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 release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8초

난지형 마늘 재배 시 완효성 비료 시용효과 (Effects of Applying Slow-Release Fertilizer on Southern Type Garlic (Allium sativum L.) Cultivation)

  • 송연상;최인후;정병춘;최원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71-475
    • /
    • 2001
  • 난지형 마늘 재배에 있어서 시비노력 절감과 품질향상을 위한 완효성 비료의 시용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육은 관행시비구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시비구가 양호하여 초장이 4-6cm 더 길었고 엽초경이 2mm 이상 더 두꺼웠으며 엽수도 많은 경향이었다. 엽록소 함량은 월동기를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3월 하순 이후에 증가하였으며 생육후기인 5월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종별로는 관행시비구가 추비의 영향으로 엽록소 함량이 완효성 비료 시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완효성 비료 중 CDU100처리구는 엽장이 길고 엽폭이 넓었으며 식물체 전체 중량이 무거웠다. 특히, 대구율이 관행(35.0%)보다 10.9% 높았고, 수량도 관행(1,270kg/10a)보다 5% 증수되었다. 전질소 및 피루브산 함량은 질소 무비구 및 속효성 비료 시비구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 시험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완효성 비료 시용은 10a당 3.5시간의 시비노력이 소요되어 관행인 속효성 비료의 시비시간 4.6시간보다 24%의 시비노력 절감을 가져왔다.

  • PDF

저분자량 polyethylen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한 microencapsulation에 의한 곤충 페로몬의 model 화합물들의 slow release (Slow release of microencapsulated model compounds of insect pheromone using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urea-formaldehyde resin)

  • 김정한;오원택;김용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10-116
    • /
    • 1991
  • Wall 물질로 저분자량 polyethylene(LMPE)과 urea-formaldehyde 수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인 저분자 페로몬과 유사한 특성과 구조를 갖는 모델 화합물로서 citral, n-octanol, 그리고 쌀바구미, 옥수수바구미의 집합 페로몬 활성을 갖는 $({\pm})-5-hydroxy-4-methyl-heptan-3-one$을 microencapsulation하였다. Microencapsulation된 형태는 작은 입자형태의 분말상이었으며, LMPE를 wall물질로 사용한 것 보다는 urea-formaldehyde수지를 사용한 경우가 더 우수한 형태의 polymer를 얻었다. 또한 core 물질의 slow release 효과를 용매 추출법과 headspace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n-octanol과 citral은 40일 이상 그리고 5-hydroxy-4-methyl-heptan-3-one은 15일 이상 지속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slow release되는 방식은 LMPE보다 urea-formal-dehyde 수지가 상대적으로 초기 감소 경향이 완만하며 core 물질을 일정양씩 더 지속적으로 휘발시켰다.

  • PDF

세물차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완효성비료 시비효과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Third-Harvest Tea Leaves)

  • 박장현;최형국;김정근;김길룡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69-273
    • /
    • 2005
  • 세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구의 $313kg\;10a^{-1}$에 비해 완효성비료 N $50kg\;10a^{-1}$구의 $316kg\;10a^{-1}$를 제외한 다른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는 5.8-14.4% 감수하였다. 질소 흡수율과 이용율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N $50kg\;10a^{-1}$ 처리를 제외한 나머지 완효성비료 처리구에서는 총질소, 총아미노산, 엽록소 및 감칠맛의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이 적었고, tannin, caffeine, 비타민 C 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 품질은 N $40kg\;10a^{-1}$을 제외한 나머지 완효성시비구와 관행시비구 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수량 및 품질에서 관행시비나 완효성비료시비 상호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지만, 완효성비료 N $50kg\;10a^{-1}$구에서 기타 처리보다 약간 양호한 경향이었다.

완효성비료의 모래식재지반에 있어서 질소용탈의 감소 (Slow Release Fertilizer Decreases Leaching Loss of Nitrogen in Sand-based Root Zone)

  • 첸웨이펭;왕웨이;퀴잉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7-182
    • /
    • 2007
  • 축구장의 식재지반이 모래로 조성될 경우 낮은 보비력과 높은 용탈율로 인해 시비관리의 조정이 필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PVC관을 이용한 경기장 유사모형 실험구에서 캔터키 블루그래스에 있어서 완효성비료의 생육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잔디의 색깔, 균일도, 생육, 지상부 생체량과배출수의 질산의 유출량을 몇 가지 다른 생육상과 네 번의 유사 강우 시험 시 행하였다. 실험 결과 요소의 성분 유출량이 가장 높았고 공시 완효성비료는 가장 낮았다. 이 완효성 비료는 다른 공시 잔디비료에 비해 14일간, 요소보다는 28일간 잔디의 품질 면에서 비효가 지속되었다. 또한 이 완효성비료는 잔디의 웃자람과 잔디깎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질산태 질소의 유출에 있어서도 잔디의 조성 초반기에 50% 정도를 감소 시켰다.

논토양에서 바이오차르 투입 및 완효성비료 시용에 따른 메탄발생량과 작물생산량 변화 (Changes in Crop Yield and $CH_4$ Emission from Rice Paddy Soils Applied with Biochar and Slow-release Fertilizer)

  • 김대균;조광래;원태진;박인태;유가영
    • 환경생물
    • /
    • 제32권4호
    • /
    • pp.327-334
    • /
    • 2014
  • Emission reduction of $CH_4$ (methane gas) from rice paddy soil is a very important measure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in agricultural secto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rop yield and $CH_4$ emissions in response to application of biochar and fertilizers. The experimental site is located in Hwasung, Kyunggido and experimental design is the split-plot method with three replicates. Treatments included rice straw (RS) and biochar (BC) amendments nested with the conventional NPK fertilizer (NPK) and slow release fertilizer (SRF). Control was also prepared with the soil with the conventional NPK fertilization with no amendment. Measurement of $CH_4$ emission was conducted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14 using a dynamic chamber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application of rice straw increased daily $CH_4$ emission rate by 15%, while application of biochar reduced daily $CH_4$ emission rate by 38%. When we combined biochar application with slow release fertilizer, $CH_4$ emission was reduced by 45%. Further, the crop yield was also increas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except for the treatment of rice straw application with slow release fertilizer. Overall results imply that biochar amendment to agricultural soil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to decrease annual $CH_4$ emission with no reduction in crop yield.

The Effects of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 Using Wastepaper on the Growth of Radish Plants

  • Khan, Modabber Ahmed;Mingzhi, Wang;Lim, Bu-Kug;Lee, Jong-Y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4-259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 (SRNF) on the growth of radish plants. Wastepaper was deinked by alkaline solution and SRNF was produced from fertilizer impregnated wastepaper, which applied to an experimental plot compared with a urea fertilized plot. The plant height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the radishes were higher while they were treated with SRNF than with urea. Some agronomic and chemical components were also observ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ertilizers were found. When the soil was treated with SRNF, the pH,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higher than in the soil which was treated with urea.

망막 ON형 쌍극세포의 광응답에 따른 다중성분의 전달물질 방출에 관한 해석 (Analysis on Multi-Components of Neurotransmitter Release in Response to Light of Retinal ON-Type Bipolar Cells)

  • 정남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22-230
    • /
    • 2013
  • 망막 쌍극세포는 광자극에 대하여 완만한 전위응답을 하며, 막전위에 의존하여 전달물질(glutamine 산)을 방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ON형 쌍극세포의 시냅스 앞단에서 전달물질 방출 기구에 관한 여러 가지의 생리학적 정보를 수식적 모델로 통합하였다. 전달물질 방출의 빠른 성분과 느린 성분의 공급원을 병렬로 배치한 본 모델은 전달물질 방출의 막전위 및 세포 내 $Ca^{2+}$ 농도 의존성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가 있었다. 또한 전달물질의 빠른 방출 성분은 사다리꼴 모양의 막전위 의존성을 나타내는 데에 반하여, 느린 방출 성분은 종모양의 막전위 의존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세포 내의 $Ca^{2+}$ 농도 상승을 $Ca^{2+}$ 완충제로 억제하여 느린 방출 성분이 감소되고, 전달 물질 방출의 막전위 의존성이 사다리꼴 모양의 특성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ON 형 쌍극세포의 광응답에서 일시적 성분과 지속적 성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달물질 방출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광응답의 시작은 전달물질을 빠르게 방출하게 하였으며, 광응답의 일시적 성분과 초기의 지속적 성분은 전달물질을 느리게 방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광응답의 후기 지속적 성분은 저장 pool로부터 보충된 시냅스 소포에 의하여 지속적인 방출이 발생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방출형 이산화염소 가스 젤팩의 미생물 살균 시험 (Sterilization Test of Microorganisms of Slow-released ClO2 Gas Gel-Pack)

  • 이경행;김홍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8-312
    • /
    • 2018
  • Even though chlorine dioxide ($ClO_2$) is utilized in a pre-treatment due to its effective sterilizing activity for microorganisms and its safety for food, it has a limitation in maintaining freshness of the food product. In this study, a low-concentration $ClO_2$ gas was produced in a packaging form of air-permeable gel pack so that it could be released continuously over several days. The amount of $ClO_2$ gas emission and microbial inactivation effe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were measured during the release of $ClO_2$ ga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of color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chlorine dioxide gas was eluted in the form of a sustained release, the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higher gel pack concentration and higher value during storage periods. The slow-released $ClO_2$ gel-pack showed clear inactivation effect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ith 99.9% inactivation efficienc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terilization effect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gas, the sterilization effect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refore, the slow-released $ClO_2$ gel-pack is feasible to apply for industry usages.

Slow Release Substrate를 이용한 Geobacter lovleyi의 TCE 탈염소화 연구 (The Study of TCE Dechlorination using Geobacter lovleyi with Slow Release Substrate Applied)

  • 차재훈;안상우;박재우;장순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9호
    • /
    • pp.53-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Slow Release Substrate(SRS)로 사용되는 TBOS의 분해특성과 TBOS 분해생성물인 acetate와 butyrate를 적용한 탈염소화 효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회분식 실험은 GC/FID를 이용하여 TCE 및 cis-dichloroethene(cis-DCE), 1-butanol, TBOS를 분석하였으며, acetate와 butylate는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혐기성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1M의 TBOS는 4M의 1-butanol로 전환 및 축적되었으며, 가수분해율은 $0.186{\mu}M/day$로 나타났다. 또한, 1-butanol은 퇴적토 내 토착균주에 의해 acetate와 butyrate로 분해되었다. 이 결과 TBOS는 자연에서의 탈염소화 공정에서 SRS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cetate와 butyrate를 전자공여체로 적용한 TCE 탈염소화 반응은 초기 TCE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탈염소화 효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cetate를 적용한 탈염소화 반응의 1차 반응 상수가 butyrate를 적용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탈염소화 반응에서 Geobacter lovleyi의 기질친화도 및 생분해성, 그리고 다양한 기질에 대한 적응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Geobacter lovleyi의 TCE 탈염 소화 반응에 따른 cis-DCE의 축적이 발생할 경우 Geobacter lovleyi의 탈염소화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SRS는 Geobacter lovleyi를 이용한 TCE 탈염소화 공정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cis-DCE는 영가철 같은 환원성 금속이나 공존 가능한 탈염소화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가 함께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완효성 비료를 시용한 논에서의 물관리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Effect of Water Management on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ice Paddies Using a Slow-release Fertilizer)

  • 장은빈;정현철;권효숙;이형석;박혜란;이종문;오택근;이선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2-120
    • /
    • 2023
  • Methane (CH4) and nitrous oxide (N2O) are significant contributors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rice fields. Mid-summer drainage is a commonly practiced water management technique that reduces CH4 emissions from rice fields. Slow-release fertilizers gradually release nutrients over an extended period and have been shown to reduce N2O emissions. However, the combined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and water management on GHG emissions remains unclear. This study compared GHG emissions from a rice paddy subjected to mid-summer drainage for 10 days (control) with that of a rice paddy subjected to prolonged mid-summer drainage for 20 days combined with slow-release fertilizer (W+S). Gas sampling was conducted weekly using a closed chamber method. During the rice cultivation period, cumulative CH4 and N2O emissions were reduced by 12.3% and 16.2%, respectively, in the W+S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Moreover, the W+S treatment exhibited a 1.9% increase in grain yield compared to the control.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slow-release fertilizers, in combination with prolonged mid-summer drainage, proved to be the optimal approach for achieving high crop yield while reducing GHG emissions. This represents an effective strategy to mitigate GHG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