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dose

검색결과 950건 처리시간 0.023초

감마선조사에 의한 돼지 피부장애에 cyclooxygenase-2의 발현변화 (Gamma-ray-induced skin injury in the mini-pig: Effects of irradiation exposure on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the skin)

  • 김중선;박선후;장원석;이선주;이승숙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65-72
    • /
    • 2015
  • 방사선 노출에 따른 피부손상의 기본이론들은 정립되어 있지만, 정확한 기전에 관해서는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 후 용량 및 시간에 따라 돼지 피부의 장애를 육안 및 조직학적인 변화를 통해 평가하고 cyclooxygenase(COX)-2 발현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미니돼지의 등 쪽 피부에 20-70 Gy 감마선을 국소조사 후 12 주 동안 육안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생검을 통해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피부의 기저세포층에서의 세포자멸사와 표피층의 두께 변화를 평가하였고 COX-2 발현 정도를 면역염색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피부 장애는 용량이 증가할수록 피부손상이 더욱 심하였으며 초기에 발적 소견을 보이다가 50 Gy 이상 조사군에서는 미란과 궤양으로 이어졌다. 조직학적인 변화는 육안적인 소견과 일치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3일부터 기저세포에서 세포자멸사가 관찰되었으며 기저세포수의 감소가 유발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용량이 증가할수록 더욱 증가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표피층의 두께는 3일 무렵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20, 30, 40 Gy 조사 군에서는 다시 회복되는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50, 70 Gy 조사 군에서는 다시 회복되지 못하고 표피창의 두께 소실을 보였다. 방사선 조사 후 피부에서의 COX-2 발현은 피부손상정도와 일치하게 관찰되었다. 방사선 조사 후 COX-2 발현은 방사선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발현이 증가하였고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조직학적인 변화와 함께 방사선 손상을 일으키는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COX-2 발현이 방사선조사 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이러한 단백질의 발현은 피부손상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볼루스 적용횟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Necessary Number of Bolus Treatments in Radiotherapy after Modified Radical Mastectomy)

  • 홍채선;김종식;김영곤;박영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3-117
    • /
    • 2006
  • 목 적: 유방암으로 진단 받고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stectomy)후 흉벽에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볼루스(Bolus) 적용에 따른 흉벽(흉터, 수술봉합부위)의 피부선량 변화를 분석 하여 적절한 볼루스 적용횟수를 얻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고 있는 4명의 여성 환자(우측 2명 좌측 2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흉벽 방사선조사는 4 MV광자선으로 매일 2 Gy씩 주 5회, 접선조사로 치료하였고, 총 조사선량은 50 Gy였는데 동측 내유방림프절은 포함하지 않았다. 치료 계획을 위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흉터 부위의 위치 확인을 위해 방사선비투과성물질인 Angio-catheter를 흉터 위에 위치시켰다.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세웠고, 전산화치료계획장치에서 흉터부위 좌우 2 cm 영역을 포함하는 두께 0.5 cm, 넓이 6 cm의 볼루스를 적용시켰다. 계획한 내용을 바탕으로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선량분포 변화와 피부선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열형광선량계 (Thermoluminescent dosimetry: TLD, Harshaw, USA)를 이용하여 관심 부위(흉터 부위 3 지점, 흉터 좌측 1 cm 3지점, 흉터 우측 1 cm 3지점) 9개 지점의 선량을 실측하였다. 결 과: 전산화치료계획장치에서 얻어진 선량분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 모두에서 흉벽 부위에 $95{\sim}100%$ 선량이 감싸고 있었으나, 흉터 주위 피부선량에 있어서는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50{\sim}75%$)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100{\sim}105%$)가 큰 차이를 보였다. 선량분포를 통한 관심지점의 피부선량은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에서 환자 1번 23.3%, 환자 2번 35.6%, 환자 3번 34.9%, 환자 4번 41.7%의 선량 증가를 보였다.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볼루스를 적용한 경우의 TLD 평균 측정치는 환자 1번 161.1 cGy 209.3 cGy 환자 2번 150.2 cGy, 200 cGy, 환자 3번 150.5 cGy, 211.4 cGy, 환자 4번 155.5 cGy 198.6 cGy의 결과를 얻었다. 결 론: 본 원에서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흉벽 방사선치료의 가장 적절한 볼루스 적용 횟수는 전 치료횟수의 $50{\sim}60%$ 적용이다.

  • PDF

Ultraviolet A Induces Immunosuppression, Protection or Memory Enhancement Depending on Dose, while Ultraviolet B is Immunosuppressive and Tolerogenic over a Large Dose Range

  • Halliday, Gary M.;Byrne, Scott 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197-200
    • /
    • 2002
  • UVR-induced immunosuppression contributes to skin cancer. The aim was to construct accurate dose response curves for primary and secondary contact sensitivity for solar-simulated UVR (ssUVR; 290-400nm), UVA and UVB as the role of UVA in immunosuppression is controversial. We used a xenon arc source. The mice were immobilised, enabling accurate dosing. C57BL/6 mice were immunosuppressed at half the dose of ssUVR required to cause sunburn but not by higher doses (up to the sunburn dose). Thus, ssUVR causes systemic immunosuppression only over a narrow, low dose range. UVA caused suppression at low but not high doses whereas UVB induced immunosuppression at all doses tested. 8 weeks later the mice were resensitised to assess tolerance. Mice exposed to the minimum immunosuppressive dose of ssUVR prior to primary sensitisation were tolerant to re-sensitisation. However, at higher doses of ssUVR, these mice were protected from tolerance. Interestingly, while low doses of UV A caused immunosuppression, even lower doses enhanced the response to the second sensitisation. Higher doses of UVA had no affect. UVB induced tolerance in a dose related manner. Thus, ssUVR only induces immunosuppression and tolerance over a narrow dose range. Both UVA and UVB are immunosuppressive at this dose, while higher doses of UVA protect from the suppressive effects of UVB. Surprisingly very low doses of UVA enhanced memory development. Thus UVR has complex effects on the immune system depending on dose and spectrum.

  • PDF

광자극발광선량계(OLSDs)를 이용한 직장암 방사선치료 환자의 피부선량 측정 (Measurement of Skin Dose for Rectal Cancer Patients in Radiotherapy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etectors (OSLDs))

  • 임인철;유윤식;이재승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86-92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생체내선량측정에서 유용성을 재평가 받고 있는 광자극발광선량계(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s. OSLDs)와 다이오드 검출기를 병행하여 직장암 방사선치료 환자의 피부선량을 측정하고 치료계획시스템 에서 계산 선량과 측정 선량을 비교하여 OSL 선량계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OSL 선량계의 고유한 교정상수를 측정하고 10 명의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3 부위를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기준 흡수선량 100 cGy에 대하여 OSL 선량계의 교정상수는 6 MV X-선의 경우 1.17, 10 MV X-선의 경우 1.28 이었다. 또한 직장암 환자들의 피부선량은 측정 부위별로 치료계획시스템에서 계산 선량과 비교하여 다이오드 검출기는 1.16 ~ 2.83%의 선량증가를 보였고 OSL 선량계는 1.36 ~ 2.17%의 선량증가를 보였다. 특히 피부면의 굴곡이 심한 회음부(perineum)에서 계산된 선량과 전달 선량간 차이가 증가되었으며 다이오드 검출기보다 OSL 선량계가 측정값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따라서 OSL 선량계는 기존에 사용하던 이온함 및 다이오드 검출기를 대신하여 방사선량학적 오차의 검증 및 생체내선량측정에서 임상적으로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직장암 환자의 굴곡이 심한 회음부 주변의 선량 평가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이용한 선량보강 영역에서의 심부선량 백분율과 피부 선량률 측정 (Measurement of Skin Dose and Percentage Depth Does in Build-up Region Using a Fiber-optic Dosimeter)

  • 조동현;장경원;유욱재;서정기;허지연;이봉수;조영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2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 에너지 광자선을 조사 할 때, 선량보강 영영에서의 피부 선량률을 측정을 위해 유기 섬광체와 플라스틱 광섬유를 사용한 광섬유 방사선량계를 제작하였다. 광섬유 방사선량계의 센서부에서 발생된 섬광빛은 30 m 길이의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어 광증배관과 전류계로 측정된다. 광섬유 방사선량계로 측정한 선량보강 영역에서의 피부 선량률은 이온 전리함 및 GAFCHROMIC EBT 필름의 측정 결과와 비교 및 분석 하였다.

Fundamental Study of nanoDot OSL Dosimeters for Entrance Skin Dose Measurement in Diagnostic X-ray Examinations

  • Okazaki, Tohru;Hayashi, Hiroaki;Takegami, Kazuki;Okino, Hiroki;Kimoto, Natsumi;Maehata, Itsumi;Kobayashi, Iku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29-236
    • /
    • 2016
  • Background: In order to manage the patient exposure dose in X-ray diagnosis, it is preferred to evaluate the entrance skin dose; although there are some evaluations about entrance skin dose, a small number of report has been published for direct measurement of patient. We think that a small-type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OSL) dosimeter, named nanoDot, can achieve a direct measurement. For evaluations, the corrections of angular and energy depende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angular and the energy dependences of nanoDot.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commercially available X-ray diagnostic equipment. For angular dependence measurement, a relative response of every 15 degrees of nanoDot was measured in 40-140 kV X-ray. And for energy dependence measurement, mono-energetic characteristic X-rays were generated using several materials by irradiating the diagnostic X-rays, and the nanoDot was irradiated by the characteristic X-rays. We evaluated the measured response in an energy range of 8.1-75.5 keV. In addition, we performed Monte-Carlo simulation to compare experimental results. Results and Discussi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Monte-Carlo simulation. The angular dependence of nanoDot was almost steady with the response of 0 degrees except for 90 and 270 degrees. Furthermore, we found that difference of the response of nanoDot, where the nanoDot was irradiated from the randomly set directions, was estimated to be at most 5%.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of nanoDot varies with the energy of incident X-rays; slightly increased to 20 keV and gradually decreased to 80 keV. These results are valuable to perform the precise evaluation of entrance skin dose with nanoDot in X-ray diagnosis. Conclusion: The influence of angular dependence and energy dependence in X-ray diagnosis is not so large, and the nanoDot OSL dosimeter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dosimeter for direct measurement of entrance surface dose of patient.

선형가속기 10 MV 광자선에서 산란판(Beam Spoiler) 사용 시 표면선량 변화 (The Variation of Surface Dose by Beam Spoiler in 10 MV Photon Beam from Linear Accelerator)

  • 배성철;김준호;이철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28
    • /
    • 2006
  • 목 적: 10 MV X-선의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두경부종양 및 임파선 전이 환자를 치료할 시 피부표면 종양에 균일한 선량을 부여하기 위하여 조직 등가물질로 산란판을 제작하였으며 팬톰을 이용한 피부선량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 등가 물질인 lucite로 산란판을 제작하여 가속기의 콜리메이터와 피부사이에 부착하였으며 조사면적의 크기($5{\times}5{\sim}30{\times}30cm^2$)와 산란판 두께 및 피부와 산란판 간의 거리에 따른 피부 및 체표 0.4 cm에서의 선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자체 제작한 산란 판의 체표 선량 증강 효과를 평가하기위해 볼루스를 이용한 체표 선량을 측정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10 MV X-선 선형가속기와 피부 사이에 산란판을 설치하여 피부선량이 증가 되었으며 산란판의 위치에 따라 피부선량이 변화되었고, 0.4 cm 깊이의 선량과 최대선량지점이 피부표면쪽으로 이동하였다. 산란판이 일정할 경우 조사면적이 커질수록 표면선량이 증가하고 최대 선량점은 피부표면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산란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표면선량이 증가하고 최대 선량점은 피부표면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결 론: 10 MV X-선을 이용하여 두경부 종양 및 임파선 전이 암을 치료할 경우 산란판을 이용하여 이차산란 전자를 피부표면 앞에서 발생시킴으로써 표면근접부의 선량을 증가시켜 종양부위에 균일한 선량을 조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면적에 따라 적정 산란판 조건을 찾아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1.2 cm, 1.8 cm 두께의 산란판을 피부로부터 7 cm에 위치 시켰을때 $10{\times}10cm^2$ 조사면적의 표면선량이 각각 60%, 64%로 측정되었고, 0.4 cm 깊이의 선량이 94%, 94%로 가장 이상적으로 관찰되었다.

  • PDF

쥐의 피부두께에 따른 선량연구 (Study on the Radiation Dose about Skin Thickness of Rat (For Radiation Damage Tissue Engineering))

  • 정홍문;원도연;김형균;정재은;최현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75-379
    • /
    • 2016
  • 방사선장해 극복을 위한 조직공학실험에서는 다양한 실험방법이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방사선 장해모델을 구현함에 있어서 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실험동물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쥐 피부를 벗긴 후 일정한 두께로 만든 후에 피부 두께에 따른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쥐의 피부 두께에 따른 방사선 흡수선량을 유추해 날수 있는 수식을 도식화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수식을 적용한다면 방사선장해극복을 위한 조직공학 연구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지지체삽입시에 지지체가 받을 수 있는 방사선량의 정도를 유추해 낼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하여 쥐 피부두께 피하에 관한 체내 (in-vitro)실험모델 구현 시 방사선량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한다면 방사선이 노출된 쥐의 피하조직 체내 (in-vitro) 조직공학 실험에서 효과적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an easy-to-handle murine model for the characterization of radiation-induced gross and molecular changes in skin

  • Chang, Hsien Pin;Cho, Jae Ho;Lee, Won Jai;Roh, Hyun;Lee, Dong W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5호
    • /
    • pp.403-410
    • /
    • 2018
  • Background Radiation-induced skin injury is a dose-limiting complication of radiotherapy. To investigate this problem and to develop a framework for making decisions on treatment and dose prescription, a murine model of radiation-induced skin injury was developed. Methods The dorsal skin of the mice was isolated, and irradiation was applied at single doses of 15, 30, and 50 Gy. The mice were followed for 12 weeks with serial photography and laser Doppler analysis. Sequential skin biopsy samples were obtained and subjected to a histological analysis, immunostaining against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and Western blotting with Wnt-3 and ${\beta}$-catenin. Increases in the levels of TGF-${\beta}$, Wnt, and ${\beta}$-catenin were detected after irradiation. Results All tested radiation doses caused progressive dermal thickening and fibrosis. The cause of this process, however, may not be radiation alone, as the natural course of wound healing may elicit a similar response. The latent appearance of molecular and histological markers that induce fibrosis in the 15 Gy group without causing apparent gross skin injuries indicates that 15 Gy is an appropriate dose for characterizing the effects of chronic irradiation alone. Thus, this model best mimics the patterns of injury that occur in human subjects. Conclusions This animal model can be used to elucidate the gross and molecular changes that occur in radiation-induced skin injury and provides an effective platform for studying this adverse effect without complicating the process of wound healing.

이동형 X선 장치 차폐도구 제작을 통한 표면선량 분포 측정 (Measurement of Skin Dose Distribution for the Mobile X-ray Unit Collimator Shielding Device)

  • 홍선숙;김득용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8
    • /
    • 2010
  • Opened a court in February 10, 2006, a rule of safety management of the diagnosis radiation system was promulgated for safety of the radiation worker, patients and patients' 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rule is to minimize the risk of being exposed to radiation during the process of handling X-ray. For this reason, we manufactured shielding device of mobile X-ray unit collimator for diminution of skin dose. Shielding device is made to a thickness of Pb 0.375mm. For portable chest radiography, we measured skin dose 50cm from center ray to 200cm at intervals of 20cm by Unfors Xi detector. As a result, a rule of safety management of the diagnosis radiation system has been strengthened. But there are exceptions, such as ER, OR, ICU to this rule. So shielding device could contribute to protect unnecessary radiation exposure and improve nation's heal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