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Stag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4초

Benzodiazepine 계열 약물 복용 환자의 수면다원검사에서 도출된 EEG유형 분석 (Polysomnography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phy in Patients Expending Benzodiazepine Drugs)

  • 장다준;임동규;김재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3-341
    • /
    • 2021
  • 벤조디아제핀은 GABAA 수용체에 작용하고 신경 억제제로 작용하며 불안, 불면증 및 공황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 그룹이다. 우리는 연령, 벤조디아제핀 사용 여부 및 사용 기간에 따라 수면 중 뇌파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 30명의 개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뇌파 소견을 이용하여 벤조디아제핀 복용군과 비복용군, 단기 및 장기복용, 노인과 비 노인군, 고령 단기복용 및 고령 장기복용군을 비교했다. 평가된 항목은 수면 잠복기, 수면 효율, 수면 단계별 백분율, sleep spindle의 개수 및 평균 주파수로 설정하였다. 복용군과 비복용군의 비교에서 sleep stage와 sleep spindle의 평균 주파수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장기복용과 단기복용군의 비교에서 sleep efficiency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노인군과 비 노인군과의 비교에서 sleep efficiency, sleep stage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벤조디아제핀의 사용은 느린 주파수 수면을 억제하고 수면 방추파의 주파수와 빈도를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자동 분석을 이용한 1단계 수면탐지 (Automatic Detection of Stage 1 Sleep)

  • 신홍범;한종희;정도언;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9
    • /
    • 2004
  • 1단계 수면은, 입면 시점과 관련하여 수면다원기록의 해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1단계 수면은 각성 상태에서 수면 상태로의 짧은 전이 기간으로, 특징적인 지표가 없어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파와 안전도에 대한 디지털 분석을 통하여 1단계 수면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야간수면다원기록 중 검사 시작 시점부터 2단계 수면이 출현하기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알파파와 세타파의 상대 파워를 계산하였고, 알파파의 상대 파워가 50% 이하. 세타파의 상대 파워가 23% 이상일 경우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 변수로 하였다. 또 안구운동의 지속시간이 1.5초에서 4초 사이에 있는 경우에 느린 안구운동으로 판정하고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 변수로 하였다. 이 들 세 기준 변수들을 고려하여 해당 판독 단위에 대해 각성 혹은 1단계 수면으로 최종 판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7명으로 모두 남성이었으며, 23세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69개의 판독 단위를 분석하였다. 기준과의 일치도는 79.3%였으며, 카파 값은 0.586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느린 안구운동은169개의 판독 단위 중 54개(32%)에서 나타났으며, 70.4%의 일치도를 보였다. 기존 연구의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판정의 일치도는 70%이다. 본 프로그램의 일치도 79.3%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향상된 것이며, 본 프로그램이 1단계 수면 판정에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뇌파 외에 안전도를 고려한 다중적 접근이 일치도 향상에 기여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1단계 수면 판정에 있어 안전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입되는 환경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라우트재가 해안 또는 매립지에 적용될 경우 해수와 침출수에 의한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 초순수 중에서 양생 시켰을 때 보다 강도발현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시멘트 종에 따라서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마이크로 시멘트>슬래그’ 시멘트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도의 저하로 인한 오염물질의 누출 및 6가 크롬의 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라우트재의 종류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은 현재 규제치를 초과하여 용출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과압 또는 과량의 주입이 6가 크롬의 용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 현장과 다른 특수한 현장에서는 강도 및 pH에 따른 6가 크롬의 용출량을 고려한 재료 선택 및 배합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_2$는 여자가 1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NAR 중에서도 낮은

주성분 분석과 수면 2기를 이용한 수면 장애 분류 (Sleep Disturbance Classification Using PCA and Sleep Stage 2)

  • 신동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2
    • /
    • 2011
  • 본 논문은 수면 2기의 EEG 신호와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수면 장애를 분류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초기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수면 2기의 EEG 신호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s)에 의해서 잡음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되었다. 잡음이 제거된 EEG 신호를 두 번째 단계에서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5개의 차원으로 축소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축소된 5개의 차원을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NEWFM)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분류성능을 측정하였다. 분류성능에 있어서 정확도(accuracy), 특이도(specificity), 민감도(sensitivity)가 모두 100%로 나타났다.

Sleep Quality in Lung Cancer Patients

  • Akyuz, Ruveyda Gelisken;Ugur, Ozlem;Elcigil, Ayf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2909-2913
    • /
    • 2013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of 100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lung cancer. Methods and Results: it was a descriptive study. A variety of assessment tools were used to provide sleep score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treatment (nausea, vomiting, fatigue) and sleep quality. As a resul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oughing and respiratory problems of patients, or existing depression, and average sleep quality score was found (KW:0.872, p=0.646, KW: 3.174, p=0.205, u: 441.000 p=0.916). It was revealed that nausea and loss of appetite experienced also did not affect the sleep quality score (p>0.05), whereas problems such as vomiting and fatigue did exert effects (p<0.01). Conclusions: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lung cancer suffer from sleep problems and cancer related symptoms also affect their sleep quality negatively. Nurses should plan interventions that can control symptoms such as pain, vomiting and fatigue, which affect the sleep of patients.

수면 무호흡의 증상과 수면 호흡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Symptoms of Sleep Apnea and Respiration during Sleep)

  • 이성훈;이희상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2호
    • /
    • pp.163-171
    • /
    • 1994
  • 연구목적 : 수면 무호흡의 증상은 크게 불면증, 낮의 과다한 졸리움, 기억력과 집중력 등의 인지기능장애, 우울 등의 감정장애 등이 주 증상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증상들이 수면 및 수면 무호홉의 여러 변수들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며 어떤 과정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발생되는 지에 대한 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면 무호흡증 환자 60 명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함과 동시에 낮 졸리움 척도, 불면증 척도, 인지기능 척도 및 감정장애 척도를 통해 수면 무호홉의 증상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수면다원 검사상의 여러 수면변수, 무호흡의 횟수, $O_2$ desaturation, 코골기 정도 등과 무호흡 증상의 4 가지 척도와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호흡 환자 중 불면증호소가 적고 비교적 잠을 잘 자는 경우는 호흡장애가 많은 경우와 중심성 무호흡이 많은 경우였다. 그리고 제 3 단계 서파수면에서 코골기가 많거나 경등도의 산소저하가 많은 경우였다. 대신 낮에 졸리움증이 많은 경우는 제 1 단계에서 코골기가 많은 경우였다. 그러나 무호흡의 정도나 산소와는 직접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우울 등의 감정장애는 수면 중 산소저하가 중등도이상으로 심한 경우 많이 나타났으며 제 4 단계 서파수면이 적은 경우 이러한 우울 감정이 더 심하게 나타났다. 집중과 기억 등의 인지기능은 REM 수면이 많고 호흡장애의 횟수가 적을수록 더욱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다. 결론 : 무호흡의 증상은 서로 다른 원인과 기전을 통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을 좀 더 객관적 평가할 수 있다면 환자의 수면 및 무호흡의 정도와 상태를 예측하는데 더욱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면유도용 온열안대를 위한 뇌파기반의 맞춤형 온열제어 기법 (Customized Eyelid Warming Control Technique Using EEG Data in a Warming Mask for Sleep Induction)

  • 한혜경;이병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149-1160
    • /
    • 2021
  • Lack of sleep time increases risks of fatigue, hypomnesis, decreased emotional stability, indigestion, and dementia. The risks can be reduced by providing eyelid-warming, inducing sleep and improving sleep quality. However, effective warming temperature to an person varies depending on physical condition and the individual. The various types of frequencies can be identified in brain wave from a person and amount of frequencies is also changed continuously before and after sleep. Therefore we can identify the user's sleep stage with brain wave, namely EEG. Effective sleep induction is possible if warming temperature to a person is controlled based on EEG. In this paper, we propose customized warming control techniques based on EEG for a efficient and effective sleep induction. As an experiment, sleep induction effects of standard sleep mask and customized temperature control techniques sleep mask are compared. EEG data and warming temperature were measured in 100 experiments. At customized warming control techniques, experiments showed that the ratio of alpha and theta waves increased by 3.21%p and the time to sleep decreased by 85 seconds. It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sleep inductio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methods in customized sleep mask systems.

안전도, 뇌파도, 근전도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분류 (Classification of Sleep Stages Using EOG, EEG, EMG Signal Analysis)

  • 김형욱;이영록;박동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491-1499
    • /
    • 2019
  • Insufficient sleep time and bad sleep quality causes many illnesses and it's research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The most common method for measuring sleep quality is the polysomnography(PSG). The PSG is a test used to diagnose sleep disorders. The most common PSG data is obtained from the examiner, which attaches several sensors on a body and takes sleep overnight. However, most of the sleep stage classification in PSG are low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lgorithm for sleep level classific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which can replace PSG. EEG, EOG, and EMG channel signals are studied and tested by using CNN algorithm. In order to compensate the performance, a mixed model using both CNN and DNN models is designed and tested for performance.

수면의 공황증 (Sleep and Panic)

  • 김영철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1호
    • /
    • pp.49-56
    • /
    • 1997
  • Nocturnal panic involves sudden awakening from sleep in a state of panic characterized by various somatic sensation of sympathetic arousal and intense fear. Many(18-71%) of the spontaneous panic attacks tend to occur from a sleeping state unrelated to the situational and cognitive context. Nocturnal panickers experienced daytime panics and general somatic sensation more frequently than other panickers. Despite frequent distressing symptoms, these patients tend to exhibit little social or occupational impairment and minimal agoraphobia and have a high lifetime incidence of major depression and a good response to tricyclic antidepressants. Sleep panic attacks arise from non-REM sleep, late stage 2 or early stage 3. The pathophysiology and the similarity of nocturnal panic to sleep apnea, dream-induced anxiety attacks, night terrors, sleep paralysis, and temporal lobe epilepsy are discussed.

  • PDF

여름철 수면시 온열쾌적감 평가 - 제4보 : 쾌적수면을 위한 실내온도 설정에 관한 연구 -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during Sleeping in Summer - Part IV : Study on Indoor Temperature Conditions for Comfort Sleep -)

  • 금종수;김동규;박종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07-312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leep efficiencies and conditions for comfortable sleep based on the analysis of sleep efficiency and MST under four thermals conditions ($22^{\circ}C,\;24^{\circ}C,\;26^{\circ}C,\;30^{\circ}C$). Five female subjects who have similar life cycle and sleep patterns were participated for the sleep experiment. Their age was from 20 to 22 years old. They were healthy, and had regular sleep with consistent bed and wakeup time. It was checked whether they had a good sleep before the night of experim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n environmental chamber using thermo-hygrostat. The physiological signal (EEG) for sleep stage were obtained from C3-A2 and C4-Al electrode sites. Sleep stages were classified, then SWS latency and SWS/TST were calculated for the evaluation for sleep efficiencies on thermal conditions. As results, mean skin temperature for comfort sleeping was $34.5{\sim}35.4^{\circ}C$. Considering sleep efficiency and mean skin temperature, indoor room temperature of upper limit was $28.1^{\circ}C$.

여름철 수면시 온열쾌적감 평가 - 제3보 : 실내온도 상승에 관하여 -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during Sleeping in Summer - Part III : About Indoor Air Temperatures Rise -)

  • 김동규;금종수;김세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7호
    • /
    • pp.535-540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evaluate sleep efficiencies and conditions for comfortable sleep based on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under variations in thermal conditions. Five female subjects who have similar life cycle and sleep patterns were participated for the sleep experiment. It was checked whether they had a good sleep before the night of experiment. EEGs were obtained from C3-A2 and C4-A1 electrode sites and EOGs were acquired from LOC (left outer canthus) and ROC (right outer canthus) for REM sleep detection. Sleep stages were classified, then TST (total sleep time), SWS (slow wave sleep) latency and SWS/TST were calculated for the evaluation of sleep efficiencies on thermal conditions. TST was defined as an amount of time from sleep stage 1 to wakeup. SWS latency was from light off time to sleep stage 3 and percentage of SWS over TST was calculated for the evaluation of sleep quality and comfort sleep under thermal conditions. As result, the condition which raise a room temperature provided comfortable sle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