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udge mixture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4초

Study properties of soft subgrade soil stabilized by sewage sludge/lime and nano-SiO2

  • Lin, Deng-Fong;Luo, Huan-Lin;Chen, Chien-Ta;Cai, Ming-D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0권6호
    • /
    • pp.793-806
    • /
    • 2016
  • The pozzolanic characteristics of a sludge incinerated into ash were determined in this study. Lime is commonly used as a stabilizer for the treatment of soils, whereas sewage sludge ash (SSA) is often applied with lime to improve soft subgrade soil. In this study, a cohesive soil categorized as A-4 (low-plasticity clay) by AASHTO classifications was mixed with SSA/lime with a 3:1 ratio. Nano-$SiO_2$ was also added to the soil. To identify changes in the workability, strength, permeability, and shear strength of the soft subgrade soil, basic soil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treated soil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SSA/lime mixtures improve the properties of soft subgrade soil and transform the soil from "poor subgrade soil" to "good to excellent subgrade soil" with a CBR > 8. Additionally, the addition of 2% nano-$SiO_2$ increases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soft subgrade soil treated with SSA/lime mixture by approximately 17 kPa. However, the swelling of the treated soil increased by approximately 0.1% after the addition of nano-$SiO_2$ and lime. Thus, soil swelling should be considered before lime and nano-$SiO_2$ are applied to soft subgrade soil.

빨간지렁이(Lumbricus rubellus)를 이용(利用)한 산업폐유기물(産業廢有機物)의 분해물질(分解物質)이 시설원예(施設園藝) 상토특성(床土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II. 빨간지렁이와 그 분(糞)의 특성(特性) (Study on Properties of Pot media under Controlled Horticulture for Compost from Agro-industrial Wastes by Earthworm(Lumbricus rubellus) II. The Characteristics of Red Worm and Its Cast)

  • 김성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4-219
    • /
    • 1990
  • 빨간지렁이와 그분(糞)의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제지박(製紙粕), 제지박(製紙粕)(50)+스럿지(50), 우분(牛糞)(50)+스럿지(50)으로 처리(處理)하여 6개월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지렁이의 생육적온(生育適溫)은 $16{\sim}25^{\circ}C$였으며,월평균증체량(月平均增體量)은 $m^2$당(當) 1kg 정도였다. 2. 제지박(製紙粕) 단일처리에 비(比)하여 제지박(製紙粕)(50)+스럿지(50) 처리(處理), 우분(牛糞)(50)+스럿지(50)처리(處理)에서 각각 9~11% 증가(增加)되었다. 3. 지렁이에는 필수(必須) 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含量)이 건물중당 3% 정도로 많아 사료첨가제(飼料添加製)로의 이용가치(利用價値)가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4. 지렁이분(糞) 생산량(生産量)은 건물중(乾物重)으로 연간(年間) 10a당 90~95톤이었다. 5. 지렁이엽(糞)은 CEC(19.4~49.9me/100g)및 각종 무기물(無機物) 함량(含量)이 높아 비료자원(肥料資源)으로의 활용가치(活用價値)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탄화왕겨, 제지슬러지, 커피찌거기 및 실리카 혼합물로부터 탄화규소 결정체 합성 (SiC aggregates synthesized from carbonized rice husks, paper sludge, coffee grounds, and silica powder)

  • 박경욱;윤영훈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5-4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성분으로서 탄화왕겨, 제지슬러지, 커피찌꺼기와 실리카 분말로부터, 비교적 미세한 탄화규소 결정질 응집체를 합성하였다. 탄소성분들과 실리카의 혼합물로부터 탄화규소 응집체를 얻기 위한 주요 반응물질은 열탄화환원 반응에 의해 생성된 일산화규소 기체로 추정되었다. 탄화왕겨, 제지슬러지, 커피찌꺼기와 실리카 분말의 혼합물로부터 열탄화환원반응법을 거쳐 생성된 탄화규소 결정질 응집체들에 대한 XRD 회절패턴으로부터 결정상을 분석하였고, FE-SEM과 FE-TEM을 통한 미세구조, 결정구조 분석이 이루어졌다. 탄화왕겨, 제지슬러지, 그리고 실리카 분말의 시료의 경우, XRD 분석에서는 $35^{\circ}$ 부근의 (111) peak은 비교적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탄화왕겨, 제지슬러지, 커피찌꺼기와 실리카 분말의 혼합물로부터 합성된 시료들에 대해 FE-SEM 관찰을 통하여 $1{\mu}m$ 이하의 미세입자들을 관찰하였으며, TEM 측정 결과에서는 탄화규소 결정질상의 (110) 회절패턴들을 확인하였다.

구연산을 이용한 돈분슬러지의 중금속 제거 및 안정성평가를 위한 사료용 옥수수의 시비반응 연구 (The City Rhinoreaction Research of the Corn Feed for the Heavy Metal Removal of the Pig Ordure Sludge Using the Citric Acid and Stability Evaluation)

  • 오태석;김창호;최봉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5-408
    • /
    • 2011
  • 본 연구는 돈분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와 아연을 제거하여 합리적인 돈분슬러지 자원화비료 생산법을 연구하였고, 돈분슬러지 자원화비료를 시비 후 사일리지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돈분슬러지 자원화비료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돈분슬러지의 화학적 특성으로 질소와 인산의 함량은 각각 4.4와 6.29%였으며, 구리와 아연의 함량은 각각 805와 $1,704\;mg\;kg^{-1}$이었다. 구연산을 유기산 용액으로 제조하여 돈분슬러지의 구리와 아연 제거율은 유기산용액의 혼합비율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유기산용액 100% 수준에서 구리는 59%, 아연은 97%까지 제거하였다. 구연산으로 구리와 아연을 제거한 후 퇴비화과정에서도 처리구 2는 15일 후 발아지수가 100으로 가장 높았고 처리구 3이 80으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자원화비료로 생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돈분슬러지로 제조된 자원화비료를 시비한 후 재배한 옥수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 1과 2는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돈분슬러지만을 자원화한 뒤 시비한 처리구 3에서 엽면적 등의 생육특성이 불량하였으며 조명나방과 깨씨무늬병의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많았다. 옥수수의 사료가치 측면에서 처리구 2는 ADF, NDF 및 조단백질 함량이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처리구 3은 줄기와 잎의 노화정도가 높아 ADF 값이 낮았으나 돈분슬러지가 가진 질소성분과 정의상관관계를 보인 조단백질 함량은 다른 처리구 보다 높았다. 안정성측면에서는 구리와 아연이 제거된 처리구 2의 토양은 처리구 3 보다 구리의 경우에는 44%, 아연의 경우에는 19% 수준으로 낮았고 옥수수내의 구리와 아연의 함량도 처리구 3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처리구 2와 처리구 3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Characterization of TCE-Degrading Bacteria and Their Application to Wastewater Treatment

  • Lee, Wan-Seok;Park, Chan-Sun;Kim, Jang-Eok;Yoon, Byung-Dae;Oh, Hee-Mo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569-575
    • /
    • 2002
  • Two bacterial strains capable of degrading trichloroethylene (TCE), isolated form soils contaminated with various chlorinated alkenes, were identified as Alcaligenes odorous N6 and Nocardia sp. Hl7. In addition, four KCTC strains, including three strains of Pseudomonas putida and one strain of Sphingomonas chlorophenolica, exhibited an ability to degrade toluene. A. odorans N6 and Nocardia sp. H17 degraded 84% of the initial amount of TCE in a basal salts medium (BSM), containing 0.2 mM TCE as the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in a day. The optimal pH for growth was within a range of 7.0-8.0. A mixed culture of the four toluene-degrading isolates degraded 95% of 0.2 mM TCE with 1.5 mM toluene as an inducer, whereas no TCE was degraded by the same mixture without an inducer. When a mixed culture of all 6 isolates was used,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0.2 mM TCE was 72% without an inducer, in a day, and 82% with toluene as an inducer. In a continuous treatment, 1,000 mg/1 of TCE in an artificial wastewater was completely removed within 18 h when an activated sludge was used along with the microbial mixture, which was 27 h laster than when only an activated sludge was used. Accordingly, it would appear that such a microbial mixture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TCE with or without an inducer.

무기계고화재의 슬러지 개량토 제조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t Study on the Preparation of Sludge Modified Soils of Inorganic Consolidation Soil)

  • 한두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57-162
    • /
    • 2017
  • 제지슬러지 소각재, 용광로 슬래그 미세분말 생석회, 무수석고 및 프라이애쉬 등을 혼합하여 무기계고화재를 제조하였다. 슬러지 처리용으로 개발된 고화재의 주성분은 SiO, $Al_2O_3$, $TiO_2$, $Fe_2O_3$, $Mn_2O_3$, CaO, MgO, $Na_2O$, $K_2O$, $P_2O$, $SO_3$이었다. 시멘트와 달리, 개발된 고화재에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Cr^{6+}$가 함유되지 않았다. 중금속 및 기름 오염토를 고화재와 혼합한 후 7일간 양생하여 빗물용출실험을 시행한 결과 중금속이 미미하였다. 하수슬러지 케이크 및 음식물쓰레기와 고화재를 각각 혼합하여 7일 양생 후 토양성분실험을 한 결과 중금속 함량이 환경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슬러지, 고화재 및 첨가제 혼합시료를 비이커에 혼합한 후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한 결과 3일 후 0이 되었다.

껍질 형태의 과일폐기물과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회분식 혐기 소화공정에서 메탄 생산 (Methane Production Using Peel-type Fruit Wastes and Sewage Sludge in Batch Anaerobic Digestion Process)

  • 정태영;이종학;정형근;차형준;최석순
    • 공업화학
    • /
    • 제20권5호
    • /
    • pp.542-546
    • /
    • 2009
  • 본 연구는 사과나 귤의 껍질류 과일 폐기물과 하수슬러지가 혼합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회분식 혐기 분해공정에서 메탄 생산이 고찰되었다. 사과껍질 또는 귤껍질이 하수슬러지와 혼합된 기질로 사용되어졌을 때, 3 : 7의 혼합비로 운전한 것이 가장 높은 메탄 생산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비율 이상에서는 사과와 귤 껍질이 함유된 유기산으로 인하여 혼합물의 pH가 8.0에서 4.5~4.7으로 감소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메탄 생산이 낮아졌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사과, 귤 껍질과 하수슬러지의 혼합된 회분식 혐기 소화 공정에서 바이오에너지로서 메탄가스의 생산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순환 슬러지 및 순환 유리골재를 사용한 순환 상온아스팔트 혼합물의 기초특성 (Fundamental Properties of Recycled Cold Asphalt Mixtures with Recycled Sludge and Recycled Glass Aggregate)

  • 이후석;강석표;강혜주;이민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02-309
    • /
    • 2020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시설에서 발생하고 있는 폐슬러지를 건조 분쇄한 순환 슬러지와 재활용되지 못하는 폐유리병을 가공처리한 순환 유리골재를 순환 상온아스팔트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순환 슬러지 및 순환 유리골재의 사용에 따른 순환 상온아스팔트의 특성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순환 슬러지를 채움재로서 사용량을 증가할수록 순환 상온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안정도, 간접인강강도, 인장강도비는 감소하고 흐름값, 공극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환 유리골재를 사용함으로서 순환 상온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 안정도, 간접인강강도, 인장강도비는 감소하고 흐름값, 공극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와 석탄 및 우드 펠렛의 혼소 특성 및 슬래깅 성향 연구 (Co-firing Characteristics and Slagging Behavior of Sewage Sludge with Coal and Wood Pellet in a Bubbling Fluidized Bed)

  • 안형준;김동희;이영재
    • 청정기술
    • /
    • 제24권4호
    • /
    • pp.323-331
    • /
    • 2018
  • 실험실 규모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하수 슬러지와 석탄 및 우드 펠렛의 혼소 실험 및 회분 분석을 통한 슬래깅 성향을 살펴보았다. 연료는 일반 건조 및 수열탄화를 통해 제작된 하수 슬러지와 아역청탄, 우드 펠렛이 적용되었다. 연소 실험은 당량비 및 산화제 유량, 초기 온도를 고정하고 2종의 하수 슬러지 연료와 석탄 또는 우드 펠렛을 발열량 기준 50 : 50 비율로 혼합한 총 4개의 조건에 대해 반응기 온도 및 배가스 조성을 측정하였다. 배가스 중 $NO_x$는 모든 조건에서 대부분 NO의 형태로 400 ~ 600 ppm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SO_2$는 원료 내 황 함량을 고려하면 하수 슬러지의 투입량이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열탄화 연료가 일반 건조 연료에 비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비산 회분 조성 분석 결과 하수 슬러지 연료가 슬래깅/파울링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생각되며, 수열탄화 연료가 일반 건조 연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