion method, and a universal test machin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intered porosity and pore size generally resulted in a high solid loading which resulted in low porosity and small pore size, which relatively increased the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fter being sintered at $1100-1300^{\circ}C$, the scaffolds showed an average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in the range 35.1-74.9% and 65.1-3.0 MP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onditions.

굽힌 후 편 철근의 겹침 이음 및 기계적 이음을 갖는 벽-슬래브 접합부의 반복하중에 대한 거동 (Cyclic Behavior of Wall-Slab Joints with Lap Splices of Coldly Straightened Re-bars and with Mechanical Splices)

  • 천성철;이진곤;하태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75-283
    • /
    • 2012
  • 초고층 건축물의 선행 코어 후행 슬래브 접합부, 지하 연속벽과 바닥구조의 접합부, 임시 개구부 등 신구 콘크리트 접합부의 철근 이음을 위하여, 다수의 커플러를 전단키가 있는 얇은 강판에 설치한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이 최근 개발되었다. 이 공법을 사용한 접합부의 구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벽체-슬래브 접합부에 대한 반복하중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는 굽힌 철근 박스를 이용한 접합부와 이음이 없는 접합부도 함께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사용한 접합부는 이음이 없는 접합부와 동일하게 [인장철근 항복]-[충분한 휨변형]-[압축 콘크리트 압괴] 후 압축 철근의 좌굴로 파괴되었다. 따라서 설계에서 가정한 충분한 연성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굽힌 철근 박스를 사용한 접합부의 경우, 탄성구간에서는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과 유사하게 거동하였으나, 측면 피복 콘크리트가 빨리 탈락되었으며, 슬래브 상하부면의 겹침이음 구간에 부착 균열이 다수 발생하였다. 최종적으로 이음 없는 실험체 및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사용한 실험체에 비해 강도와 변형능력이 저하되었다. 또한 굽힌 후편 철근을 겹침이음한 실험체가 철근 이음용 매립 강판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강성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굽힌 후편 철근의 탄성계수는 직선 철근에 비해 낮고, 완전한 직선으로 펼 수 없기 때문에 인장력을 받으면서 일부 구간이 펴지므로 접합부의 강성을 저하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2종류의 철근 지름(D13, D16)과 강종(SD300, SD400)에 대해, 철근이음용 매립 강판을 적용한 접합부는 공칭 강도를 충분히 상회하였다. 그러나 굽힌 후 편 철근을 사용하면 강종이 높을수록 그리고 지름이 굵을수록 휨강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굽힌 후 편 철근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양돈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Surveying for Pig House Facilities of Pig Farms by Holding Scale)

  • 서광욱;민병로;최희철;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1-240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양돈농가의 사육규모별 양돈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의 돼지 1,000두 이상 사육농가 3,029호를 대상으로 돈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0두 이상을 사육하는 전업농가에서 7,229,892 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2,386.9두 이었다. 돈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 8월로 노후한 돈사가 많았으며 농가당 돈사면적은 $3,017.2\;m^2$이었다. 돈사의 건축형태는 윈치커튼돈사가 77.2%로 무창돈사 51.3%, 톱밥돈사 7.4, 고상식 4.6% 보다 많았으며 1,000~1,999두 사육 농가는 윈치커튼돈사가 80.6%로 무창돈사 43.6% 보다 많았으나 10,000두 이상의 대규모 농가는 무창돈사가 75.5%로 윈치커튼 돈사 56.6% 보다 많았다. 분뇨수거 형태는 슬러리 돈사가 72.3%로 스크레이퍼 돈사 38.5% 보다 많았으며 1,000~1,999두 사육농가의 슬러리돈사 72.3%에 비하여 10,000두 이상 사육농가는 슬러리가 83.3%로 대규모 농가에서 더 많았다. 지붕재질은 슬레이트 51.2%, 판넬 46.1%로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0,000 이상 사육농가는 슬레이트가 25.0%로 중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낮은 비율을 보였다. 돈사의 외벽체는 판넬이 41.9%로 가장 많았으며 블록 21.9%, 콘크리트 7.6%, 윈치커튼 6.3%, 벽돌 5.9% 이었다. 돈사의 환기방식은 자연환기 46.1%, 기계식 무창 44.1%, 자연환기+기계식 혼합형 53.1%로 자연환기보다는 기계식환기를 하는 농가가 많았다. 특히 규모가 클수록 기계식 무창의 비율은 69.8%로 소규모농가의 36.1%에 비하여 많았다. 돈사 시설의 사용년수는 급이라인 8.1년, 급수라인 8.3년, 전기시설 8.2년, 바닥재 9.0년으로 대부분 8년 이상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2층 돈사와 톱밥돈사의 구조 및 분뇨처리 실태조사 (Field Survey on the Structure and Manure Treatment of Two-Storey and Sawdust Pig Houses in Korea)

  • 정종원;유용희;송준익;김태일;전병수;양창범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3로
    • /
    • pp.169-1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2층 돈사 및 톱밥돈사를 조사하였으며 현재 양돈에 적용되고 있는 분뇨처리 형태, 사육형태, 환기방식 및 돈사건축비의 실태를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석, 평가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후와 조건에 적합한 분뇨처리와 돼지사육이 가능한 고상식 돈사의 건축모델에 적용 가능성을 고려할 목적으로 무창 2층 돈사와 개방식 톱밥돈사 농장을 방문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층 돈사의 분뇨에 수분조절재로 톱밥, 수피, 왕겨를 사용하였다. 톱밥돈사는 톱밥만을 사용하였으며, 수분조절재의 사용깊이는 대체로 $30\~60cm$로, 이용기간은 평균 $3\~6$개월 정도 이용하였다. 2. 2층 돈사에서 돼지의 사육형태는 1층에서는 주로 임신돈 및 분만돈을 사육하였고 2층은 자돈과 육성돈을 사육하고 있었다. 3. 환기시스템은 기본적으로 2층 무창돈사는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시스템을 설치하였고 톱밥돈사는 자연환기(natural ventilation)시스템으로 조합되어 있었다. 4. 2층 돈사의 단열재는 블록, 칼라강판 및 샌드위치 판넬 등을 사용하였고 단열재두께는 지붕 $75\~100mm$, 벽이 $50\~75mm$였으며 천장높이는 최소 2.0, 최대 3.0m로 조사되었다. 5. 평당 건축비는 무창 이층돈사는$70\~1,400$천원 이내였으며, 개방식 톱밥돈사는 자체 건축한 곳을 제외하고는 $300\~400$천원 내외로 건축비가 소요되었다

  • PDF

시멘트 종류에 따른 병용계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최적배합비와 특성 (Optimum Mix Propor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ed Self Compacting Concrete according to Cement Types)

  • 권영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55-64
    • /
    • 2009
  • 본 연구는 시멘트 종류에 따른 병용계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최적배합비를 도출하고, 최적배합비의 품질특성을 평가하여 현장시공의 자료로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병용계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분체와 증점제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분체로써 점성 증대 및 수화열 저감에 우수한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하였다. 석회석 미분말의 치환율은 시멘트 종류에 따른 구속수비 실험을 통해 정하였으며, 배합변수는 잔골재용적비 ($S_r$), 굵은골재 용적비 ($G_v$) 및 물-시멘트비 (W/C)로 하여, 최적배합비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응결시간, 블리딩량, 침하량 및 수화열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경우에는 석회석 미분말의 치환율 13.5%, 잔골재 용적비 47%, 물-시멘트비 41%이며, 저열포틀랜드시멘트의 경우에는 석회석 미분말의 치환율 42.7%, 잔골재 용적비 43%, 물-시멘트비 51%이며, 굵은골재 용적비는 시멘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53%로 나타났다. 최적배합비에 대한 응결시간, 블리딩, 침하량 및 수화열에 대한 실험 결과, 저열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자기충전 콘크리트가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계기준강도 40.0 MPa (배합강도 51.5 MPa)를 만족하는 저열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한 병용계 자기충전 콘크리트를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지하연속벽용 콘크리트로 제안하였다.

Effect of Nipple Angle on Water Disappearance by Pigs

  • Yun, M.S.;Ju, W.S.;Piao, L.G.;Long, H.F.;Kil, D.Y.;Oh, H.K.;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호
    • /
    • pp.120-123
    • /
    • 200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nipple angles on water disappearance in growing pigs, which is defined as the water which leaves the watering device but is not consumed by the pig. This water adds to the volume of the total waste slurry. Four crossbred pigs averaging $70.0{\pm}1.4$ kg were assigned into 1 of 4 treatments using a $4{\times}4$ Latin-square design. Treatments were distinguished by the angle between nipple terminal and the perpendicular wall. These angles were: 1) NA-30 (= Nipple Angle $30^{\circ}$), 2) NA-45 (= Nipple Angle $45^{\circ}$), 3) NA-60 (= Nipple Angle $60^{\circ}$) and 4) NA-90 (= Nipple Angle $90^{\circ}$). All of the nipples were fixed at shoulder height of each pig. After a 7-day adaptation peri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pig for 4 days, followed by a day for change-over. Pigs were fed a 0.8 kg diet twice daily at 08:00 and 20:00 and supplied water ad libitum.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pigs in the NA-30 treatment group showed greater water disappearance than other treatments. Water disappearance was the lowest for the NA-60 treatment group (p<0.01). The percentage of water disappearance to the water suppl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NA-60 treatment group (p<0.01). Water intake was the same for all the treatment groups. The rate of water disappearance per unit of water intak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igs in the NA-60 treatment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p<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nipple angle for growing pigs should be $60^{\circ}$ to reduce water disappearance and, subsequently,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