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Detection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33초

피부색 모델 기반의 효과적인 얼굴 검출 연구 (Efficient Face Detection based on Skin Color Model)

  • 백영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6호
    • /
    • pp.38-43
    • /
    • 2008
  • 피부색 정보는 컬러영상에 포함된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피부색 정보로 부터 생성된 통계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컬러영상에서는 일반적인 통계 피부색 모델만으로 정확한 얼굴영역 검출을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컬러 영상에서 얼굴영역만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YCbCr 피부 컬러 모델기반의 피부색 가우시안 분포를 적용하여 얼굴 후보영역 설정 하였고, 영상내의 잡음 부분과 얼굴 영역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학적 형태학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Haar-like 특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얼굴 검출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목이나 팔과 같이 유사한 피부색을 포함한 영상과 다양한 크기의 영상에서도 효과적인 얼굴영역 검출하는 우수함을 보였다.

피부암 병변 분류를 위한 SCLC-Edge 검출 알고리즘 (SCLC-Edge Detection Algorithm for Skin Cancer Classification)

  • 박준영;김창민;박찬홍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56-263
    • /
    • 2022
  • 피부암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로 국내에선 발병률이 지난 5년 동안 약 100%가 증가했고 미국에선 매년 500만여 명이 피부암을 진단받는다. 피부암은 주로 자외선의 노출로 피부 조직이 오랜 시간 손상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피부암의 악성종양인 흑색종은 피부 위에서 발생하는 멜라닌 세포 모반과 생김새가 유사해 2차 징후가 발생하지 않는 한 일반인이 자각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피부암의 조기 발견과 분류를 위해 피부암 병변 윤곽선 검출 알고리즘과 피부암 병변 분류를 수행하는 딥러닝 모델인 CRNN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윤곽선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할 시 분류 정확도가 97%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Canny 알고리즘의 경우 78%를 보였고 Sobel의 경우 55%, Laplacian의 경우 46%를 보였다.

Pulse-Coupled Neural Network를 이용한 얼굴추출 알고리즘 (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Pulse-Coupled Neural Network)

  • 임영완;나진희;최진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05-107
    • /
    • 2004
  • In this work, we suggested the method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Pulse-Coupled Neural Network. Face detection algorithm which uses the color information is independent on size, angle, and obstruction of a face. But the use of color information encounters some problems arising from skin-tone color in the background, intensity variation within faces, and presence of random noise, and so on. Depending on these conditions, we obtained the mean and variance of skin-tone colors by experiments. Then we introduce a preprocess that the pixel with a mean value of skin-tone colors has highest level value(255) and the other pixels in the skin-tone region have values between 0 and 255 according to a normal distribution with a variance. This preprocess leads to an easy decision of the linking parameters.

  • PDF

Skin Condition Estimation Using Mobile Handheld Camera

  • Bae, Ji-Sang;Jeon, Jae-Ho;Lee, Jae-Young;Kim, Jong-Ok
    • ETRI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776-786
    • /
    • 2016
  • The fairly recent standard of equipping mobile devices with advanced imaging sensors has opened the possibility of conveniently diagnosing skin conditions, anywhere, anytime. For this application, we attempted to estimate skin conditions from a skin image taken by a mobile handheld camera. To estimate the skin conditions, we specifically identified three skin features (pigmentation, pores, and roughness) that can be measured quantitatively from a skin image. The experimental data indicate that the existing thresholding methods are inappropriate for extracting the pigmentation and pore skin features. Thus, we propose a new line-fitting based thresholding method for skin feature detection. We thoroughly evaluated our proposed skin condition estimation method using our skin image databas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thresholding method can better determine the threshold leading to the most visually plausible detection, when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We also confirmed that skin conditions can be feasibly estimated using a common mobile handheld camera (for example, a smartphone).

컬러 기반 영상에서 눈동자 템플릿을 이용한 얼굴영상 추출 (A Face Detection using Pupil-Template from Color Base Image)

  • 최지영;김미경;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28-83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얼굴을 검출하기 위해서 컬러영상에서 눈동자 템플릿을 사용한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해 제안하였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피부색 모델에 의한 피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부 영역에 타원을 적용하여 얼굴영역을 찾은 뒤 템플릿을 사용하여 눈동자를 추출하여 정규화 된 얼굴을 검출하는 단계로 이루어 졌다. 특히 타원을 적용할 때와 눈동자 템플릿을 적용할 때는 모멘트를 사용하였으며, 눈동자를 추출할 때 벡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사이즈에 제한 없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눈동자 템플릿을 사용하면 눈동자의 위치와 크기를 동시에 얻어 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검출된 얼굴을 기울어진 각도만큼 회전시켜 정규화 된 얼굴을 검출 할 수 있었다.

  • PDF

Kinect 디바이스에서 피부색과 깊이 정보를 융합한 여러 명의 얼굴 검출 알고리즘 (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Kinect-based Skin Color and Depth Information for Multiple Faces Detection)

  • 윤영지;진성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7-144
    • /
    • 2017
  • 얼굴 검출은 복잡한 배경 내에서 다양한 얼굴의 자세로 인해 여전히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피부색과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한 한명 또는 여러 명의 얼굴을 검출하는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우리는 컬러 영상에서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이용한 피부색 검출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Kinect V2의 깊이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3차원의 깊이 정보는 배경으로부터 사람의 몸을 분할할 때 유용하다. 그리고 레이블링 과정에서 여러 개의 특징을 이용하여 얼굴이 아닌 영역은 성공적으로 제거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얼굴 검출 알고리즘은 다양한 조건과 복잡한 배경에서 얼굴이 효과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응적 피부영역 검출을 이용한 얼굴탐지 (Face Detection using Adaptive Skin Region Extraction)

  • 황대동;박영재;김계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35-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입력영상에서 적응적으로 피부색상 모델을 생성하여 얼굴을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절차는 먼저 눈의 특징을 인공신경망에 적용하여 눈 후보를 찾은 후, 그 주변의 색상을 이용하여 피부영역의 색상값 분포를 찾는다. 그 다음은 피부영역으로 검출된 색상값 분포를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산출하고, 해당 얼굴영역 내에서 입 후보를 찾아 눈 후보와 입 후보의 구조적인 관계가 얼굴 구조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얼굴영역을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방법은 눈을 찾아서 피부영역을 적응적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기존의 얼굴탐지 방법들의 문제인 피부색상의 왜곡으로 인한 오검출을 해결하였다. 실험은 눈 탐지와, 피부 탐지, 입 탐지, 얼굴탐지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주요 방법들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FACE DETECTION USING SKIN-COLOR MODEL AND SUPPORT VECTOR MACHINE

  • Seld, Yoko;Yuyama, Ichiro;Hasegawa, Hiroshi;Watanabe, Yu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592-59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detection technique for still pictures which sequentially uses a skin-color model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SVM is a learning algorithm for solving the classification problem. Some studies on face detection have reported superior results of SVM over neural networks. The SVM method searches for a face in a picture while changing the size of the window. The detection accuracy and the processing time of SVM vary largely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background of the picture or the size of the face. Therefore, we apply a face candidate area detection method using a skin-color model as a preprocessing technique. We compared the method using SVM alone with that of the proposed method in respect to face detection accuracy and processing time.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ed improved processing time while maintaining a high recognition rate.

  • PDF

이질적 템플릿 매칭의 융합을 이용한 얼굴 영역 검출 (Face Detection Using Fusion of Heterogeneous Template Matching)

  • 이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11-321
    • /
    • 2007
  • 본 논문은 영상에 포함된 얼굴을 보다 빠르고 강건하게 검출하기 위해서 이질적 템플릿 매칭의 결과들을 융합하여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광범위한 조명 환경과 인종을 포괄하는 피부색 모델을 이용해 피부 영역을 검출한다. 그리고 영역 라벨링과 필터링으로 매칭에 필요한 검색 범위를 줄인 후, 피부색과 에지를 이용한 템플릿 매칭을 검출된 영역에 적용한다. 이들 매칭 결과가 융합되어 두 매칭 결과를 동시에 최적으로 만족하는 얼굴이 검출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단일 템플릿을 적용할 때보다 얼굴색과 유사한 배경에서 얼굴을 강건하게 검출하며, 얼굴 후보 영역으로 검색 범위를 줄여 검출 시간을 줄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역 누산기를 사용하여 템플릿 매칭의 과도한 공간 요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경사도 맵과 채도 특징을 이용한 적응적 피부영역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aptive Skin Extraction using a Gradient Map and Saturation Features)

  • 황대동;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508-4515
    • /
    • 2014
  • 실시간 인체 검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색을 통한 인체 검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기존 피부 탐지 방법은 정적인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기 때문에 색왜곡이 발생한 영상에서 낮은 탐지율을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경사도 맵과 채도의 특징, K-평균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피부영역을 탐지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절차는 경사도 맵 생성, 피부영역에서 발견되는 경사도 특징의 추출, 피부의 채도 특징을 이용한 잡음 제거, 추출된 영역의 색상정보 군집화 수행, 클러스터 정보를 이용한 피부영역 탐지, 결과 검증 순이다. 이방법은 색상 이외의 특징을 이용하여 조명, 인종, 나이, 개인차 등에 상관없이 강건하게 피부를 탐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주요 방법들 보다 탐지 결과가 10% 이상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