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aked Lim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초

제철소 석회석수세슬러지의 수화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dration of sludge from limestone washing process in a steel making factory)

  • 안지환;김가연;김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권3호
    • /
    • pp.32-49
    • /
    • 1994
  • 포항제철소에서 발생되는 석회석슬러지의 기본탄산계 특성중의 일부분인 수화반응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석회석슬러지는 광물조성상 calcite이며 고품위(CaO 51%) 미분말(15~22$\mu\textrm{m}$) 석회석으로 보통탄산칼슘 영역 (-3mm + 325mesh)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2. 석회석슬러지는 수세슬러지와 소성로 습식집진 dust의 혼합슬러지이며 약 8:2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수차례 시료채취한 소성로 습식집진 dust는 전형적인 calciteduTdmsk 실조업에서는 일부 열분해 시작한 quick lime과 다시 집진수와 수화된 slaked lime의 혼재가 예상되므로 두 공정 슬러지의 분리로 석회석슬러지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석회석슬러지를 소성, 수화하여 제조된 slaked lime의 각종 수화반응기 종류별에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일반적인 기계적인 교반기인 magnetic stirrer의 shaking incubator, ultrasonic vibration reactor을 비교 검토한 결과 ultrasonic vibration reactor에서 격렬하지 않은 수화반응과 타반응기 보다 미세한 분체생성 및 균일한 입도분포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4. Ultrasonic vibration reactor에서 미분말의 slaked limetod성에 최적인 광액 농도는 10wt%이하였으며, 수화완료 시간도 5~10분으로 타반응기 보다 짧았다. 5. 석회석슬러지는 천연산 석회석을 원료로 한 경우 10~20$\mu\textrm{m}$의 불균질 slaked lime 분체를 생성에 반해 석회석슬러지는 균일한 1~5$\mu\textrm{m}$ 분체를 생성하였다.

  • PDF

소석회와 식물 추출물의 닭진드기에 대한 구충 효과 (The Acaricidal Effects of Slaked Lime and Plant Extracts on Poultry Red Mites)

  • 홍의철;박기태;강보석;강환구;전진주;김현수;손지선;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1-217
    • /
    • 2020
  • 본 연구는 닭진드기 방제 물질로서 소석회와 소석회·식물추출물 혼합물의 감수성과 시간 경과에 따른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 방제 물질은 식물추출물 3종(정향, 계피, 사포닌)을 1:1: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시험 1>은 방제 물질에 대한 감수성 평가로서, 소석회 10%와 20% 수용액, 1% 친환경 방제 물질을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는 친환경 방제 물질의 지속성 평가로서, 20% 소석회 수용액과 1% 친환경 방제 물질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으며, 처치 후 시간 경과(0, 10, 30, 60분)에 따른 닭진드기 구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10%와 20% 소석회 수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닭진드기 구충 효과는 각각 73.2%와 85.1%로 나타났다. 20% 소석회수용액을 처리한 경우, 구충 효율은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50.7%, 60분 경과시에는 12.7%까지 감소하였다(P<0.05). 1% 친환경 방제 물질 처리구에서는 처치 30분 후부터 닭진드기의 구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방제 물질의 농가 적용 시, 닭진드기는 36주령에 관찰되기 시작하여 10주 만에 7,923마리로 증가하였으나, 방제 물질을 처리 후 438마리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서는 소석회와 친환경 방제 물질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점토와 석회의 혼합에 의한 반응생성물과 물성변화 (Reaction Products and Properties of Clay Mixed with Lime)

  • 김병규;황진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5-512
    • /
    • 1999
  • Soft marine clay deposits pose several foundation problems. Generally, lime stabilization is used worldwide for solidifying of soft marine clay deposits. In this paper,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clay-lime reaction. A clay was collected from Pusan, which was mixed with various quantities of quick lime and slaked lime. Various compounds produced by clay-lime reaction were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clay were also investigated. Compounds such as calcium silicate hydrate (CSH), calcium aluminate hydrate (CAH), calcium aluminate (CA), hillebrandite, and gehlenite were identified. It is likely that such compounds were mainly produced by pozzolanic reaction. Based on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btained by the reaction, the water content was considerably decreased when lime was added to the clay. In addition, unconfined strength was increased. In the other hand, quick lime was more effective than slaked lime in decreasing and increasing of the water content and unconfined strength, respectively. Fewer cracks were produced when the clay was mixed with quick lime. It is suggested that these beneficial changes produced by the mixing of the clay and lime depend on the properties of compounds obtained by chemical reaction.

  • PDF

콩의 산성비 피해경감을 위한 석회물질의 시용효과 (Effect of Lime Materials Application on Reducing Injury of Simulated Acid Rain in Soybean)

  • 김복진;백준호;김흥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5-180
    • /
    • 1997
  • 산성비에 의한 작물의 피해경감방안을 구명하고자 pot시험으로 사양토에 콩(단엽콩)을 공시작물로하여 석회물질을 토양(소석회), 엽면(석회유 1%, 석회유 2%), 토양 및 엽면(소석회+석회유 1%, 소석회+석회유 2%)에 처리하고, 인공산성비(pH 2.7)를 10mm씩 2일간격으로 50회 살포한 후 콩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가시적 엽피해율, 엽록소 함량, 광합성 능력, 식물체중 무기성분 함량, 시험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등을 분석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산성비 45회 살포후 경장은 석회유 2%구에서, 엽수는 소석회+석회유 1%구에서 가장 컸으며, 엽폭, 경경, 개체당 분지수는 처리간에 유의성없이 비슷하였다. 인공산성비 살포에 의하여 전처리구에서 종실 수량이 감소하였으나, 석회물질의 처리구에서 종실 수량이 증가하였으나, 특히 소석회+석회유 1%구가 가장 좋았다. 2. 인공산성비 15 및 45회 살포후 엽피해율 경감효과는 석회물질의 시용이 효과적이었다. 3. 인공산성비 45회 살포후 엽록소 함량은 소석회+석회유 1%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인공산성비 30회 살포후 광합성 능력은 소석회구에서 가장 좋았다. 4. 인공산성비 살포로 식물체중 질소, 인산, 황 등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소석회를 토양에 처리함으로써 식물체중 질소, 카리, 석회 등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인공산성비 살포로 토양의 pH는 낮아졌으나, 질소 및 황 함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인산, 석회, 카리, 고토등의 함량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 PDF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나노 결정 소석회 합성 (Synthesis of nano-crystalline slaked lime using design of experiment)

  • 김진성;김정우;이희수;김용남;신현규;김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4-1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균일침전법으로 합성된 $CaCO_3$를 하소한 후 수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소석회를 제조하였다. 소석회를 제조하기 위하여, 염화칼슘$(CaCl_2)$과 우레아(Urea)가 출발 물질로 사용되었으며 염화칼슘 수용액과 우레아 수용액을 혼합하여 가열하는 동안 반응용기 내에서 탄산칼슘이 합성되었다. 침전물들을 여과하고 증류수와 에탄올로 수 차례 세척하였으며 건조시켰다. 소석회는 하소된 탄산칼슘의 수화과정을 통하여 합성되었다. 최적의 합성조건을 선정하는데 있어 실험의 잡음인자를 최소화하고 결과를 통계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실험계획법(다구치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였다. 제조된 탄산칼슘을 $1000^{\circ}C$에서 30분 동안 하소시킨 후 에탄올 및 옥살산이 첨가된 증류수로 수화시킴으로써 결정입자 크기가 약 50 nm인 소석회를 제조할 수 있었다.

소석회 및 붕사의 시용이 수도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aked Lime and Borax Application upon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Paddy Rice)

  • 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0권
    • /
    • pp.61-71
    • /
    • 1971
  • 이시험은 추락답에 대한 소석회 및 붕사의 시용효과를 알고자 pot시험(pot당 소석회를 0, 5, 10, 15g, 붕사를 0, 0.75, 1.5g를 처리) 및 포장시험(10a 당 소석회 0, 100, 200kg, 붕사를 0, 10, 30, 50kg를 처리)을 실시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t 시험: $\circled1$ 붕사를 다량시용 한구에 있어서는 생육초기에 하엽에 Chlorosis가 나타났으나, 이앙 25일 경 이후부터 점점 없어져 갔다. 그리고 출수 이후 성숙기가 가까워 짐에 따라 상위엽 선단의 양선이 암갈색으로 착색되고 엽선단의 양선이 말리며 고사되었다. 이와함께 조립의 선단부도 암갈색으로 착색되었다. $\circled2$ 소석회는 분얼을 촉진시켜 수수를 증대시켰으며, 붕사는 억제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 $\circled3$ 붕사는 벼의 출수를 매우 촉진시켜, 소석회의 시용량에 관계없이 표준구보다 $B_1$구는 3일, $B_2$구는 5일 빨랐다. $\circled4$간장은 붕사의 시용으로 짧아졌으나, 수장은 오히려 길어졌으며, 소석회의 단독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circled5$ 수당조립수는 소석회의 시용으로 증가되는 듯하나 다량의 소석회 및 붕사는 호히려 립수를 감소시켰다. 등숙율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circled6$ 현미 1,000립중은 붕사의 시용량의 증가로 증대되었으며 립수의 크기가 약간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7$ 정조 및 고중은 조립수 및 등숙율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붕사를 다량 시용한 구는 감수의 경향을 보였다. (2) 포장시험: $\circled1$ 붕사를 다량 시용한 구에 있어서는 생육초기에 Chlorosis가 나타났으며 출수이후 성숙기가 가까워 짐에 따라 상위엽의 선단이 암갈색으로 착색되었다가 고사되었다. $\circled2$소석회는 생육을 촉진시켜 수수를 증대시켰으며, 붕사는 분얼을 억제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3$ 소사는 출수를 촉진시켜, 붕사 다량 시용구는 출수가 4, 5일 빨라졌다. $\circled4$붕사는 간장을 억제시켰다. $\circled5$ 소량의 붕사는 등숙을 향상시켰으며 다량의 경우에는 저해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6$ 정조 및 현미수량은 소석회 및 붕사의 단독효과만이 인정되었으며 다량의 붕사는 감수를 초래하였다.

  • PDF

소석회에 의해 개질된 바이오 황이 시멘트 수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Sulfur Modified by Slaked Lime on Cement Hydration Properties)

  • 이웅걸;한래봉;조성현;이평수;송명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09-516
    • /
    • 2023
  •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에 황(S)을 사용하는 것이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유황은 고체로 존재하고 분말화가 어렵기 때문에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혼화제나 혼합물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고분자를 사용하여 황을 개질한 바 있으나, 이 역시 개질 후 끈끈한 상태로 존재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다. 이에 새롭게 개질한 바이오 황이 시멘트 수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소석회 개질 바이오 황은 반응 조건에 따라 미반응 황 및 소석회, 칼슘-황(Ca-S) 화합물 및 물을 함유한 슬러리 상태로 존재한다. 소석회 바이오 황을 시멘트 혼합물로 사용하는 경우, 소석회 개질 바이오 황을 첨가한 모르타르의 내염해성은 일반 모르타르에 비해 우수하며, 이는 소석회 개질 바이오 황을 함유한 시멘트 수화물의 구조가 ettringite의 지속적인 존재로 인해 일반 시멘트 수화물의 구조보다 더 치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생석회 시비가 배추 내 무기이온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ime on inorganic ion and glucosinolate contents in Chinese cabbage)

  • 김영진;천진혁;김선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15-421
    • /
    • 2015
  • Ca is material to used in Chinese cabbage (Brasica rapa L. spp. pekinensis). The variation of inorganic ions and GSLs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to control additional Ca contents in slaked lime. The additional fertilizer of slaked lime differ four grade that 0 g (Ca-0), 0.28 g (Ca-1), 0.56 g (Ca-2), 0.84 g (Ca-3) are week intervals with a total of 8 times after transplanting. Inorganic ions in Chinese cabbage ('Bulam plus') were analyzed to use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ometry(ICP). The more additional slaked lime input, the more almost macronutrients contents were high except Ca. Ca contents were higher in Ca-0 (153.10) and lower in Ca-3 (130.55 mg/kg dry weight, DW). GSLs were identified based on peak retention time in previous results of our laboratory. Seven GSLs including two aliphatic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one aromatic (gluconasturtiin), four indolyl (glucobrassicin, neo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4-hydroxyglucobrassicin) were detected using HPLC. Progoitrin, 4-methoxyglucobrassicin, and gluconasturtiin conten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put in additional slaked lime. Total GSLs contents were Ca-0 (11.95), Ca-1 (17.02), Ca-2 (19.63), Ca-3 ($17.11{\mu}mol/g$ dry weight, DW). Total Ca and GSLs contents (Ca-1,2,3; mean 17.92) are higher than non treatment (Ca-0; $11.95{\mu}mol/g$ DW).

수도(水稻)의 중금속(重金屬) 흡수(吸收) 경감(經感)에 대(對)한 몇가지 개량제(改良劑)의 효과(效果) (Studies on the Effects of Several Amendments on the Uptake of Cd, Cu and Zn by Rice Plant)

  • 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0
    • /
    • 1987
  • 수도(水稻)의 중금속(重金屬) 흡수(吸收)를 경감(輕減)시키기 위(爲)하여 광미사(鑛微砂) 및 광산폐수(鑛山廢水)에 의(依)해 중금속(重金屬)의 오염(汚染) 정도(程度)가 다른 두 토양(土壤)에 개량제(改良劑)인 중과석(重過石), 용성인비(熔成燐肥), 소석회(消石灰), 규회석(珪灰石) 및 석고(石膏) 등(等)을 처리(處理)하여 토양(土壤) pH 및 현미중(玄米中) 중금속(重金屬)(Cd, Cu Zn 등(等))함량(含量)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량제간(改良劑間)의 뚜렷한 경향(傾向)은 없었으나, 현미중(玄米中) Cd, Cu, Zn 등(等)의 흡수(吸收) 경감(輕減) 정도(程度)는 重金屬(중금속) 오염도(汚染度)가 낮은 토양Ⅱ(土壤) 보다 오염도(汚染度) 높은 토양(土壤)Ⅰ에서 그 효과(效果)가 컸다. 2. 토양(土壤)Ⅰ에서 현미중(玄米中) Cd 농도(濃度)를 0.4ppm 이하(以下)로 감소(減少)시킬 수 있는 개량제(改良劑)의 시용량(施用量)은 중과석(重過石)이 98, 용성인비(熔成燐肥)가 225, 소석회(消石灰)가 190, 석고(石膏)는 276㎏/10a였다. 3. 개량제(改良劑)로 시용(施用)된 동일(同一) 린산함량(燐酸含量)으로서 중금속(重金屬)의 흡수경감효과(吸收輕減效果)는 중과석(重過石)이 용성인비(熔成燐肥)보다 컸고, 동일(同一) 알칼리분으로서는 소석회(消石灰)가 용성인비(熔成燐肥)나 규회석(珪灰石)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다. 4. 토양중(土壤中) pH와 현미중 (玄米中)Cd 및 Zn 함량(含量)과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부(負)의 관계(關係)가 있었다.

  • PDF

미얀마 바간지역 사원 벽체 보수에 사용되는 석회 플라스터의 광물학적 및 물리적 특성 (Minera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Lime Plaster used in Wall Repair in Temple of Bagan, Myanmar)

  • 안선아;김은경;남병직;초수수 랭;강소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7-275
    • /
    • 2018
  • 본 연구는 미얀마 바간(Bagan)지역 전통 건축물의 벽체 보수에 사용되는 소석회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바간 지역 문화재 수리 현장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석회 플라스터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얀마 소석회의 X-선 회절 분석과 열분석 결과 포틀랜다이트($Ca(OH)_2$)와 수활석($Mg(OH)_2$)이 주구성광물로 검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석회의 원석으로 백운석($CaMg(CO_3)_2$) 광물의 함량이 높은 탄산염 암석이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미얀마 소석회는 $0.5{\mu}m$ 이상의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 결정들과 소량의 $0.1{\mu}m$ 크기의 판상형 결정들이 응집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조직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국내에서 건식 소화시킨 소석회와 비교했을 때 결정의 크기나 균일도가 다른 것은 소석회 간 구성광물의 차이와 미얀마 특유의 전통 습식 소화방법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28일 동안 양생한 미얀마 석회 플라스터의 압축강도 값은 평균 $1.13N/mm^2$이며, bale (Aegle marmelos) 열매의 물 추출액을 첨가한 플라스터 시편의 압축강도 값은 평균 $1.03N/mm^2$로 측정되었다. 석회는 장기간 탄산화 과정을 거쳐 강도가 발현되는 기경성 재료이므로 향후 28일 이상 장기 양생을 통해 양생기간별 물리적 특성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