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satisfaction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1초

PCM 소재 태열베개의 사용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PCM material Taeyeol pillow)

  • 오연주;이현종;박시현;김종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47-553
    • /
    • 2024
  • 태열을 방치할 경우 아토피피부염으로 악화될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기도 하고 호흡기질환도 발생될 수 있어서 수면 시 발열되는 신생아 두피 표면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베개는 연약한 피부 때문에 주로 면 소재로 사용하거나 유연한 골격으로 두상교정용으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 시 땀 배출로 체온유지가 되지못해 태열을 방치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기존 신생아 베개와 PCM베개를 신생아를 대상으로 수면 시 두피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이에 대한 사용성을 평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변화과정에서 축적 또는 방출하는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PCM이 체온유지에 효과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논문이 정량적 분석을 통해 향후 신생아 태열베개 개발을 위해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선원들의 스트레스 인지와 그 대처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Stress Perception and Ways to Cope with Stress for Seafarers)

  • 서영승;김재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42
    • /
    • 2005
  • 본 연구는 선원들이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대처방법을 분석하여 선원들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시행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에서 2003년 10월 20일부터 11월 15일까지 안전교육을 수강하는 선원 428명이었으며 설문지에 의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방법을 측정하는 도구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 통계,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간의 스트레스 인지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항해 구역, 결혼 상대, 흡연량, 음주 횟수, 운동 횟수, 수면 양상, 수면 시간, 여가 시간, 직업 만족도 특성에서 스트레스 인지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특성으로는 현재 신분, 항해 구역, 연령, 승선 경력, 학력, 결혼 상태, 연 수입, 음주 횟수, 음주량, 운동 횟수, 수면 양상, 직업 만족도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 인지정도와 대처방법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집단이 정서 중심의 대처와 소망적 사고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과 관련 요인 -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활용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nd its rel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Using data from the 2013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한지영;박현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155-168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72,43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천식, 알레르기비염 및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일반적 및 건강 관련 특성과 천식, 알레르기비염 및 아토피피부염과의 관련성은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 관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은 9.3%, 30.6%, 23.4%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천식은 성별, 연령, 경제적 상태, 비만도, 스트레스, 수면 충족도, 가정 내 간접흡연, 약물 사용, 다른 알레르기 질환, 신체활동과 관련성이 있었다. 알레르기비염은 연령, 경제적 상태, 거주지역, 거주형태, 비만도, 스트레스, 수면 충족도, 흡연 경험, 가정내 간접흡연, 음주 경험, 다른 알레르기 질환, 신체활동과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아토피피부염은 성별, 연령, 경제적 상태, 거주지역, 비만도, 스트레스, 다른 알레르기 질환, 신체 활동과 관련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in Type 2 Diabetics)

  • 이진환;전진숙;최영식;김호찬;오병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1호
    • /
    • pp.50-59
    • /
    • 2019
  • 연구목적 2형 당뇨병을 지닌 환자의 다수에서 수면문제가 동반되며, 이들에서 불면증의 비율은 일반 인구에 비해서 높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의 발생빈도, 불면증의 임상적 특징 및 이에 연관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18세에서 80세 이하의 99명(남자 65명, 여자 3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 1인(제1저자)가 면담을 시행하였다. 면담으로 수면 잠복기, 총 수면시간을 조사하였고, 한국판 불면증 심각도 지수(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K) 평가하고,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한국판 Hamilton 우울증 평가 척도(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로 평가하였다. ISI-K의 절취점 15.5점을 기준으로 불면증 있는 군(N=34명)과 불면증 없는 군(N=65)으로 양분하여 불면증군과 대조군의 여러 변인과의 연관성을 상관분석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결 과 2형 당뇨병 환자의 34.34%(N=34)에서 불면증이 있었다.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미혼(11.8%)이나 이혼(11.8%)이많았고(p<0.05), K-HDRS 총점($11.76{\pm}5.52$점)이 높았으며(p<0.001), 총수면시간($5.35{\pm}2.00$시간)이 짧았고(p<0.001), 수면잠복기($50.29{\pm}33.80$분)가 길었다(p<0.001). 불면증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군은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보다 ISI-K 검사상 합계($18.38{\pm}2.69$점), A1 (입면)($2.97{\pm}0.76$점), A2 (수면유지)($3.06{\pm}0.69$점), A3 (일찍 깸)($2.76{\pm}0.61$점), B (수면만족도)($3.18{\pm}0.72$점), C (수면장애로 인한 기능방해)($2.09{\pm}0.97$점), D (남이 알아차림)($2.12{\pm}1.09$점), E (수면장애에 대한 걱정)($2.21{\pm}0.81$점) 등 모든 항목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나이는 ISI-K A3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고 (${\beta}=-0.241$, p<0.05), K-HDRS 총점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각각 p<0.05), 총 수면시간은 ISI-K 모든 항목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수면잠복기는 ISI-K 합계, A1, B, E 항목과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결 론 2형 당뇨병 환자의 약 1/3에서 불면증이 존재하며, 불면증이 없는 2형 당뇨병 환자군과 수면의 양적 및 질적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우울증상의 심각도는 2형 당뇨병 환자의 불면증과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우울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요구된다.

간호업무 전산화를 위한 표준화된 간호계획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for Computerized Nursing Service)

  • 김조자;전춘영;임영신;박지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8-380
    • /
    • 1990
  • A central issue in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is to describe the phenomenon with which nursing is concerned. To identify the health problems which can be diagnosed and managed by the nurse is the first step to organize and ensure the development of nursing science. Therefore the academic world has been discussing the application of the nursing diagnosis in nursing practice as a means of improving quality of ca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 for ten selected nursing diagnoses to form a database for computerized nursing service. The research approach used in the study was (1) the selection of the ten nursing diagnoses which occur most frequently on medical-surgical wards, (2)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 for the ten selected nursing diagnoses, (3) application of the plan to hospitalize patients and evaluation of the content validity by the nurses, and (4) evaluation of the clinical effects after the use of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The subjects were 56 nurses and 395 hospitalized patients on two medical and two surgical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ten selected nursing diagno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were “PAIN, SLEEP DISTURBANCE, ALTERED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IN NUTRITION, ANXIETY, CONSTIPATION, ALTERED PATTERNS OF URINARY ELIMINATION, DISTURBANCE IN BODY IMAGE, POTENTIAL FOR ACTIVITY INTOLERANCE AND ACTIVITY INTOLERANCE”. 2. The developed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included the nursing diagnosis, definition, defining characteristics, etiologic or related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condition, recording pattern, desired outcomes and nursing orders (nursing interventions). 3. The plan was used with hospitalized patients on medical - surgical wards to test for content validity. The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care and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after the use of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A comparison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tandardized care pla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expressed by the nursing staff before and after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were introduced. However, when opinions about the use of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clarity in defining the nursing problems, determining nursing cost, more feasible goal setting, effective and systematic nursing records and indications for nursing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nursing diagnoses in the clinical area, it would be effective to select some wards as a pilot project, give the nurses training in the use of nursing diagnosis and develop and use the standardized nursing care plans. In addition to the ten diagnosis used in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continual development of nursing diagnoses be done using diagnoses that are appropriate to Korea and testing them for validity through standardized care plans.

  • PDF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 중 한방육아교실의 운영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Management and Effects of Children's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Public Health Center)

  • 박은성;문윤희;김양희;최경희;장동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2-67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develop the contents of a children's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8 parents who participated in a children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program was started in June of 2011 in Gangjin-Gun public health center and finished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The questionnaires to measure effect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ere composed of demographic items, family inform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ildren health improvement checklist, etc. The questionnaires were execu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The PWBS scores increased (4.00, 3.66) and PSI scores decreased (-7.30. -5.95)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100%, and 94% in the two groups, and treatment and lecture were mentioned as the best aspects of the program. Eating habits, sleep conditions, and activity also improved after the program.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the children care program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s worthy for improving children's health condition and reducing their parents' stress.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박안숙;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164-2172
    • /
    • 2009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와 병동 근무 간호사의 피로수준을 비교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08년 8월에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간호사 39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균 피로점수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가 병동 근무 간호사보다 높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의 경우 주관적 건강 상태, 연령,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 설명변수로 선정되었으며, 병동 근무자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 상태, 평소 수면 시간, 교대 근무, 간호직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주요설명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특수부서 근무 간호사는 병동근무간호사에 비해 피로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수부서 근무간호사와 병동 근무간호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Effects of soft occlusal appli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 Kashiwagi, Kosuke;Noguchi, Tomoyasu;Fukuda, Kenich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71-80
    • /
    • 2021
  • Background: The options for stabilization appliance therapy for masticatory muscle pain include soft occlusal and hard stabilization appliances.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at hard stabilization appliance therapy wa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local myalgia who developed long facets on their occlusal applian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s in whom a soft occlusal appliance should be used to treat masticatory muscle pain by analyzing the type of muscle pain present and patie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Methods: The study included 42 patients diagnosed with local myalgia or myofascial pai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tic Decision Tree. The analysis of patient factors included variable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irst, a temporary screening appliance was used for 2 weeks to assess each patient for bruxism during sleep. Soft appliance therapy was then started. For each patient,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anc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enderness during muscle palpation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score at one month after starting treatment. Results: Data from 37 of the 42 patients were available for analysis. Twenty-five patients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applianc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for reduction of facet length was 1.998. Nineteen patients showed at least a 30% improvement in the visual analog scale score. The odds ratio for local myalgia was 18.148. Conclusion: Soft appliance therapy may be used in patients with local myalgia. Moreover, patients who develop short facets on the appliance surface a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soft appliance therapy. Soft appliance therapy may be 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local myalgia who develop short facets on their occlusal appliance.

Digestive Tolerance and Safety of an Anti-Regurgitation Formula Containing Locust Bean Gum, Prebiotics and Postbiotics: A Real-World Study

  • Marc Bellaiche;Patrick Tounian;Raish Oozeer;Emilie Rocher;Yvan Vandenplas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6권5호
    • /
    • pp.249-265
    • /
    • 2023
  • Purpose: Infant regurgitation is associated with other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signs and symptoms that have a major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infants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tolerance, and real-world effectiveness of an anti-regurgitation formula containing locust bean gum (LBG), prebiotics, and postbiotics to alleviate digestive symptoms beyond regurgitation. Methods: This 3-month study involved infants with regurgitation requiring the prescription of an anti-regurgitation formula according to usual clinical practice. Outcomes included evaluation of the evolution of stool consistency and frequency; occurrence of colic, constipation, and diarrhea; and assessment of regurgitation severity. Infant crying, parental assessment of infant well-being, and parental satisfaction with the stool consistency were also evaluated. Results: In total, 190 infants (average age: 1.9±1.1 months) were included. After three months, stool frequency and consistency remained within the normal physiological range, with 82.7% of infants passing one or two stools per day and 90.4% passing loose or formed stools.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infants with diarrhea, whereas a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infants with constipation after 1 month (p=0.001) and with colic after both 1 and 3 months (p<0.001). Regurgitation severity and crying decreased and parental satisfaction with stool consistency, formula acceptability, infant well-being, and sleep quality increased. Monitoring of adverse events did not reveal any safety concerns. Conclusion: Formulas containing LBG, prebiotics, and postbiotics were well tolerated and provided an effective strategy for managing infant regurgitation and gastrointestinal discomfort.

119 구급대원의 직무만족도와 그의 관련요인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119 Rescue Workers)

  • 박호진;윤석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6-57
    • /
    • 2017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직업관련 특성, 폭력경험,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직무만족도 수준을 알아보고, 폭력경험, 소진 및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 14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19구급대원 1,24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6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군보다 미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여가시간이 있다는 군보다 없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직업관련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직위가 낮을수록, 근무경력이 짧을수록, 월수입이 낮을수록,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적당하다는 군보다 힘들다는 군에서, 업무에 만족한다는 군보다 만족하지 못한다는 군에서, 업무에 대한 적성이 맞는다는 군보다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 직업전환의사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 점수는 폭력경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높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낮았으며, 직무만족도가 낮은 군에 속할 위험비는 폭력경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낮은 군에 비해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119구급대원의 직무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특성이나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폭력경험 및 소진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