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udge Waste

검색결과 776건 처리시간 0.031초

-기술정보- 연속유입 KIDEA에서 공정변화에 따른 인제거 및 탈수 함수율 상관관계 (The evaluation of T-P removal and dewaterability under the operation change in KIDEA process)

  • 연승준;허희승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9-182
    • /
    • 2008
  • The KIDEA process, occurred in single reactor, is operated by three consequential steps, i.e., aerobic, settling, and discharge while introducing wastewater into the bottom of reactor continuously. It could accomplish biological oxidation (BOD),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T-N), phosphate removal (T-P), and solid separation (SS) through the operational mode mentioned. Especially, this system has removed the T-P by wasting certain amount of sludge at the end of aeration phase during 5~10 minutes and not returned the activated sludge into the reactor, that is, no RAS (Return Activated Sludge). All running mode and instrumentation were controlled by the PLC equipment automatically. In this study, therefore, we have evaluated T-P removal efficiency and moisture content (MC) performance under the different excess sludge wasting mode. T-P track study and MC with TS concentration were analyzed during aerobic and settling phase. It h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leased T-P concentration between the first case which waste the sludge at the end of aerobic phase (0.2mg/L) and the second case which waste the sludge at 40 min of settling phase (0.25mg/L). Also, dewatering duration and MC have decreased 1.7% when T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0.31% to 0.5% during aerobic condition. Hence, it has concluded the system performance was less influenced by the operation time change of PLC program.

지렁이를 이용(利用)한 피혁(皮革) 슬러지의 퇴비화(堆肥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 (Vermicomposting of Leather Waste Sludge by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I))

  • 손희정;김형석;송영채;성낙창;김수생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77-85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피혁슬러지의 부숙기간별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지렁이의 생존율, 증체량, 부화율 등을 조사함으로서 지렁이를 이용한 안정화 및 처리, 처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지렁이의 급이 조건에 적합한 피혁슬러지의 부숙기간은 산화환원전위(Eh), 알카리도에 대하여 각각 30일, 35일로 평가되었으며, 부숙기간동안 피혁슬러지의 pH 역시 초기 7.8에서 지렁이의 생육에 적합한 중성영역으로 점차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50일 부숙시킨 피혁슬러지의 이화학적 특성은 pH는 7.1, Eh는 85mV, 알카리도는 450ppm $CaCO_3$로 조사되었으며, 중금속함량은 여러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50일 부숙시킨 피혁슬러지에서 지렁이 생존율은 $20{\sim}25^{\circ}C$의 생육온도에서 75%, 증체율은 230%, 부화율은 87%의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피혁슬러지는 최대 50일의 부숙기간을 거칠 경우 지렁이를 이용한 퇴비화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he Processing of Livestock Waste Through the Use of Activated Sludge - Treatment with Intermittent Aeration Process -

  • Osad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698-701
    • /
    • 2000
  • To prevent surface and underground water pollution, wastewater treatment is essential. Four bench-scale activated sludge units (10 L operational volumes) were operated at 5, 10 and $20^{\circ}C$ for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ies with typical wastewater from swine housing. The units were set for a 24-hour cycl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cess, high removal efficiencies for organic substances, nitrogen and phosphorus in swine wastewater were obtained simultaneously with an intermittent aeration process (lAP). The NOx-N produced during an aeration period was immediately reduced to nitrogen gas (e.g. $N_2$ or $N_2O$) in the subsequent non-aeration periods, and nitrification in aeration periods occurred smoothly. Under these conditions, phosphorus removal occurred with the release of phosphorus during the non-aeration periods followed by the excess uptake of phosphorus in the activated sludge during aeration peri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lAP had a better ability to remove pollutants under both low temperatures and high nitrogen loading conditions than the ordinary method did. In addition to that, the total emission of $N_2O$ from lAP was reduced to approximately 1/50 of the conventional process for the same loading. By adopting an adequate aeration programme for individual swine wastewater treatment, this system will provide a promising means for nitrogen and phosphorus control without pH control or addition of methanol.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가능성 및 퇴비 이용 전망 평가 (State and Prospects of Organic Waste Composting in Korea)

  • 신항식;황응주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2호
    • /
    • pp.7-3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기성 폐기물의 발생 현황과 자원화 가능성을 산출, 평가하고 현재의 퇴비화 처리 및 이용을 조사한 후 앞으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유기성 폐기물의 대표격인 음식물찌꺼기는 정부의 꾸준한 감소노력으로 점차 발생량이 감소하고 재활용율도 '97년 9.6%까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재활용율은 아직 미진한 수준으로 더욱 더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적극적인 분리수거, 재활용 체계 구축이 꾸준히 진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97년 전국 축산분뇨의 발생량은 126,339톤/일로서 '94년 발생량 112,750톤/일 보다 11.2%가 증가한 것으로 산출되었고, 전국 77개소의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하수처리슬러지는 '96년도에 하수처리량의 0.03%에 달하는 하루 3,500톤 정도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일반 유기성 폐기물과 별도의 관리를 필요로 하는 사업장 지정 폐기물 중 유기물류 등 '96년도 전체 유기성 산업폐기물의 잠재에너지함량은 연간 288만TOE로 산출되었으며 이는 '96년 우리나라 1차에너지 총소비량 1억6천5백만TOE (통상산업부, 1997)의 1.75%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중 폐수처리 오니는 재활용율이 31%대에 그치고 상대적으로 매립처리의 비율이 높은 상태로서 발생량이 큰 것을 감안할 때 향후 보다 더 재활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퇴비화 원료는 주로 축산폐기물, 인분, 식품가공 부산물, 어박류, 부엽토, 톱밥 등이었으며, 최근에 이르러 비로소 음식물쓰레기, 오니류의 퇴비화가 시도되고 있었다. 퇴비생산량은 '96년 4월 현재 288개 생산업체에서 약 42만톤 정도를 생산하고 있었으며, 농업용으로의 사용이 가장 많았고 그 외 산림용이나 조경용으로의 사용은 매우 제한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퇴비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퇴비제품 규격의 표준화, 퇴비분석 및 품질관리 방법의 확립, 분리수거 및 퇴비화를 통한 품질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도시 산업 유기성 폐기물 퇴비의 사용 증대를 위해 확실한 부숙퇴비의 생산과 함께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줄이는 것이 퇴비 생산량의 증가 못지 않게 중요하다 판단되었다.

  • PDF

도장부스 수조 내 슬러지 처리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Sludge Treatment System in Water Bath of Painting Booth)

  • 이찬;차상원;유영돈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0-36
    • /
    • 2005
  • A sludge treatment system for introducing the waste water mixture with paint sludge from the water bath of paint booth and for recycling cleaned water to paint booth after sludge separation is developed. Floated sludge is introduced from the water surface in the bath by using floating-skimmer, and is conveyed by pump to the centrifugal separator where sludge and cleaned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present sludge treatment systems applied in actual paint booths, paint sludge can be separated automatically and effectively from water bath with its water content of $60-70\%$, and sludge-free clean water is returned to paint booth.

도장부스 수조 내 슬러지 처리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Sludge Treatment System in Water Bath of Painting Booth)

  • 이찬;차상원;유영돈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4년도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259-266
    • /
    • 2004
  • Developed is a sludge treatment system for introducing the waste water mixture with paint sludge from the water bath of paint booth and for recycling cleaned water to paint booth after sludge separation. Floated sludge is introduced from the water surface in the bath by using floating skimmer, and is conveyed by pump to the centrifugal separator where sludge and cleaned water are separated. From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present sludge treatment systems applied in actual paint booths, paint sludge can be separated automatically and effectively from water bath with its water content of $60-70\%$, and sludge-free clean water is returned to paint booth.

  • PDF

오존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감량화와 안정화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Sewage Sludge by Ozonation)

  • 이창근;황은주;강성재;빈정인;이병헌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0-295
    • /
    • 2004
  • In this study, ozone was adopted for the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waste sludge from the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The waste sludge used in the experiments was primary sludge, excess sludge and a mixture of the two. The sludge cells and flocs were disrupted by ozonation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TSS and VSS concentrations. In the case of the primary sludge with a concentration of 20 gTS/L, the TSS and VS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28%, 33% and the TCOD concentration was reduced 20% respectively. The consumption of ozone was $0.18gO_3/gSS$. In the case of the excess sludge with a concentration of 7.5 gTS/L, the TSS and VS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37%, 41%, and the TCOD concentration was reduced 19% respectively. The consumption of ozone was $0.33gO_3/gSS$. In the case of the mixed sludge of 9.3 gTS/L, the TSS and VSS concentrations were reduced by 45%, 53%, and the TCOD was reduced 26% respectively. The desirable consumption of ozone was $0.27gO_3/gSS$. As ozonation proceeded, the level of SCOD increased due to the release of intracellular materials. However TCOD was reduced due to mineralization resulting from the transformation of organic materials to inorganic materials.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 혼합비율에 따른 반탄화 생성물의 연료적 특성비교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ties torrefied product according to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mixing ratio)

  • 김현숙;박대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4-270
    • /
    • 2016
  • 음식물류폐기물의 에너지 잠재량은 2,206 천TOE 임에도 대부분 사료화와 퇴비화로 약 85.5%가 재활용 되고 있으며, 해당 시설에서 생산된 제품 중 사료화는 72%, 퇴비화는 61%가 무상판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음식물류폐기물을 반탄화 반응을 이용하여 연료화하고자 한다. 하지만 음식물류폐기물만 단독으로 연료화 할 경우 연료적 가치가 낮아짐을 예방하고자 하수슬러지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비율은 10:0, 8:2, 6:4, 5:5로 하였다. 실험 결과 혼합 비율에 상관없이 반응온도 $240^{\circ}C$이상에서 함수율 10% 이하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정탄소의 경우 반응온도가 높아질수록, 하수슬러지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초기 1.1%에서 최대 약 36% 로(혼합비율 6:4, 반응온도 $270^{\circ}C$) 측정 되었으며, 발열량의 경우 반응온도 $240^{\circ}C$부터 고형연료제품기준인 3,000Kcal/Kg 이상에 만족하는 발열량을 나타내었으며, 초기시료보다 약 6배 정도 증가한 발열량을 얻을 수 있었다. Van krevelen Diagram이 Lignite 범위까지 이동하였으며, 슬러지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은 연료비와 5,500Kcal/kg 이하의 연소성지수를 얻을 수 있었다. 하수슬러지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발열량은 감소하지만, 고정탄소 함량 증가, 연료비 개선 등으로 음식물류폐기물만 단독 고형연료화 한 것 보다 연료로써의 품질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MP실험을 이용한 음식물폐기물 및 분뇨의 병합소화 특성 (Characteristics for Co-digestion of Food Waste and Night Soil using BMP Test)

  • 조진규;김형진;오대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9호
    • /
    • pp.13-18
    • /
    • 2014
  • 분뇨/정화조슬러지와 음식물폐기물의 병합소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MP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생슬러지, 잉여슬러지, 소화슬러지, 분뇨/정화조슬러지(1:1의 비율로 조성), 음식물폐기물(음식물 파쇄물과 희석수의 비=1:1) 및 혼합슬러지의 6개의 슬러지를 대상으로 30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바이오가스 발생은 초기 2일 이후부터 활발히 시작되어 2주 동안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발생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7~8일 사이에 가스발생량이 최대값을 보였으며, Modified Gompertz model을 이용한 생슬러지, 잉여슬러지, 소화슬러지, 분뇨/정화조슬러지, 음식물폐기물 및 혼합슬러지의 단위메탄생산량은 각각 64.63, 67.49, 66.45, 72.44, 107.85, 46.71 mL $CH_4/g$ VS로 나타났다. 혼합슬러지의 지체성장기간은 1.88 day이었으며, 최대메탄생산속도는 80.4 mL/day로 나타났다. 따라서 메탄생성퍼텐셜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소화조에 투입되는 음식물폐기물의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빈부하 문제 해결과 동시에 소화조의 안정적인 운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