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duration and quality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불면(不眠)을 호소(呼訴)하는 중풍환자(中風患者)에 대한 체침(體針)과 이침(耳針) 자침시(刺鍼時) 효과(效果)의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A clinical study of acupuncture and auricular acupuncture effect on insomnia)

  • 이정아;이상무;안호진;박상동;박세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5-146
    • /
    • 2001
  • Insomnia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toms of Neuropsychiatry patients. These are many approaches to treat insomnia, but it is difficult to be resolved completely. Acupuncture and Auricular acupuncture have been used for relief insomnia. But it is not sufficient to compare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and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Thus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group and Auricular acupuncture treatment group. A clin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40 patients who was treated insomnia with Acupuncture(20 patients) and Auricular acupuncture(20 patients) in Seoul Dong-Seo Oriental Hospital. 1. Total duration of sleeping time showed $1.55{\pm}1.1574$ hours increased in Acupuncture group and $0.925{\pm}1.184$ hours increased in Aricular acupuncture group. especially Acupuncture were much more effective method than Aricular acupuncture. P-value was 0.033 (P <0.05) 2. Delaying time before the onset of sleep showed $0.7375{\pm}0.8940$ hours decreased in Acupuncture group and $0.7969{\pm}1.3298$ hours decreased in Auricular acupuncture group. (P <0.05) 3. The wake times showed $0.9167{\pm}1.7299$ times decreased in Acupuncture group and $1.2308{\pm}1.1658$ times decreased in Auricular acupuncture group in sleep maintenance insomnia. (P <0.05) 4. Change in quality of sleep showed Excellent 30%, Good 50%, Fair 15%, Poor 5% in Acupuncture group and Excellent 20%, Good 45%, Fair 30%, Poor 5% in Aruricular acupuncture group.

  • PDF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에서의 삶의 질의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정진숙;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27-139
    • /
    • 2006
  • 측두하악관절 장애를 가진 환자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사이의 동통의 정도나 기간의 차이, 그리고 수면질의 차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61명의 환자는 관절강 내 통증을 가진 환자 24명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37명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환자들은 첫 내원 시 맥길 통증설문지(McGill Pain Questionnaire),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F-36 (Medical Outcome Study 36 Item Short Form Health Survey)을 작성하고 치과적 병력과 의과적 병력을 기록한 후, 전반적인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 사이에는 동통의 강도나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6개월 이상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지는 환자 중에서는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보다 SF-36의 평균과 정신적인 부분에서의 점수에서 낮은 수치를 보인다(p<0.05).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에서는 평사시의 수면 효율면에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1.9459{\pm}0.8481$)가 관절강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 ($1.375{\pm}0.9237$)에 비해 낮은 효율을 보인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군에서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의 총점이 5이상인 나쁜 수면질을 가지는 군은 맥길 통증 설문지, SF-36에서 높은 동통 정도와 낮은 삶의 질을 가지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는 전체적인 삶의 질을 나타내는 SF-36에서는 감정적인 문제로 인한 역할의 제한, 생활력, 신체적 동통에서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삶의 질이 특히 정신적인 면에서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 공경미;부선주;이영진;안정아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4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of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s : We conducted a study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The study involved 109 family caregivers of ICU patients at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Gyeonggi-do,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between July 2020 and April 2021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stud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based on economic status (F=11.63, p<.001), cohabitation with patients (t=-2.04, p=.044), sleep duration after patient's admission to the ICU (t=-2.48, p =.02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30.06, p<.001).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observed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38, p<.001) as well as caregiver burden (r=-.46, p<.001).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economic status, and caregiver burden (adj. R2=0.52, F=15.64, p<.001). Conclusion :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interven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health conditions and economic status of family caregivers, with a focus on alleviating caregiver burden. Such initiatives are essential to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family caregivers of ICU patients.

부산시 노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Health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Busan)

  • 김미진;송갑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69-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연구에 활용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34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및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우울, 스트레스,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수면시간, BMI, 결혼상태, 고혈압이었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28.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이 치매 환자의 수면 관련 인자, 치매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on Sleep Quality and Dementia-related Factors of Dementia Patients)

  • 윤병곤;김종진;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40-746
    • /
    • 2019
  • 운동은 치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매 관련 연구에서는 치매의 증상 완화, 치매에 관한 다양한 치료 및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규칙적인 운동은 뇌 기능과 치매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치매와 뇌 기능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이 수면 관련 인자(melatonin, serotonin), 치매 관련 인자(BDNF, beta-amyloid, IGF-1, Irisin, GLU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Myokine (Irisin, IGF-1), GLUT 및 Melatonin이 지구성 운동을 통한 BDNF 활성화를 통해 치매 증상을 개선하거나 지연시키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 유형, 형태, 기간 및 운동 강도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므로 추후 운동과 치매에 관한 기전적인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의 불면증에 대한 연구 (Insomnia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on Hemodialysis)

  • 김경률;양창국;한홍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26-132
    • /
    • 1999
  • 목 적: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 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불면증의 빈도, 불면증 환자들의 특성, 신체적 그리고 심인적인 증상들과의 상관관계, 수면에 대한 믿음과 태도 등을 조사하여 향후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부산시내 소재 4개의 혈액투석실에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증 환자 153명(남 87명, 여 66명)을 대상으로 저자들이 본 연구에 알맞게 개발한 수면관련 설문지, 벡 우울증 척도, 스필버거 상태-특성 불안 척도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증상을 조사하였다. 결 과: 전체 153명의 혈액투석 환자 중 65.4%인 100명이 불면증을 호소하였다. 연령, 남녀비, 교육정도, 결혼상태, 평균 혈액투석 기간, 그리고 혈청 알부민을 제외한 조사된 혈액화학검사 소견들은 불면증군과 비불면증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불면증군은 비불면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BDI 점수와 투석전 수축기 혈압이 높았고 혈청 알부민치는 더 낮았다. 또, 시각유도척도법을 이용한 두 군간의 주관적인 고통에 대한 조사에서 불면증군은 슬픔, 불안, 걱정, 피부 소양증,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장애 등의 주관적인 고통을 비불면증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불면증의 심한 정도가 불량한 신체적 건강상태, 피부 소양증, 그리고 골관절 통증 등의 신체적 증상, 슬픔, 불안, 걱정 등의 심인적인 증상, 그리고 낮 동안의 졸음과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장애와 유의한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증 환자에서의 불면증 132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불면증군은 비불면증군에 비해 수면에 대한 비기능적인 믿음이 더 많았다. 결 론: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불면증이 흔하였고, 이들 중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심인적인 증상과 신체증상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저하를 더 호소하였고, 수면에 대한 비기능적인 믿음이 많았다. 그리고 불면증의 심한 정도는 이러한 요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요인들을 고려하여 수면장애를 개선한다면 이들 환자들의 진료에 도움을 주어 치료 순응도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 PDF

불면환자의 수면의 질 척도, 우울척도, 한방진단시스템과의 연관성 연구(1) (Study on the Association of PSQI, IQ, BDI and DSOM in the Insomnia Patients(l))

  • 오경민;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9-119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Insomnia Questionaire(IQ),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DSOM) in the Insomnia Patients. Methods : For this study, we carried out PSQI, IQ, BDI and DSOM of 37 patients with insomnia who have come to Donguei oriental hospital of Donguei university from November 2008 to May 2009. And Us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verified the association of PSQI, IQ, BDI and DSOM. Results : 1. The most Frequent Pathogenic Factor is blood-deficiency(血虛) in total patients. 2.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damp(濕), kdney(腎) in total patients. 3.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total patients. 4.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and zp of insufficiency of Yin(陰虛), and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blood stasis(血瘀) and zp of liver(肝) in female patients. 5.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and zp of heart(心), and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liver(肝) in male patients. 6. The duration from onset in the group of 22-59years are longer than the group of 60-80 years and the duration of using hypnotics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sleep time in 22-59years group. 7.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22-59years group. 8.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BDI in 60-80years group. 9.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eficiency of qi(氣虛) and zp of blood-deficiency(血虛), and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coldness(寒) in 60-80years group. 10.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and zp of dryness(燥) in below 6 Months Group. 11.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BDI in over 6 Months Group. 12. The score of PSQ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liver(肝) in over 6 Months Group. 13. The score of IQ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ryness(燥) in BDI 2nd Grade Group. 14. The score of BDI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kidney(腎) and the ag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zp of heart(心) in BDI 3rd Grade Group. 15. The ag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c10 of damp(濕) in BDI 4th Grade Group.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mplicated associations of the pattern of insomnia with depression and Diagnos system of oriental medicine. And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in 60-80years group and over 6 months group.

  • PDF

파킨슨병 환자의 인구학적.임상적 특성에 따른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Influence of Clinical and Demographical Variables on Depress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송경애;최동원;박혜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9-256
    • /
    • 2006
  •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linical and demographical variables on depress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participants registered in the neurology department of C university hospital. Duration and stage of disease, fall history, vision impairment,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orthostatic hypotension, ambulation impairment, and use of walking aid were included in clinical variables. Depression, IADL, and cognitive function were assessed using Kee's GDSSF-K, Cho's scale, and K-MM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The depression score for the participants was 7.78, higher than cut-off score(5). Participants who were male, living with spouse, above high school education, high economic status, with no vision impairment, and no ambulation impairment revealed high cognitive scores. Average IADL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participants who were male, who had high economic status, low stage of disease, and no ambulation impairment. Depression IADL & cognitive func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mbulation impairment. Scores for ADL and cognitive fun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make program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clinical and demographic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needs.

  • PDF

교대근무자의 회복력과 수면 및 방어 특성 (Resilience and Characteristics of Sleep and Defense among Shift Work Nurses)

  • 이소진;박철수;김봉조;이철순;차보석;이동윤;서지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2호
    • /
    • pp.74-79
    • /
    • 2014
  • 목 적 : 교대근무는 상당한 스트레스 상황이며 교대근무에 잘 적응하는 정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회복력과 관련된 수면 및 성격 관련 요인들을 조사해보고자 했다. 방 법 : 일 대학병원에서 3교대 근무를 하고 있는 간호사 95명을 대상으로 자가 설문지 조사를 시행했다. 코너-데이비드슨 회복력 척도, 병원 불안-우울 척도, 아침형-저녁형 질문지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포함한 수면 관련 설문,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를 이용했다. 결 과 : 회복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요소들은 근무자들의 나이, 근무 기간, offday oversleep, HAD-D 및 HAD-A 점수, DSQ의 적응적 방어유형, 자기억제적 방어유형이었다(p < 0.05).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나이가 많을 수록(${\beta}=0.34$, p < 0.05), 우울 증상이 적을 수록(${\beta}=-0.25$, p < 0.05), 적응적 방어유형을 많이 사용할 수록(${\beta}=0.45$, p < 0.001), 자기억제적 방어유형을 적게 사용할 수록(${\beta}=-0.19$, p < 0.05) 회복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어기제들의 경우 체념이 적을 수록(${\beta}=-0.20$, p < 0.05), 승화(${\beta}=0.19$, p < 0.05)와 전능(${\beta}=0.19$, p < 0.05), 유머(${\beta}=0.20$, p < 0.05)를 많이 사용할 수록 회복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일 대학병원의 3교대 근무 간호사들의 특정 방어유형 및 방어기제가 회복력과 관계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추후 더 많은 교대근무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회복력과 관련된 수면 및 성격 관련 인자들을 밝히는 전향적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40세 이상 과민성방광 여성 환자의 의료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임상시험 참여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Medical Treatment Decision-Making for Overactive Bladders in Female Patients over 40 - Data from Clinical Trial Participants -)

  • 안인숙;김동일;최민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9-81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ssociated factors affecting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for an overactive bladder. Methods: Total 114 women with overactive blad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the patients with treatment experiences for an overactive bladder(n=40) and without treatment experiences for an overactive bladder(n=74). Patients completed Overactive Bladder Severity Score, Beck Depression Inventory, King's Health Questionnaire, and questionnaires on treatment experience. The results were analysed using SPSS for Windows 12.0k. All statistical tests were two-sided with a p-value < 0.05 being significant. Results: Patients with treatment experience had a greater score on KHQ, OABSS, BDI and had longer symptom duration period than those without treatment experience. And only Impact of Life(P=0.004), Role Limitation(P=0.004), Social Limitation(P=0.007), Emotion(P=0.035), Sleep/Energy(P=0.001), Incontinence Severity Measures(P=0.012) among KHQ domai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most influencing factor associated with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 in overactive bladder is the impact of the patient's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