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and Depression

검색결과 618건 처리시간 0.023초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과 일반 성인 사이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및 삶의 질 비교 :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Comparis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and Quality of Life between General Adults and Adult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 The 2016 Community Health Survey)

  • 문종훈;김예순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7-6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과 일반 성인 사이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및 삶의 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료수집은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치매진단을 받은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 2,592명과 일반 성인 225,840명을 비교분석하였다. 건강은 수면시간, 스트레스 수준, 우울감 여부, 주관적 건강수준이 평가되었으며, 삶의 질은 EQ-5D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비교에서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나이와 가구원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p<.001),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았고(p<.001), 혼인상태는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p<.05). 건강에 대한 비교에서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수면시간이 길었고(p<.001),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p<.001), 우울감 경험의 비율이 높았고(p<.001), 주관적 건강수준이 나빴다(p<.001). 치매 환자와 함께 거주하는 성인은 일반 성인보다 삶의 질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이 유의하게 낮았다(p<.00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치매 환자 가족의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자동차공장 교대작업 근로자들의 건강상태평가 (Health Assessment of Shift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 이중정;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103-121
    • /
    • 1995
  • 교대작업이 근로자의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3년 5월 한 달간 경상남도 울산시 소재 모 자동차 공장 생산직 근로자 659명(교대작업자 : 544, 주간작업자 : 11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점에서 현재 교대작업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근무기간 중 80% 이상을 교대작업에 참여한 근로자를 지속적인 교대작업자로 간주하였으며, 조사 당시 교대작업에 참여하고 있지 않고 과거에도 교대 작업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었던 근로자룰 주간작업자로 하였다. 교대작업군과 대조군의 일반적인 특성 및 작업과 관련된 특성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교대작업에 관련된 내용은 면접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수면양상과 식사형태에 관한 설문은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 개발된 항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위장관계질환의 자각증상에 관하여서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미국의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개발된 자기기입식 설문인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다. 교대작업자에서 자신이 원하는 수면시간보다 1시간 이상 수면이 모자란다고 호소한 근로자가 56.8%로 주간작업군의 50.0%보다 높았으며, 수면 중 2회 이상 잠을 깨는 근로자의 비율, 잠에서 깨었다 다시 잠들기가 힘들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 중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이 끝난 후에도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은 주간 작업자보다 교대작업자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p<0.01), 교대작업자에서 자고 일어난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는 율도 교대작업군에서 53.1%로 주간작업자의 40.0%보다 높았다(p<0.05). 수면의 형태를 보면 교대작업자에서는 각 교대작업 때마다 다른 형태의 수면을 취하는 근로자가 35.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잠을 잘 못 잔다고 호소하는 근로자도 12.3%로 주간작업자의 6.1%보다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잠을 자기 위해 약물을 상습적으로 복용하는 근로자도 주간작업자에서 1.7%, 교대작업자에서 2.8%를 차지하였다. 교대작업자들과 주간작업자는 다른 형태의 식사형태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식욕은 주간작업자의 13.0%에서 아주 좋다라고 응답한 반면 교대작업자에서는 6.6%만이 식욕이 아주 좋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식욕이 매우 나쁘다라고 응답한 비율도 5.0%로 주간작업자의 2.5%보다 높았다. 교대작업자와 주간작업자의 위장관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교대작업군에서 높았으며(p<0.01), 배변습관의 변화와 체중감소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주간작업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HANES I에서 개발된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불안척도, 우울척도, positive well-being척도, 활력척도에서는 교대작업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자기제어력척도, 일반건강척도도 교대 작업자에서 낮았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대작업자에서 생체리듬의 부조화로 인한 수면, 식사, 위장관계장해 등의 일련의 자각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주간작업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인 건강 장해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높았다.

  • PDF

A cross-sectional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symptoms of ill health

  • Cho, Yong Min;Lim, Hee Jin;Jang, Hoon;Kim, Kyunghee;Choi, Jae Wook;Shin, Chol;Lee, Seung Ku;Kwon, Jong Hwa;Kim, Nam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1권
    • /
    • pp.22.1-22.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s between mobile phone call frequency and duration with non-specific symptom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population group including 532 non-patient adults established by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The pattern of phone call using a mobile phone was investiga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Structured methods applied to quantitatively assess health effects are Headache Impact Test-6 (HIT-6),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ceived Stress Scale (PS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where a higher score represents a higher greater health effect. Results The average daily phone call frequen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SS score in female subjects. Increases in th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the severity of headaches in both sexe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HIT-6 score in the subgroup of subjects whos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as five minutes or longer was 45.98 (8.15), as compared with 42.48 (7.20) in those whos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as <5 minutes. The severity of headaches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 HIT-6 score (little or no impact/moderate impact/substantial or severe impact),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n increased phone call duration and the headache severity. When the average duration of one phone call was five minutes or longer, the odds ratio (ORs)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moderate impact group were 2.22 and 1.18 to 4.19, respectively. The OR and 95% CI for the substantial or severe impact group were 4.44 and 2.11 to 8.90, respectively. Conclusions Mobile phone call durat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ress, sleep, cognitive function, or depression, but wa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headaches.

세월호 참사 전후 피해지역 주민의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victimized community residences before and after Sewol ferry disaster)

  • 이진숙;이은주;이수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895-90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 전후 피해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상태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추후 대형 인적재난의 발생 시 피해지역의 지원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인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세월호 피해지역인 안산시와 진도군에 거주하는 주민 총 3,632명(2013년도 1,803명, 2014년도 1,829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수준, 적정수면 여부, 주관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상담여부와, 우울감 경험여부, 우울감 상담여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참사 전후로 비교하였다. 세월호 사건 후 피해지역 주민들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적정수면여부,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부정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스트레스 상담 여부, 우울감 상담 여부는 참사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형 인적피해를 가져온 세월호 피해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세월호 사건 발생 전 후의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여 추후 재난의 피해지원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나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피해지역 주민들의 정신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원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섬유근통 증후군에 대한 문헌고찰 (The Literature Review of FibroMyalgia Syndrome)

  • 김명철;김진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4호
    • /
    • pp.23-37
    • /
    • 2004
  • Fibromyalgia syndrome(FMS) is a chronic pain disorder of unknown etiology characterized by widespread musculoskeletal aches and pains, stiffness, and general fatigue, disturbed sleep and sleepiness. Frequently misdiagnosed, FMS is often confused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polymyalgia rheumatica, polymyositis, hypothyroidism, metastatic carcinoma, rheumatoid arthritis (RA),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chronic fatigue syndrome, or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y of which may occur concomitantly with FMS. The management of FMS often begins with a thorough examination and a diagnosis from a physician who is formally trained in tender-point/trigger-point recognition. An initial diagnosis provides reassurance to the patient and often reduces the anxiety and depression patterns associated with FMS. The most common goals in the management of FMS are (1) to break the pain cycle, (2) to restore sleep patterns, and (3) to increase functional activity levels. Because FMS is a multifactorial syndrome, it is likely that the best treatment will encompass multiple strategies. Medication with analgesics and antidepressants and also physiotherapy, are often prescribed and give some relief. The other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long-term management of FS to date is physical exercise. Physical therapists can instruct patients in the use of heat at home (moist hot packs, heating pads, whirlpools, warm showers or baths, and hot pads) to increase local blood flow and to decrease muscle spasm and tension. Also instruct patients in the proper use of cold modalities (ice packs, ice massage, and cool baths) to anesthetize localized areas of pain (tender points) and break the pain cycle. Massage and tender-point massage also may promote muscle relaxation. To date, the two most important interventions for the long-term management of FS are patient education and physical exercise. Lately, is handling FMS and Chronic Fatigue syndrome(CFS) together, becuase FMS and CFS are poorly understood disorders that share similar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clinical similarities between both disorders it was suggested that they share a common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namely, central nervous system dysfunction.

  • PDF

경남 일부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식습관, 생활습관 및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and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in Kyungnam Province)

  • 박경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4호
    • /
    • pp.408-43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408 university students in Kyungnam provinc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oftware package. Based on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Poneness Scale, 28.4% were potential-risk smartphone users and while 13.2% were high-risk smartphone users. The levels of depression (P<0.05) and stress (P<0.05) and frequency of snacks (P<0.01) were higher in high-risk and potential-risk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meal frequency was highest in the high-risk group (P<0.01). Percentages of using a smartphone at meal time (P<0.01) and snacking while using a smartphone (P<0.01) were higher in potential-risk and high-risk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Percentages of skipping meals (P<0.001) and slow eating speed (P<0.01) due to using a smartphone were higher in high-risk and potential-risk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percentages of taste change (P<0.05) were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than in the potential-risk and normal groups. Percentages of exercise reduction (P<0.01), body weight increase (P<0.05), sleep disturbance (P<0.001), and increase in stress (P<0.01) due to using a smartphone were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Scores of dietary behaviors avoiding salty food (P<0.01) and excessive drinking (P<0.001) were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Scores for frequency of oil or nuts (P<0.05) and fatty meats (P<0.01) were highest in the high-risk group. Our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to solve unhealthy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from high-risk smartphone users in university students.

알츠하이머병에서 행동심리증상과 간병인의 부양부담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and Caregiver Burden in Alzheimer's Disease)

  • 김요섭;이강준;김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200-207
    • /
    • 2016
  • 연구목적 알츠하이머병은 대표적인 증상인 인지 기능의 저하 외에도 다양한 행동심리증상(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을 흔히 동반하며, 이는 간병인들로 하여금 부양 부담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치매 환자들과 그들의 간병인들을 대상으로 행동심리증상의 각 항목들과 간병인의 부양 부담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80명의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행동심리증상을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 K-NPI)를 통해서 평가하였고, 부양자들의 부양부담은 한국판 Zarit Burden Interview(ZB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K-NPI의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낙담, 불안, 탈억제, 과민/불안정 빈도와 간병인 부양부담의 평가척도인 ZBI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K-NPI의 환각, 초조/공격성, 불안, 탈억제, 이상운동증상, 수면/야간행동의 심각도와 ZBI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K-NPI의 빈도${\times}$심각도 영역에서는 망상, 환각, 초조/공격성, 우울/낙담, 불안, 탈억제, 이상운동증상, 수면/야간행동과 ZBI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인지기능척도(MMSE-KC, CDR, GDS)와 ZBI 척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Barthel-ADL, K-ADL)과 ZBI 척도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BPSD와 간병인의 부양부담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간병인의 부양부담은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과도 상관이 있었다. BPSD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하게 치료함으로써 치매 환자의 삶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삶의 질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소위 '홧병'에서 분노유발사건의 상상과 이야기작업에 의한 정신생리반응:심혈관계 반응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by Imagination and Talking about Anger-Provoked Event in Hwa-byung:Cardiovascular Response)

  • 정상근;신준호;황익근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2호
    • /
    • pp.109-114
    • /
    • 2000
  • 목 적 : 저자들은 홧병 환자에서 분노유발사건의 상상 및 이야기와 관련된 자율신경계 특히 심혈관계의 특징적인 정신생리반응양상을 파악하였다. 방 법 :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 환자 중 소위 '홧병'으로 진단된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노(Spiel-berger의 분노평가척도), 불안(상태특성불안척도, Hamilton 불안척도), 우울(Beck 우울 척도, Hamilton 우울 척도) 수준을 생리적 측정 전 평가하고, 홧병의 원인이 되는 분노유발사건을 조사하였다. 분노유발사건의 상상 및 이야기작업동안의 주관적 스트레스정도(SUDS)와 사건의 생생한 정도(VIVID)도 평가하였다. 스트레스 작업으로서 분노사건의 상상과 이야기 작업을 이용하였다. 스트레스 작업 전의 기저기, 작업기간, 작업 후 휴식기동안 혈압과 맥박이 측정되었다. 심리적, 생리적 평가항목들에 대한 분노사건의 상상과 이야기 작업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분노유발사건 상상보다 이야기작업에서,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의 놀람(모두 p=.000) 및 회복반응(각각 p=.000, p=.017), 맥박(p=.000)의 놀람반응이 유의하게 더컸고, 분노유발사건의 생생한 정도(p=.000) 및 분노유발사건의 주관적 스트레스정도(p=.000)가 더 높았다. 즉, 홧병 환자는 분노유발사건을 상상하는 경우보다 이야기하는 경우에 자율신경계 기능이 유의하게 더 항진되고, 사건에 대한 생생한 정도 및 주관적 스트레스를 더 강하게 느꼈다. 결 론 : 상기 연구결과, 저자들은 홧병 환자들이 분노유발 사건에 대해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회상하고 분노표출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자율신경계, 특히 심혈관계 반응의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한다.

  • PDF

제2형 양극성 장애의 주요우울 삽화에 대한 복합 한방 치료 사례보고: 대인관계 및 사회적 리듬 치료와 변증 치료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a Patient with Major Depressive Episode of Bipolar II Disorder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and Korean Medicine)

  • 이지윤;김주연;정진형;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3-223
    • /
    • 2020
  • 본 논문은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한의학적 변증체계와 함께 IPSRT의 심리 치료 기법을 적용한 증례이다.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한의치료와 IPSRT를 4개월간 병용한 결과, 환자의 사회적 리듬, 우울증 및 대인관계 능력이 개선되었으며 4개월후 추적조사에서도 호전상태가 유지되었다. 향후 양극성 장애 환자에 대한 높은 근거수준의 한의 임상연구 수행과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의 개발 등을 통해 양극성장애에 한의치료가 보다 활발히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기혼 여성의 직업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Employment and Married Women's Health in Korea; Beneficial or Harmful?)

  • 김일호;천희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5호
    • /
    • pp.323-330
    • /
    • 2009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working married women in different occupational classes affected diverse health outcomes. Methods : We used data for married women aged 25-59 (N=2,273) from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Outcome measures included physical/mental and subjective/objective indicators (selfrated poor health, chronic disease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from reported results; metabolic syndrome dyslipidemia from health examination results). Agestandardized prevalence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ssess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ree types working groups (housewives, married women in manual jobs, married women in non-manual jobs).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numbers of children under 7,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health behaviors (health examination, sleep, rest, exercise, smoking, drinking) and a psychological factor (stress) were considered as covariates. Results : Non-manual married female workers in Korea showed better health status in all five health outcomes than housewives. The positive health effect for the non-manual group persisted in absolute (age-adjusted prevalence) and relative (odds ratio) measures, but multivariate analyses showed an in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non-manual group with dyslipidemia. Manual female work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ge-adjusted prevalence of almost all health outcomes than housewives except chronic disease, but the associations disappeared after further adjustment for covariates regarding sleep, rest, and stress.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examining the health impact of work on married women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occupational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