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 release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5초

이앙직전 벼 육묘상자 살포용 완효성 비료의 처리 효과 (Effect of the Slow-releasing Fertilizer Applied Directly to Rice Seedling Tray Before Transplanting and Practical Test at Field)

  • 지정현;최병열;조광래;김순재;박경열;권오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8-14
    • /
    • 2013
  • 벼 재배시 본답의 기비와 분얼비를 대체하여 묘판에 1회 시비하는 용출제어형 입상배합(Bulk Blending) 피복비료를 시용 후 벼 생육과 수량, 품질, 경제성 등 완효성비료의 처리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육묘상비료의 T-N용출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고 온도에 관계 없이 분얼비 시용 시점인 14일경부터 높아져 21일경 최고에 달했다. 2. 이앙 후 60일에서 질소흡수이용율은 표준시비 28.6%에 비하여 개발된 육묘상 비료가 높았으며 200 g시비구에서 73.1%, 300 g시비구에서 66.1%로 나타났다. 3. 생육단계별(최고분얼기, 유슈형성기 등) 초장, 경수, SPAD값 생육상황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 시비에서 표준과 대등하였다. 4. 성숙기에도 간장, 수장, 단위면적당 수수는 개발된 육묘상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 표준과 같거나 많았다. 5. 10a당 백미수량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시비량별로 보면 표준시비 528 kg 대비 개발된 육묘상 비료 300 g/상자 이상 시비구에서 525~552 kg으로 대등하거나 많았다. 6. 백미 품질은 개발된 육묘상비료 시용량이 많을 수록 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완전미율, 아밀로스함량, 백도, 투명도는 비료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7. 따라서 표준시비량 이상의 수량과 품질 및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개발된 육묘상 비료의 적정 시비량은 300 g/상자(실비. 9 kg/10 a)이었다. 8. 시비량은 육묘상비료가 표준시비에 비해 49.3% 절감되었고, 시비노동력도 49.2% 절감되었다.

벼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栽培)시 인산(燐酸)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 of Phosphate Coated Slow Release Fertilizer on Yield of Directly Seeded Rice)

  • 정영상;이호진;하상건;조병옥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8-113
    • /
    • 1997
  • 건답(乾畓) 직파시(直播時)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와 유기질(有機質) 비료시용(肥料施用) 효과(效果)를 강원도(江原道) 춘천시(春川市) 천전리(泉田里)의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농업생명과학대학(農業生命科學大學) 부속농장(附屬農場)에서 포장(圃場) 시험(試驗)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직파(直播)된 품종(品種)은 오대벼이었다. 질소(窒素)의 수준은 15kg/10a를 표준으로 보아, 요소(尿素)의 분시(分施) 방법(方法)으로 분시(分施) 비율(比率) 40-0-30-30과 0-40-30-30 처리(處理)를 두고,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와 polymer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기비처리(基肥處理)를 두었다. 요소(尿素) 시용구(施用區)에서 인산(燐酸)과 칼리는 각각 7kg과 8kg/10a 수준으로 기비(基肥) 처리(處理)하였다.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로 춘천시 신북농협에서 공급되는 계분 톱밥 발효 퇴비를 400kg/10a 시용(施用)구 및 400kg/10a 기비시용구(基肥施用區)와 N5kg/10a 추비구(追肥區), 그리고 600kg/10a시용구(施用區)를 두었다. 구당 면적(面積)은 $75m^2$이었다. 1995년 포장 시험(試驗) 결과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구(栽培區)의 수량(收量)은 요소(尿素) 시용(施用)구에서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84.9% 수준이었으며, 분시(分施) 방법(方法)간에 차이가 없었다.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의 수량(收量)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95.1%로 높았고 polymer 입힌 완효성비료구(緩效性肥料區)의 수량(收量)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90.4%이었다. 요소시유비기구(尿素施有肥機區)에 비해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400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는 81.8%에 불과하였고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를 다량 시비(施肥)한 600kg/10a구에서는 이앙(移秧) 재배구(栽培區) 수량(收量)의 94.8%이었다. 1996년 포장 시험(試驗)에서는 인산(燐酸) 입힌 유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효과(效果)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보다 증수(增收)된 결과(結果)를 보여 주었다. 토양(土壤)의 깊이 15cm에서 질산태(窒酸態) 질소(窒素)와 암모니아태 질소(窒素)의 농도(濃度)로 보아 질소(窒素)의 용탈이 요소(尿素)40-0-30-30구(區)에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구(施用區)이며,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깊이에서의 인의 농도(濃度)로 보아 인(燐)의 용탈(溶脫)이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구에서 가장 많고, 인산(燐酸)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시용(施用) 효과(效果)가 좋은 이유는 비료(肥料) 성분이 서서히 용출(溶出)되어 나와 효과적(效果的)으로 작물에 공급된 한편 비료(肥料) 성분의 손실(損失)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In vitro Reten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iprofloxacin-incorporated Central Venous Catheters

  • Jeon, Sung-Min;Kim, Mal-Nam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5-182
    • /
    • 2007
  • In vitro ciprofloxacin (CFX)-release study and bioassay using microorganism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reten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FX-incorporated central venous catheters (CFX-CVCs). The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optional CFX-release conditions to mimic the in vivo environment. The release of CFX experienced an initial burst followed by a slow and steady matrix-diffusion controlled release. The 1.0CP (polyurethane catheter containing 1.0% (w/w) of CFX) under dynamic condition showed a near zero-order CFX release profile, which is beneficial for the long-tenn antimicrobial activity. The modified Kirby-Bauer method was performed employing S. aureus and E. coli to evaluate the reten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atheters retrieved from the release experiments. The 1.0CP showed the long-term antimicrobial activity (${\geq}\;21$ days) against both S. aureus and E. coli. These results indicate that 1.0CP is useful as a long-tenn indwelling CVC.

  • PDF

급경사 비탈면의 녹화 공법 개발 -종자부착 리핑네트공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thods for Restoration of the Disturbed Slopes -Application on the Seed Attached Ripping Net Revegetation Methods-)

  • 김의영;김남춘;강진형;배선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1-6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revegetation methods for the restoration of the steep slopes by seed attached ripping net revegetation methods. In general, steep slopes with decomposed granite soils and ripping rock are easy to erode by precipitation and impossible to revegetate only using hydroseeding with core net mulching because of poor soil fertility. The Seed Attached Ripping Net Revegetation Methods(SALNRM) will be the most popular and sustainable methods to restore decomposed granite soils and ripping rock exposed slope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et size with $1.5cm{\times}1.0cm$ density was more suitable for growing plants, and increasing the ratio of the slow release fertilizer was better to make early coverage and to grow germinated plants. 2. The fertilizer bag made by the ratio of Peatmose : Vermiculite : Perlite : Quick release fertilize r : Slow release fertilizer = 10 : 2 : 5 : 3 : 4 (v : v) was the best for plant's growth. 3. According to the seed mixture experiments, even though not using foreign grasses, the SALNRM using native plants can make diverse plant composition. 4. The SALNRM will make same early ground coverage by only using native plants like using foreign grasses. The SALNRM would become the popular revegetation methods to restore decomposed granite soils and ripping rock exposed slopes in Korea.

염산에틸에프린의 마이크로캅셀에 관한 약제학적 연구 (Pharmaceutical Studies on Microencapsulated Etilefrine Hydrochloride)

  • 김종갑;최수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6권1호
    • /
    • pp.12-17
    • /
    • 1986
  • Etilefrine hydrochloride was microencapsulated with ethylcellulose by phase separation method to develop a sustained release dosage form. The results of dissolution test carried out with various microcapsules showed that the drug releas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particle size of microcapsules at a constant core to wall ratio, and with decreasing the core to wall ratio. Also ethylcellulose 50 cps and fast stirring rate (900 rpm) was better in decreasing the drug release than ethylcellulose 22 cps and slow stirring rate (300 rpm), respectively.

  • PDF

Properties of Spontaneous Activity in Gastric Smooth Muscle

  • Suzuki, H.;Yamamoto, Y.;Hirst, G.D.S.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3권2호
    • /
    • pp.119-125
    • /
    • 1999
  • Mammalian gastric smooth muscles generate spontaneous rhythmic contract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slow oscillatory potentials (slow waves) and spike potentials. Spike potentials are blocked by organic $Ca^{2+}-antagonists,$ indicating that these result from the activation of L-type $Ca^{2+}-channel.$ However, the cell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generation of slow wave remain unclear. Slow waves are insensitive to $Ca^{2+}-antagonists$ but are blocked by metabolic inhibitors or low temperature. Recently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serve as pacemaker cells and a slow wave reflects the coordinated behavior of both ICC and smooth muscle cells. Small segments of circular smooth muscle isolated from antrum of the guinea-pig stomach generated two types of electrical events; irregular small amplitude (1 to 7 mV) of transient depolarization and larger amplitude (20 to 30 mV) of slow depolarization (regenerative potential). Transient depolarization occurred irregularly and membrane depolarization increased their frequency. Regenerative potentials were generated rhythmically and appeared to result from summed transient depolarizations. Spike potentials, sensitive to nifedipine, were generated on the peaks of regenerative potentials. Depolarization of the membrane evoked regenerative potentials with long latencies (1 to 2 s). These potentials had long partial refractory periods (15 to 20 s). They were inhibited by low concentrations of caffeine, perhaps reflecting either depletion of $Ca^{2+}$ from SR or inhibition of InsP3 receptors, by buffering $Ca^{2+}$ to low levels with BAPTA or by depleting $Ca^{2+}$ from SR with CPA. They persisted in the presence of $Ca^{2+}-sensitive$ $Cl^--channel$ blockers, niflumic acid and DIDS or $Co^{2+},$ a non selective $Ca^{2+}-channel$ block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ontaneous activity of gastric smooth muscle results from $Ca^{2+}$ release from SR, followed by activation of $Ca^{2+}-dependent$ ion channels other than $Cl^-$ channels, with the release of $Ca^{2+}$ from SR being triggered by membrane depolarization.

  • PDF

완효성을 위한 광물질 피복의 제조와 용출특성연구 (Fabrication of Mineral Coating for Slow-releasing Action and Characteristic)

  • 김병곤;이계승;박종력;전호석;최종명;김이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77-382
    • /
    • 2007
  • 완효성을 부여하려는 물질의 외부에 광물입자를 이용하여 피복형 구조체를 제조하고 이의 방출조절능력을 카리비료에 대한 용출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황산칼륨을 구형의 펠릿으로 제조하고 이의 표면에 평균입도 $13.0{\mu}m$$27.4{\mu}m$인 두 가지 장석분말을 이용하여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구조체의 두께와 소성하는 온도를 달리하여 펠릿을 제조하고 용출실험을 통해 구조체의 완효성 발현능력을 평가하였다. 칼륨의 용출은 burst effect효과가 커서 초기 용출율이 높았는데, 소성온도가 낮고 구조체가 얇은 시료에서 크게 나타났다. $1{\sim}55{\mu}m$의 입도를 갖는 장석 보다 $1{\sim}130{\mu}m$의 입도를 갖는 장석에 의한 구조체가 더 높은 충진율에 의해 용출속도를 늦출 수 있었다. 용출속도는 약 7일부터 정상상태의 용출속도를 보이기 시작하였고 용출패턴은 펠릿에 남아있는 칼륨의 농도에 비례하는 first order kinetic의 패턴을 나타내었다. 평균입도 $27.4{\mu}m$인 장석으로 1~2.6mm두께의 피복형 구조체를 만들어 $1050^{\circ}C$에서 소성한 팰릿의 경우에는 40일의 용출율이 약 43%를 나타내었다.

모래지반에서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성장과 조성에 미치는 질소의 유형별 효과 (Evaluation of Various Slow-release Nitrogen Sources for Growth and Establishment of Poa pratensis on Sand-based Systems)

  • 이상국;데이브 미너;닉크리스챤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5-148
    • /
    • 2010
  • 질소는 색감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잔디의 성장에 필요한 17가지 필수 영양성분중에 하나이다. 완효성 비료는 일정한 양의 질소 영양성분을 오랜기간 동안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고 모래지반에서 특히 더 잘 용 탈되는 질소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사용이 된다. 이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완효성 비료가 다른 비율로 시비 되었을때 잔디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총 6가지 질소비료가 실험되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파종과 뗏장을 위해 사용이 되었다. 뗏장으로 조성된 실험구가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 보다 182에서 518 g 예지물을 더 생산하였다. 파종으로 조성된 실험구중에서는 밀오거나이트가 가장 많은 뿌리의 건중량을 생산하였다. 파종과 뗏장은 잔디의 성장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예지물의 양과 뿌리의 건중량에서 차이가 난다. 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밀오거나이트가 다른 5가지의 질소비료 보다 예지물의 생산이 적었으며 지하부의 성장이다 좋았으므로 켄터키블루그래스가 처음 조성이 될때는 밀오거나이트가 권장이 된다.

콩과 고추재배지에서 양분 공급원별 N2O 배출량 평가 (Evaluation of N2O Emissions by Nutrient Source in Soybean and Pepper Fields)

  • 김건엽;이선일;이종식;정현철;최은정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80-686
    • /
    • 2018
  • 작물 재배시에 질소비료와 유기물인 헤어리베치 그리고 LCU효과지연성 복합비료 등 질소공급원별로 토양에 시용하여 $N_2O$ 배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요인들이 $N_2O$ 배출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정량적으로 밝히고 온실가스 배출의 영향 인자들에 대해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N_2O$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토양온도, 토양수분과 무기태질소 등이다. 이 세 가지 요인 중 $N_2O$ 배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기태질소(콩 65.5%, 51.2%)>토양수분함량(콩 19.2%, 고추 28.8%)>토양온도(콩 15.2%, 고추 22.0%) 순으로 나타났다. 수량과 비료이용효율은 LCU효과지연성 복합비료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N_2O$ 배출량은 LCU효과지연성 복합비료와 NPK+헤어리베치 처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종합적인 결과는 수량과 비료이용효율 그리고 낮은 $N_2O$ 배출량을 보인 LCU효과지연성 복합비료 처리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N_2O$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토양 양분관리 기술 개발 연구가 확대되면 온실가스 배출저감 대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압축코팅법에 의한 3단계 약물방출형 지속성제제의 제조 및 용출특성 (Preparation and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mpression-Coated Controlled Release Tablet Exhibiting Three-step Release)

  • 김철수;권혁노;차봉진;권종원;양중익;민신홍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2호
    • /
    • pp.133-137
    • /
    • 1992
  • A novel oral controlled release tablet which may offer more uniform drug level in the body than simple zero-order was developed. The tablet is composed of three layers; outer film layer, middle part compression-coate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matrix layer, and inner core layer. Each layer contains nicardipine HCl as a model drug. In vitro dissolution test showed that the tablet released the drug in clear three steps; a rapid initial release, followed by a constant rate of release, and then a second phase of fast release of drug.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could be modified easily by changing the grade of HPMC, thickness of matrix layer, content of methylcellulose in matrix layer, content of active ingredient in each layer. The pH of dissolution medium did not affect the release profile. This three-step release system is expected to raise the blood concentration rapidly to effective level and to maintain effective blood level longer than simple slow-release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