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irritation study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2초

지하철 미세먼지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염증에 대한 달맞이꽃 뿌리 추출물의 완화 효과 (Relaxing Effect of Evening Primrose Root on Skin Irritation Caused by Particulate Matter in Subway Tunnel)

  • 신명걸;박을용;박덕신;김종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9-131
    • /
    • 2020
  • 인간의 피부가 지하철 터널과 같은 외부환경에서 고농도의 입자 먼지(PM2.5, PM10)에 장시간 노출되면 피부에 나쁜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미세입자 먼지는 피부를 손상시켜 염증과 알러지 반응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이 피부에 미세입자 먼지가 반응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할 때 피부염증 저해능력을 조사하였다. 입자형태의 먼지는 지하철에서 하루에 가장 높은 농도로 존재할 때 수집하였다.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강한 항산화능을 보였다 (62.6%). 미세입자 형태와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의 혼합물은 일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여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이 미세입자 먼지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 입자형태의 먼지(PM10)를 세포에 노출시켰을 때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5, 10, 20 ㎍/mL) 활성산소 수준이 감소함과 동시에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달맞이꽃뿌리 추출물이 미세입자 형태의 먼지에 의하여 유발되는 피부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능을 제공하여 피부용 화장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농약작업자의 농약에 대한 노출과 작업복 현황에 관한 분석 (Conditions of Chemicals Exposure and Work Clothing for Farm Workers Using Agricultural Chemicals)

  • 신정숙;김철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3호
    • /
    • pp.142-153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pesticide chemical-using of farm workers and working clothes for diminishing the possible damage by their improper chemicals usages. For the data Questionairs were collected 340 from the farm families of the 3 different districts in Yeoju, Kyonggido, and also inquired of the persons in charge of the chemicals and of the laundry in each family. Among the replies, 233 was classified as useful, and analyzed the frequency, the percentage and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64.3% of the farmers were using the chemicals for 5∼20 years, of whom 33.6% experienced stopping of chemicals-using for health. 2. The applicators experienced poisoning symptoms such as habitual fatigue, hadache, dizziness, chest discomfort, eye irritation, skin irritation, blurred vision, vomiting, nausea etc. after chemical work. 3. 74.7% answered they did not obtained educational information for the care of chemicals contaminated clothes. 69.1% said they need to obtain educational information about safety awareness of agricultural chemicals.

  • PDF

Properties of Oil-in-Water Nano-emulsions Prepared from Hydrogenated Lecithin with High Pressure Homogenizer

  • Cho, Wan-Goo;Bae, Duck-Wha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ites of nano-emulsions containing hydrogenated lecithin prepared by high pressure homogenizer. The size of droplet of emulsions prepared by homogenizer at various rpm (rotation per minute) was not measured due to the unstability of emulsions, however, the size of droplet of nano-emulsions prepared by high pressure homogenizer was around 300 nm and the appearance of emulsions was bluish. The stability of emulsions with various lecithin concentration was tested against time. POV (Peroxide value) of emulsions were plotted against time. POVs of emulsions prepared with an egg lecithin and a soy lecithin were increased with time, however, POV of emulsion with Lecinol S-$10^{(R)}$ was kept constant within 60 hours and at $60^{\circ}C$. In consumer test, the nano-emulsion showed higher affinity regardless of skin type. Both of irritation scores of emulsions were similar.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ies on the Anti-Irritation Effects of Mung Bean (Phaseolus aureus) Extract in Cosmetics)

  • 안기웅;강태원;정지헌;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28
    • /
    • 2004
  • 본 연구는 화장품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임상연구에 관한 것이다. 녹두는 해독 작용이 탁월하여 예로부터 민간요법이나 화장료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녹두의 생물학적인 효능 및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는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녹두의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효능을 제공하는 유효물질인 비텍신(vitexin)과 이소비텍신(isovitexin)을 분리해낸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두추출물의 항염증 기작을 살펴보고자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의 항원 유도성 히스타민 유리 억제능 및 5-lipoxygen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두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시켰지만 5-lipoxygenase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현재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극 유발 물질인 lactic acid, retinol, 방부제 등에 대한 녹두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체 첩포시험 결과, 5.0% lactic acid, 4000 IU retinol, 1.0% Preservative mixture가 들어간 제형에 2.0% 녹두추출눌을 첨가할 경우 각각 60%, 30%, 50% 정도의 우수한 자극 억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주관적인 자극을 평가하는 피부 자극감시험 결과도 2.0% 녹두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약 50∼30%의 자극완화 효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4주간 실시한 double-blind usage test 결과 역시 녹두추출물을 화장품에 사용하였을 경우 우수한 항자극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발효 전복 추출물의 피부자극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kin 1st Patch Test of Fermented Hydrolysate from Abalone(Haliotis discus hannai Ino))

  • 이충우;홍경희;전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21-424
    • /
    • 2016
  • 본 연구에서 남해안산 전복으로 부터 얻어진 일반 열수 전복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기본적인 피부 안전성 시험으로 추물물과 이를 이용한 액정크림 제형에서의 피부 일차 첩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비교군으로 정제수, 1,3-부틸렌글리콜, 액정크림으로 하였고 시료군은 전복추출물과 전복추출물을 함유한 액정크림 제형이었다. 피부 일차 첩포 테스트 결과, 비교군과 시료군 모두 피부의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복 추출물이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인도메타신 소프트 하이드로겔로 부터 약물 방출에 미치는 피부투과촉진제의 영향 (Effect of skin penetration enhancer on the drug release from indomethacin-soft hydrogel)

  • 남현규;이치호;신영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2권1호
    • /
    • pp.35-40
    • /
    • 2002
  • We prepared a novel dosage form, peel-off type soft hydrogel using poly(vinyl alcohol), and evaluated the effect of skin penetration enhancer on the indomethacin release from soft hydrogel by in vitro permeation and in vivo absorption test. In this study, we used four enhancers-urea, dimethyl urea, 1,1,3,3-tetramethyl urea, and pirotiodecane (1-[2(decylthio)ethyl]azacyclopentane-2-one, $HPE-101^{circledR}$).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of soft hydrogel using rabbit. From these results, we could find the pirotiodecane was a prominent enhancer, and soft hydrogel seemed to be safe and have no irritancy.

HA-Dex 융복합 하이드로겔 패치의 아토피 치유 능력에 대한 물리적 특성 및 생체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of HA-Dex Fusion Hydrogel Patch for Atopic Healing Ability)

  • 홍경식;최정연;최진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19-229
    • /
    • 2020
  • 최근,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자극에 민감하므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특정한 국소 부위에 대한 점착력과 흡수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적절한 약물 방출을 거동할 수 있는 패치 개발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제안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특정 부위에 효과적으로 접착 및 흡수 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패치를 개발코자 하였다. 아토피 패치는 동결 건조법을 이용하여 고흡수성 하이드로겔 시트를 제형화 하였다. 인간각질세포(HaCaT cells) 및 섬유아세포(L929 cells) 사용하여 세포 안정성을 수행하였다.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고자 FT-IR, FE-SEM, 다공성 분석, 팽윤성 거동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제조된 HA-Dex 하이드로겔 패치는 생체 적합성 및 물리적 평가에 의해 입증하였다. 또한 제조된 하이드로겔 패치는 충분한 수분 흡수력과 아토피성 피부의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향후 아토피 성 피부염 치료에 다양한 약물 전달 제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ECD QSAR Application Toolbox를 이용한 화학물질의 건강유해성 및 생태독성 예측 (Prediction of Human Health and Ecotoxicity of Chemical Substances Using the OECD QSAR Application Toolbox)

  • 김정곤;서정관;김탁수;김현경;박상희;김필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0-137
    • /
    • 2013
  • Objectives: The OECD QSAR Application Toolbox was developed by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o facilitate the practical use of QSAR approaches in regulatory contexts as well as to reduce the need for additional animal testing. In this study, human health and the ecotoxicity of chemicals were predicted by applying the OECD QSAR Application Toolbox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Methods: Read-across, trend analysis, and QSAR of OECD QSAR Application Toolbox were used for the prediction of toxicity. Results: The toxicity prediction was conducted on 6,354 chemicals for which toxicity data have been produced on the six endpoints of skin sensitization, skin irritation, eye irritation, mutagenicity, and acute toxicities of fish and Daphnia. From the total of 6,354, we obtained prediction results for 1,621 chemicals (25.5%). Conclusions: The predicted properties of mutagenicity, skin sensitization, and acute aquatic toxicities were reasonably good when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but other endpoints were not due to the limitation of applicable chemical groups.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한 피부용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of Water-based Acry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kin Using Reactive Emulsifier)

  • 이상철;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52-3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3-butenoic acid와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테르를 사용하여 비닐기를 가진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 반응성 유화제는 FT-IR 및 $^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에서 합성된 반응성 유화제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각각의 점착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56.8~57.4%의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초기 접착의 경우, 반응성 유화제로 제조된 S20BA는 $^{\sharp}13$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접착제의 박리강도는 $0.66{\sim}1.05kg_f$의 범위에서 측정되었고 S20BA를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박리 강도가 측정되었다. 내열성 시험 결과, S20BA의 내열성이 $840^{\circ}C$로 가장 높았다. 피부용 접착제에 대한 응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H는 중성 7로 측정되었으며, 일차 피부 자극 시험의 결과로 비자극성으로 측정되었다.

화학물질 피부접촉에 의한 피부독성 유해성 분류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the Classification of Skin Toxicity Hazards Due to Skin Contact with Chemical Substances)

  • 권부현;조지훈;이도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5-189
    • /
    • 2018
  •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nalyze statistics on industrial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kin contact and provide skin toxicity hazard information on the related domestic system and circulation volumes. Methods and Results: We analyzed occupational fatalities and skin diseases caused by chemical leaks and contact from 2007 to 2016(10 years) and surveyed data on occupational skin diseases using the 2014 work environment survey data. The NIOSH Skin Notation Profiles for 57 chemical substances, which are provided to prevent occupational skin diseases, were searched and hazard information on skin contact with chemical substances was classified. In order to identify skin toxicity information among domestically distributed and legally regulated substances and to investigate skin-toxic substances, MSDS basic data on 19,740 chemical substances provided on the homepage of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were searched. Acute toxicity(dermal) category 1-4 substances totaled 1,020, and the number of chemical substances classified as category 1 and 2 substances were 135 and 137, respectively. In the chemical substances prescrib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173 substances were classified into acute toxicity(dermal) categories 1-4, 58 of which correspond to category 1 or 2. Conclusions: Within the present range of industrial accidents, the proportion of skin diseases due to contact with chemicals is not high. However, there is always a risk of occupational skin diseases due to increasing chemicals and due to the use of new chemicals. It is hoped that this information will be used by workplace safety and health officials and health and safety experts to prevent acute toxity(dermal) due to chemical skin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