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urry wall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8초

수용액의 교반/냉각을 동반한 슬러리 얼음의 빙부착 (Adhesion of Ice Slurry in an Aqueous Solution Cooling with Stirring)

  • 강채동;손권;백종현;홍희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1071-1077
    • /
    • 2002
  • Ice adhesion on cooling wall is very important in continuous ice form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a three-component aqueous solution as a thermal storage material for the continuous ice formation. By freezing under stirring the solution of 300 mL in a stainless steel vessel which was immersed and cooled in a temperature controlled bath, an ice slurry was formed experimentally with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stirring load variation. From the experiment, the ice adhesion was suppressed when the supercooling degree de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 increased.

교반동력에 의한 기능성 물질 함유 수용액의 빙부착 평가 (Evaluation of Ice Adhesion in an Aqueous Solution with Functional Materials by Stirring Power)

  • 승현;백종현;홍희기;강채동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8호
    • /
    • pp.720-727
    • /
    • 2004
  • In the process of ice-slurry making, the phenomenon of ice adhesion influences extremely to ice making system. In this study, the effect on the ice adhesion by thermal storage material with additives is investigated quantitatively. Various solutions of 300 g in a stainless vessel were frozen under stirring. Through the experiment the ice adhesion between cooling wall and ice-slurry was compared with each other by measuring the stirring power. From the experiment, the stirring power in EG, SCA solution was smaller than those in the solution containing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poly-vinyl-alcohol or kitchen detergent.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의 배합방법 및 양생일에 따른 거동 특성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ement Bentonite Impervious Walls Related to Mixing Methods and Curing Time)

  • 황정순;김승욱;정준기;이승주;오병삼;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2호
    • /
    • pp.45-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로 굴착 트렌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시멘트와 벤토나이트 혼합물을 불투수벽체의 재료로 사용하여 지중차수벽체를 구성하는 새로운 시공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공법은 굴착된 구역을 균질하게 차수재료로 치환하므로 일반적인 그라우팅공법에 비해 차수효과의 예측과 시공성과의 검증이 보다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공법은 시공 장비가 단순하고 시공 순서가 간단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실험을 통해 배합재료와 배합방법의 변화에 따른 강화벤토나이트 차수벽체의 공학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본 공법의 실무 적용 시 시공비용 결정과 벽체의 설계를 위해 가장 중요한 표준 배합비와 배합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차수벽체를 구성하는 재료들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일반포틀랜드 시멘트와 고로슬레그 시멘트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Performance of Soil-Bentonite Cutoff Wall considering Defects and Formation of Bentonite Cake

  • Nguyen, The Bao;Lee, Chul-Ho;Lim, Jee-Hee;Jeoung, Jae-Hyeung;Choi, Hang-Seok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264-1273
    • /
    • 2010
  • Soil-bentonite cutoff walls are widely recognized to be the effective barrier for containment of wastes and groundwater. Bentonite cake is usually found remaining on the trench surface due to the use of bentonite slurry during the excavation for the cutoff wall construction. Defects also inevitably take place due to the inappropriate construction procedures or improperly mixed soil-bentonite backfill. The defects include insufficient keys and windows in the soilbentonite cutoff wall.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soil-bentonite cutoff wall is evaluated based on the flow rates through the wall.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s were applied to simulate the groundwater flow through the soil-bentonite cutoff walls of typical geometries with consideration of the defects and bentonite cake. Results of the simulations showed that the bentonite cake has no effect in the insufficient key cases. In the keyed wall cases, the bentonite cake with very low hydraulic conductivity significantly impedes the flow of groundwater through the wall. The presence of the bentonite cake not only compromises the window defect but also renders the wall construction more effective in blocking the groundwater flow. These findings show the significance of the bentonite cake in a soil-bentonite cutoff wall construction.

  • PDF

대심도 지반굴착을 위한 벽강관말뚝 흙막이공법의 설계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Design on Steel Pipe Sheet Pile for Earth Retaining Wall on Deep Excavation)

  • 김병일;이종구;김경태;홍강한;한상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53-6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지반굴착 조건에서 흙막이 벽체로 적용된 벽강관말뚝의 탄소성보 해석, 유한요소 해석 및 최적화 설계 등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강도 내해수강 벽강관의 경우 부식에도 유리하고 허용응력이 커 구조적으로 우수하여 흙막이 벽체로써 활용성이 높고, C-Y형 이음부의 경우 기존 P-P형 대비 인장강도와 강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공 중 벽체 누수나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용접, 덧댐 시공 등으로 확실한 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벽강관 연속벽의 경우 CIP나 Slurry wall 대비 변위 순응 구조임과 동시에 동일 수평변위에 대하여 허용 휨응력이 매우 커 대심도 흙막이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규모 편토압 조건에서의 지반굴착임을 고려하여 탄소성보해석 및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상호 비교한 결과, 굴착 시 전체적인 거동, 벽체의 변위나 부재력 등 각 항목별 발생 최대값에 대해서도 두 방법간에는 정량적 수치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추후 설계 시 두 해석방법 모두 적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일 직경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의 중공형보다는 가장 얇은 두께에 콘크리트로 속채움하는 방법, 그리고 변위와 부재력의 급격한 변화가 없는 깊이 즉, 정상성 검토를 통한 근입길이 결정 시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펄라이트를 이용한 방음벽의 흡음소재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und Absorption Material Using Perlite for Noise Barrier Wall)

  • 조영국;양주경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53-660
    • /
    • 2008
  • 본 연구는 펄라이트를 이용한 흡음재료의 흡음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최적배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합재로서 폴리머 시멘트 슬러리와 무기질 결합재를 사용하여 흡음재료를 각종 배합조건에 따라 제작하여, 강도, 동결 융해 저항성, 그리고 흡음성능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관내법에 의한 흠음재의 흠음계수는 배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폴리머 디스퍼션을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 흡음재의 감음계수 (NRC)는 $0.48{\sim}0.51$로 시멘트만 결합재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방음벽의 환경부 고시 기준에서의 흡음재로서 감음계수 0.70에 비하면 낮은 수치이다. 그러나 잔향실법에 의한 흡음용 패널의 저주파수 영역($250\;Hz{\sim}500\;Hz$)에서 흡음계수가 $0.84{\sim}1.0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고주파 영역에서도 $0.57{\sim}0.77$ 정도로 비교적 높은 흡음률을 나타내 감음계수가 0.77로 높게 나타났다. 폴리머 디스퍼션을 결합재로 사용한 흡음재는 압축강도, 휨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 등에서 방음벽 재료로서 적당한 성능을 발휘하였으며, 성능과 가격면에서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는 배합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해안매립지반에서의 토류가시설 시험시공 및 변경사례 (A Field Case on the Pilot Constructions and Changes of a Braced Cut Wall in a Coastal Filled Land)

  • 황영철;김기림;김연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6-55
    • /
    • 2006
  • There are many kinds of braced cut wall methods as the sheet pile, SCW, CIP and slurry wall which is adoptable for a deep excavation construction in a coastal filled land. The braced cut wall which has a strong stiffness is very stable but it has the weak point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high. Thus when a braced cut wall is designed, the geotechnical engineers choose the braced cut wall which has more safe and economic in the consideration of surrounding buildings near the construction site. Especially, when the sheet pile method as a braced cut wall is cheesed, the layer order and consistence of a coastal deposit stratum are considered and the pile driving method is also considered. This paper introduces the case that the originally box-type sheet pile wall was changed to U-type and high strength material after the pilot test at the subway construction site in a coastal filled land. This paper also introduces the case that the sheet pile's driving method was changed to special method in the section of the temporary coffer dam which had made when the present coastal filled land was formed.

  • PDF

부정류 상태에서의 난지도 매립지 침출수 거동 예측 (The Behavior of Leachate on The Transient Condition in The Nanji Waste Landfill)

  • 강동희;조원철;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2호
    • /
    • pp.57-67
    • /
    • 2001
  • 본 연구는 난지도 매립지에서 기반암 및 풍화대층을 통해서 거동하는 침출수의 속도와 침출수량을 부정류 상태에서 예측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하수 거동 모델인 MODFLOW와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확산, 분산, 화학반응 등을 해석할 수 있는 MT3D를 이용하여 안정화 공사 이후 부정류 상태에서 침출수 거동을 해석하였다. 침출수 발생량은 최근 10년간의 기상자료를 이용해서 HELP모델로 산출하였다. 침출수 거동은 차수벽, 차수층 설치 전,후의 침출수위 변화에 의해 예측되었다.

  • PDF

역해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위예측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placement Prediction Method using the Inverse Analysis Algorithm)

  • 박현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920-9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하굴착공사에서 굴착단계별 변위형상도를 미리 예측하는 기법에 관하여 역해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장시공사례에 적용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IT 분야의 정보 처리 지식이 필요하고 전공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건설 분야에 알고리즘의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법에서 예측변위형상도는 굴착시공 시 연속벽체에 작용하는 토압과 연관이 있으며 이는 앵커 제거 후 시공하는 연속벽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굴착단계별 변위형상도를 미리 예측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3곳의 지하연속벽을 사용한 현장에 반복적 역해석 알고리즘 기법을 세 단계로 적용하여 최종굴착 시 계측변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계측치와의 변위형상도가 잘 일치하고 있어 본 연구의 해석기법에 대한 타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uO-NiO 혼합분말의 동결건조 및 수소환원에 의한 Cu-Ni 다공체 제조 (Fabrication of Porous Cu-Ni by Freeze Drying and Hydrogen Reduction of CuO-NiO Powder Mixture)

  • 서한길;오승탁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38
    • /
    • 2014
  • Cu-Ni alloys with unidirectionally aligned pores were prepared by freeze-drying process of CuO-NiO/camphene slurry. Camphene slurries with dispersion stability by the addition of oligomeric polyester were frozen at $-25^{\circ}C$, and pores in the frozen specimens were generated by sublimation of the camphene during drying in air. The green bodies were hydrogen-reduced at $300^{\circ}C$ and sintered at $850^{\circ}C$ for 1 h. X-ray diffr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CuO-NiO composite powders were completely converted to Cu-Ni alloy without any reaction phases by hydrogen reduction. The sintered samples showed large and aligned parallel pores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and small pores in the internal wall of large pores. The pore size and porosity decreased with increase in CuO-NiO content from 5 to 10 vol%. The change of pore characteristics was explained by the degree of powder rearrangement in slurry and the accumulation behavior of powders in the interdendritic spaces of solidified camph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