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management program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9초

포집공간 조건에 따른 낙석의 거동 (Rockfall Behavior with Catchment Area Condition)

  • 이준대;권영철;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35-42
    • /
    • 2019
  • 현재 각종 개발사업으로 절토 비탈면은 토지이용에 따라 불가피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관리 주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탐방로 비탈면은 오랜 풍화로 인해 노후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비탈면의 붕괴는 그 불확실성과 발생시점에 대한 예측 불가능으로 불가피한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불가피성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는 사면상부 암괴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에 대해서 현장시험과 이에 대한 컴퓨터 해석프로그램을 통하여 암괴 이동에 따른 운동에너지와 이동거리 등을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연구는 기존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편적인 낙석거동을 예측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국내 상황에 적합한 해석방법이나 매개변수의 결정에 대한 접근이 매우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석의 거동 원리를 파악하고 다양한 매개변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낙석의 유형과 적용되는 인자를 정의하고 범용 낙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개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A Production Method of Landslide Hazard Map by Combin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Selecting Target Site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Lee, Yong-Joon;Park, Geun-Ae;Kim, Seong-Joon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3호
    • /
    • pp.63-68
    • /
    • 2007
  • The LRA(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ducts a quantitative analysis by collecting a lot of samples and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gram) makes use of expert decision influenced by subjective judgment to a certain degree.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mbination method in mapping landslide hazard by giving equal weight for the result of LRA and AHP. Topographic factors(slope, aspect, elevation), soil dram, soil depth and land use were adopted to classify landslide hazard areas. The three methods(LRA, AHP, the combined approach) was applied to a $520km^2$ region located in the middle of South Korea which have occurred 39 landslides during 1999 and 2003. The suggested method showed 58.9% matching rate for the real landslide sites comparing with the classified areas of high-risk landslide While LRA and AHP Showed 46.1% and 48.7% matching rates respectively.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find the optimal combining weight of LRA and AHP with more landslide data.

노선 선정에서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GIS의 적용 (Application of GIS Based AHP for Route Location)

  • 노태호;정인주;이성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5-6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계층분석과정에 대한 노선 선정에 요구되는 자료들을 추출 및 이용하여 합리적인 노선 선정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선정된 노선의 결과를 GIS를 이용하여 시각화 및 분석하였으며, 종단선형을 고려한 선형 프로그램을 개발 및 구축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요약하면 GIS 기반의 계층분석과정을 응용하여 생성된 노선을 기준으로 기존 노선의 적정성에 대한 평가를 정량적으로 할 수 있었으며, 신설될 노선에 적용하면 도로 계획 및 기본 설계에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노선의 평가를 할 수 있었다. 기존의 2차원적 정보에 의한 의사결정시스템에서 종단계획까지 고려한 3차원 정보에 의한 의사결정시스템을 적용함으로서 노선 선정기법을 향상시켰고 종단경사, 토공량, 구조물 규모와 위치, 공사비 등의 정보를 독립 변수로 할 수 있으므로 더욱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도로 설계를 할 수 있었다.

  • PDF

NTrend 1.0에 의한 낙동강 수질 장기변동 추세분석 (Long-Term Water Quality Trend Analysis with NTrend 1.0 Program in Nakdong River)

  • 유재정;신석호;윤영삼;송재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95-902
    • /
    • 2010
  • The effect of seasonality on water quality variation is very significant. Generally, it reduce the power of the trend extraction. A parametric time-series model was used for detecting trends in historic constituent concentration data. The effect of seasonality is able to remove from time series decomposition technique. According to such statistic methode, long-term water quality trend analysis system (NTrend 1.0) was developed by Nakdong River Water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The trend analysis of BOD variation was conducted with NTrend 1.0 at Goreong and Moolkum site in Nakdong river to show the effec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action plan. Power test of trend extraction was tried each case of 'deseasonalized and deannulized' data and 'deseasonalized' data. Analysis period was from 1989 to 2006, and it's period was divided again three times, 1989~1993, 1994~1999 and 2000~2006 according to action plan period. The BOD trend was downward in Goreong site during three times and it's trend slope was very steep, and upward in Moolkum during 1989~1993, but it was turned downward during 1994~1999 and 2000~2006. It was revealed that it's very effective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BOD by water quality management action plan in that watershed. The result of power test was shown that it is high for trend extraction power in case of 'deseasonalized' data.

사방댐 위치 및 규모 결정을 위한 토석류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n Prediction Algorithm of Sediment Discharge by Debris Flow for Decision of Location and Scale of the Check Dam)

  • 김기대;우충식;이창우;서준표;강민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86-593
    • /
    • 2020
  • 연구목적: 이 연구는 토석류로 발생하는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GIS 기반 사방댐 적정배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평균 계류 폭과 길이를 이용한 누적 토사유출량 예측 방법에 초기 붕괴량과 이에 영향하는 집수길이를 입력인자로 활용하여 토석류로 인해 발생하는 누적 토사유출량 예측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된 예측 토사유출량과 실제 토사유출량은 평균 1.1배 차이가 나타나 정확도는 비교적 높았다. 또한 구현된 프로그램은 사방댐의 위치 및 규모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지표로서 실무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 사방사업이 매년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합리적인 사방댐 위치 및 규모 결정을 통해 산지토사재해 방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인의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성별 연령별 순음청력에 의한 기준청력 (Age- and Gender- Specific Reference Levels for Hearing Thresholds of Normal Aging in Korean)

  • 김성희;신종헌;여창기;한영경;이중기;장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53-357
    • /
    • 2005
  • 이과적인 질환이나, 소음에 의한 청력소실이 없는 경우에도 노화에 의한 청력의 변화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인들의 청력에 대한보고는 있었지만, 한국인의 노화에 의한 청력변화에 관한 보고는 드물고, 남녀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아직도 이견이 있다. 최근 조선대학교에서 개발한 청력검사결과 관리 프로그램 (ARCISM)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노화성 난청에 대한 기준 청력범위를 구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일 년여 동안 대구파티마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방문한 환자 중 문진에 응한 1603명의 청력검사결과를 소음에 노출된 경우나 기타 이과적인 질환을 배제한 후, 노화에 따른 청력의 변화에 대해 20대에서 80대까지의 청력도를 구하였다. 나이에 의한 주파수 대역별 청력역치의 상승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고주파수로 갈수록 그 정도가 심하였다. 특히 4kHz와 8kHz에서 남자에 있어서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청력소실이 더 크게 나타났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운용으로 방대한 청각검사자료를 이용하여 쉽게 노화에 따른 청력 변화에 대해 기준청력범위를 구할 수 있었고, 향후 노화성 난청의 재활이나 한국형 보청기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삵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분석단위 설정 및 보전지역 선정 -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tic Unit of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and Selection in Conservation Areas for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 Focus on Chungcheong Province Area -)

  • 이동근;송원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4-72
    • /
    • 2008
  • 본 연구는 환경부 보호종으로 지정된 삵을 대상으로 다양한 단위면적의 격자 및 유역을 평가단위로 설정하여 충청도 지역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GAP(Gap Analysis Program), 서식지 평가절차 및 서식지 적합성지수의 활용 등을 통해 종의 보전을 위한 서식지 평가 및 관리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에서도 서식지 보전을 위한 다양한 평가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들은 아직 평가단위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고 분석 결과를 광범위하게 적용하는데도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경사, 산림, 토지피복, 도로, 하천 등의 환경변수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유역단위와 격자단위별로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비교하여 광역적인 지역단위에 적합한 서식지 적합성 평가단위를 확인하였다. 평가 결과, 종의 발견지점 자체에 대한 환경인자 평가보다 주변의 일정 면적을 함께 고려하여 서식지를 평가하는 것이 적합하며, 그 단위면적은 격자단위 평가의 경우 반경 100m 유역단위의 경우 $1km^2$가 삵의 서식지 적합성을 평가하는데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다양한 보전지역 선정 방법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 결과는 전국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종의 보전을 위한 관리정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IS와 RUSLE 기법을 이용한 삽교호유역의 토사 유실량 산정 (Estimation of Soil Loss into Sap-Gyo Reservoir Watershed using GIS and RUSLE)

  • 김만식;정승권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9-27
    • /
    • 2002
  • 하천에서 토사 유실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유량을 예측하는 것만큼 공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천에서 발생하는 토양 유실량은 하천구역내의 수리구조물(댐, 웨어, 방조제 등)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항만계획 등 수자원 및 수질의 계획이나 관리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사 유실량 산정에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RUSLE식을 이용하여 삽교호 유역의 토사 유실량을 모의, 산정하였다. RUSLE식의 매개변수 산정은 GIS 주제도인 경사도와 토지이용도, 토양도로부터 추출, 산정하였으며 이를 작성한 RUSLE 산정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또한 최근 30년치의 유역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빈도별 확률강우에 따른 토사 유실량을 산정하였다.

  • PDF

Marxan with Zones 적용을 통한 북한산국립공원 공원자연보존지구 재설정 방안 연구 (Re-establishment of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in Bukhansan (Mt.) National Park Using Marxan with Zones)

  • 염정헌;한봉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46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rategies to re-establish the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in Bukhansan National Park, reflecting landscape ecological value by using the zonation program Marxan with Zones. Planning unit was set by watershed, and the basic data were mapped, considering topographical and ecological values. Mapped indicators were analyzed with the application framework of Marxan with Zones by indexing some indicators. The zones divided into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Zone A), Park Nature Environment Area I(Zone B) which is reflected on the concept of Potential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and Park Nature Environment Area II(Zone C). The best solution for each of the scenarios was fixed through the sensitiveness analysis. From these, the final solution was selected considering five criteria including area ratio of conservation area and grouping. Lastly, the final solution was verified in the overlapped analysis with recent zo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of watersheds was 77, with an average area of $1,007,481m^2$. In terms of basic mapping and indexation, the slope index and number of landscape resources for topographical property were average 0.22 and 38 places, respectively. Biotope index was average 0.69 and legally protected species was 14 species, reflecting ecological values. As th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trail index was average 0.04, and the number of tour and management facilities was 43 places. Through the framework of Marxan with Zones, the best solution for scenario 1 which was set by the highest conservation criteria was selected as the final solution, and the area ratio of Park Nature Conservation Area and grouping was excellent. As the result of overlapped analysis, suggested zonation of the Park Nature Conservation was better than the recent zonation in the area raito (28.3%), biotope grade I(15.4%) and the distribution points (10 places)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with verification of proper distribution of conservation features according to the zone.

Estimation and Classification of Flow Regimes for South Korean Streams and River

  • Park, Kyug Seo;Choi, Ji-Woong;Park, Chan-Seo;An, Kwang-Guk;Wiley, Michael J.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6-106
    • /
    • 2015
  • The information of flow regimes continues to be norm in water resource and watershed management, in that stream flow regime i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water quality, geomorphology, and the community structure of stream biot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Korean stream flows from landscape variables, classify stream flow gages using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then apply these methods to ungaged biological monitoring sites for effective ecological assessment. Here I used a linear modeling approach (MLR, PCA, and PCR) to describe and predict seasonal flow statistics from landscape variables. MLR models were successfully built for a range of exceedance discharges and time frames (annual, January, May, July, and October), and these models explained a high degree of the observed variation with r squares ranging from 0.555 (Q95 in January) to 0.899 (Q05 in July). In validation testing, predicted and observed exceedance discharges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p<0.01) and for most model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redicted and observed values (Paired samples T-test; p>0.05). I classified Korean stream flow regimes with respect to hydraulic and hydrologic regime into four categories: flashier and higher-powered (F-HP), flashier and lower-powered (F-LP), more stable and higher-powered (S-HP), and more stable and lower-powered (S-LP). These four categories of Korean streams were related to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catchment size, site slope, stream order, and land use patterns. I then applied the models at 684 ungaged biological sampling sites used in the National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n order to classify them with respect to basic hydrologic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y to the government's array of hydrologic gauging stations. Flashier-lower powered sites appeared to be relatively over-represented and more stable-higher powered sites under-represented in the bioassessment data se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