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Barrier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초

Enhanced Skin Permeation of a New Capsaicin Derivative (DA-5018) from a Binary Vehicle System Composed of Isopropyl-myristate and Ethoxydiglycol

  • Cha, Bong-Jin;Lee, Eung-Doo;Kim, Won-Bae;Chung, Suk-Jae;Lee, Min-Hwa;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24-228
    • /
    • 2001
  • DA-5018, a recently synthesized capsaicin analog, appears to possess potent analgesic activity when administered topic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easibility of the topical administration of this compound. Specifically, our goal was to identify vehicle system that permit a reasonable transdermal permeation of the compound in mice. Among the vehicles examined, isopropyl myristate (IPM) showed the largest in vitro permeability across the intact skin (83.6 ${\pm}$ 5.42${\mu}$l/$\textrm{cm}^2$/h ). However, due to the limited solubility of DA-5018 in IPM (0.53 mg/ml), the maximal flux from the IPM medium remained at only 44.3 ${\pm}2.87{\mu}$g/$\textrm{cm}^2$/hr. In order to increase the flux, addition of better solvents for DA-5018 was attemp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flux is the result of both solubility and permeability. Ethoxydiglycol (EG) and oleic acid (OA) were selected as examples of food solvents. The addition of IC or OA to IPM at a 1:1 volume ratio resulted in a comparable increase in the solubility of the compound (i.e., to 61.1 and 50.2 mg/ml for EG and OA, respectively). However, the addition of EG at a 1:1 volume ratio, for example, increased the flux 6.3 fold (i.e., $279{\mu}$g/$\textrm{cm}^2$/hr), while OA, at a 1:1 volume ratio, decreased the flux 5 fold (i.e., $9.26{\mu}$g/$\textrm{cm}^2$//hr). The mechanism of this discrepancy between EG and OA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permeabilty of DA-5018 across the stratum corneum-removed skin of the mouse,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viable skin layer may serve as a barrier for the permeation of lipophilic substances such as DA 5018. The permeability of DA-5018, from the medium of EG or OA, across the viable skin differed greatly for EG ($0.41{\mu}$l/$\textrm{cm}^2$/hr) and OA ($0.086{\mu}$l/$\textrm{cm}^2$/hr), suggesting that a higher permeability across the viable skin layer is needed for the second solvents. The maximum flux across the intact skin was achieved for DA-5018 when EG was added to IPM at a 1:1 volume ratio. Thus, the use of a binary system appears to be the best approach for realizing the transdermal delivery of DA-5018 at a reasonable rate.

  • PDF

생체활성 각질층 지질 - 아토피 피부염 관리를 중심으로 - (Stratum Corneum Lipids as Bioactive Materials for Atopic Dermatitis)

  • 박병덕;염종경;안성구;이승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5-352
    • /
    • 2004
  • 아토피 피부염을 설명하는 데는 두 가지 패러다임이 있는데, 첫 번째는 outside-inside paradigm이고 두 번째는 inside-ouside paradigm이다. Outside-inside paradigm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장벽 기능은 각질층의 특징적인 구조에 의해 유지되는데, 각질층은 층상구조의 inter-cellular lipids와 corneocyte로 구성되어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 층판상 어린선 환자의 각질층 내 층상구조는 hexagonal 구조가 많이 존재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Ceramide 1 타입과 long chain fatty acid의 감소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라멜라구조를 가지며 intercellular long periodicity phase 기능을 복원할 수 있는 보습제는 각질층의 intercellular lipid의 층상구조를 복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라마이드와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제는 손상된 피부장벽, 피부질환, 아토피 피부염을 위한 유용한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Inside-outside paradigm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 등이 보조 T cell, lg E, eosinophil 등을 포함한 면역반응과 관계되는데, 특히 Th1/Th2 imbalance의 복원이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여러 종류의 면역억제제가 소개되고 있지만, 이들은 고유 면역기능을 감소시킬 우려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세라마이드 대사산물인 SPC와 S1P는 면역조절 기능 및 상처치유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향후 관심이 집중될 것이다.

수분 감응성 아시클로버 패취제의 설계 및 평가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oisture-activated Acyclovir Patches)

  • 김아미;곽혜선;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6호
    • /
    • pp.393-399
    • /
    • 2006
  • This study was aimed to design, formulate and characterize the moisture-activated patches containing acyclovir for antiviral action. Gel intermediates for film-type patches were prepared with mucoadhesive polymer, viscosity builders, enhancers and acyclovir. Patches containing acyclovir were characterized by in vitro measurement of drug release rates through a cellulose barrier membrane, and of drug flux through the hairless mouse skin. Film-type patches obtained were uniform in the thickness and showed a mucoadhesive property when contacted with moisture. The formulation was optimized, which consisted of $Cantrez^{\circledR}$ AN-169(2%), $Kollidon^{\circledR}$ VA 64(1%), $Natrosol^{\circledR}$(1%), hydroxypropyl-$\beta$-cyclodextrin(1%) and dimethylsulfoxide(0.5%). Release rates of acyclovir patches increased dose-dependently. The addition of terpenes such as d-limonene or cineole increased release rates of acyclovir, but decreased permeation rates. The permeation rates were enhanced by 2 and 2.5 times by the addition of glycyrrhizic acid ammonium salt and sodium glycocholate,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no enhanc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feasible to deliver acyclovir through the skin or gingival mucosa from the moisture-activated patches.

포도전정가지 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결합 조직 손상에 미치는 피부 보호 효과 (Skin Protection Effect of Grape Pruning Stem Extract on UVB-induced Connective Tissue Injury)

  • 김정희;김극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1-147
    • /
    • 2018
  • 본 연구는 포도수확 후 버려지는 가지를 이용한 포도전정가지 추출물(Grape Pruning Stem Extracts, GPSE)에 함유된 polyphenol류 중 항산화, 항염증, 항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rutin, procyanidin B3, quercetin, kaempferol의 함량을 분석하고, UVB로 유도된 HR-1 mice의 손상된 피부에 대한 교원섬유, 탄력섬유 파괴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포도전정가지에서 polyphenol 성분을 80% EtOH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20^{\circ}C$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GPSE의 유효성분 함량은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UVB를 HR-1 hairless mice에 조사하였고, 손상된 피부에 교원섬유 파괴억제 효과를 보기 위해 Masson's trichrome stain, 탄력섬유 파괴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해 Verhoeff's elastic fiber stain, MMP-9 단백 발현을 보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포도전정가지 시료 53 kg에서 EtOH 분획 추출물 2.34 kg을 추출하여 4.42%의 수율 결과를 얻었다. 유효성분 분석결과, procyanidin B3, 0.28 mg/g, rutin 12.81 mg/g, quercetin 0.51 mg/g 및 kaempferol 8.24 mg/g로 나타났다. GPSE와 serum base를 혼합 도포한 그룹에서 UVB에 의한 교원섬유와 탄력섬유를 분해하는 MMP-9 단백발현 결과, 대조군 대비 평균 약 90% 감소 억제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교원섬유 파괴억제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평균 24%의 억제율과,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 농도 2,000 mg/kg 에서 43%로 가장 우수한 교원섬유 파괴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탄력섬유파괴 억제 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평균 12%의 억제율과 GPSE와 serum base의 혼합물 농도 1,000 mg/kg에서 35%로 가장 우수한 탄력섬유 파괴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GPSE가 진피층의 세포 외 기질에 UVB 조사에 의해 파괴되는 교원섬유, 탄력섬유의 파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포도전정가지로부터 rutin, kaempferol, quercetin, procyanidin B3 등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화장품 기초 원료인 serum base에 함유토록 제조된 GPSE 는 교원섬유 파괴 억제, 탄력섬유파괴 억제효과 및 피부손상 기능개선 효과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포도농가에서 수확 후 버려지는 포도전정가지에서 폴리페놀류와 같은 유효성분을 확보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소 보습제 도포가 정상 영유아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Topical Moisturizers on the Skin of Healthy Full-term Infants and Toddlers)

  • 현무열;이용희;오원종;유광호;박귀영;김명남;홍창권;김범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3-71
    • /
    • 2015
  • 보습제는 피부과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제품 중 하나로, 피부장벽을 유지시키고 피부가 촉촉하고 건강하게 보이게 하며, 영유아의 정상적인 피부발달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보습제 도포가 정상 영유아의 피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건강한 정상 영유아에서 일반적인 보습제 도포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31명의 피부염이 동반되지 않는 건강한 6 - 36개월 연령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루 2회 목욕 후 눈과 기저귀 착용 부위를 제외한 전신에 존슨즈 베이비 내츄럴너리싱 로션을 4주간 도포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도포 전후, 1주, 4주에 실시하였다. 매 방문시 피부수분도와 경표피수분손실도, 피부산도 및 거칠기를 측정하였으며 피부표면을 촬영하여 비교하였고 보습제 도포 후 발생한 피부 발진을 포함한 모든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보습제 도포 후 피부수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경표피수분손실도와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피부산도는 약산성으로 조절되었으며, 육안적으로 피부표면은 매끄럽게 변화한 것이 관찰되었다. 임상 시험 기간 동안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보습제 도포가 영유아의 피부에 있어 수분을 증가시키고, 피부장벽기능 증강과 약산성의 피부산도 조절 및 거칠기의 호전을 야기하며, 4주간의 보습제 도포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호염 미생물(Haloarcula vallismortis) 용해물의 자외선유발 피부변화에 대한 효과 (Effect of Halophilic Bacterium, Haloarcula vallismortis, Extract on UV-induced Skin Change)

  • 김지형;신재영;황승진;김윤선;김유미;길소연;진무현;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1-350
    • /
    • 2015
  • 피부는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장벽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중금속, 각종 산화 물질들과 같은 외부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손상을 받기 쉽다. 특히 자외선 B (UVB)는 진피의 상부까지 도달하여 화상이나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지나친 자외선 B의 피부세포로의 유입은 각질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DNA손상을 야기하고,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방해하여 피부탄력감소, 주름생성, 진피 결합조직의 손상과 함께 피부장벽을 붕괴시켜 노화를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심각한 피부 병변으로 이어져 피부세포 사멸 및 종양의 발생으로까지 이어진다. Haloarcula vallismortis는 사해로부터 분리 동정한 미생물로 호염성 고생물의 생장적 특징은 아직 자세히 연구된 바는 없다. 대게 10% 이상의 염도에서 자라는데 실제 생장염도는 평균 20 ~ 25% 염도에서 자란다. 염도가 높은 호수나 염전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강한 햇빛에 대한 방어기작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로 다른 ATP를 생성하기 위한 bacteriorhodopsin외에 halorhodopsin이라는 색소를 이용, 광자(photon)를 흡수하고 염화이온 채널을 개방시켜 생기는 전위차를 이용해 추가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또 carotenoid 색소로 인해 농도가 높을시 분홍색 또는 빨간색을 띄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강한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을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호염성 고세균이 자외선을 에너지 소스로 이용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이들의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항염 효과 및 DNA 손상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methyl-2-pyrrolidone 제제의 경피흡수촉진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N-methyl-2-pyrrolidone on Skin Permeation of a Hydrophobic Active Ingredient)

  • 이근수;이동환;김경범;고현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5-120
    • /
    • 2010
  • 피부에서 표피를 통한 물질의 수송은 피부의 여러 가지 보호 작용으로 인해 경피 흡수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생리 활성 성분이 그 효과를 발휘하는 진피층까지 도달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피부에서 매우 낮은 농도가 투과되는 친수도가 높은 약물(알부틴)의 경피흡수를 촉진하는 화학적 촉진제의 in vitro 흡수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화학적 촉진제로 N-methyl-2-pyrrolidone (NMP)을, 경피흡수장치는 Franz diffusion cell을 사용하였다. NMP는 약물의 경피흡수에 상당히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MP는 피부 지질층의 유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약물의 보조흡수제로 작용하여 알부틴의 경피흡수촉진비율을 약 1.3~1.5배 증가 시켰지만 지연 시간의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NMP는 친수성 생리활성 물질의 효과적인 화학적 경피흡수 촉진제로 작용하였으며, 향후 화장품 제형 및 약물전달체계에 응용이 기대된다.

Effects of lipopolysaccharide and CpG-DNA on burn-induced skin injury

  • Park, Byoung-Kwon;Kim, Dong-Bum;Cho, Sun-Hee;Seo, Jae-Nam;Park, Jae-Bong;Kim, Yong-Sun;Choi, Ihn-Geun;Kwon, Hyeok-Yil;Lee, Young-Hee;Kwon, Hyung-Joo
    • BMB Reports
    • /
    • 제44권4호
    • /
    • pp.273-278
    • /
    • 2011
  • Destruction of the skin barrier by thermal injury induces microbial invasion, which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systemic infection and septic shock. Microbial pathogens possess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 which are recognized by conserved receptors. To understand the role of PAMPs in thermal injury-induced mice, LPS or CpG-DNA were topically applied to dorsal skin after thermal injury. We observ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 infiltrates as well as thickening in the dermis upon treatment with LPS or CpG-DNA. We also found that expression of IL-$1{\beta}$, MIP-2, and RANTES induced by thermal injury was enhanced by LPS or CpG-DNA. In addition, the proportions of $CD4^+$ and $CD^8+$ T cells in the spleen and lymph nodes were altered by LPS or CpG-DNA.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concerning PAMPs-induced inflammation upon thermal injury and provide a basis for studying the role of PAMPs in thermal injury-induced complications.

마이크로니들시스템을 이용한 부펙사막의 경피전달 (Transdermal Delivery of Bufexamac using Microneedle System)

  • 모종현;김윤태;박정수;이준희;이태완;강길선;이종문;이한구;이해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211-216
    • /
    • 2008
  • 아토피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부펙사막은 연고제 형태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부펙사막은 피부 장벽효과에 의해 실제 전달되는 양은 매우 적다. 이러한 문제를 갖는 부펙사막의 피부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해 피부처리를 실시하였다. 약물의 피부투과량과 피부에서 약물의 전달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펙사막에 FITC를 결합시켰으며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여 피부에 도포하였다. 약물의 피부투과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형광분광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약물의 전달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형광필터가 장착된 마이크로현미경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마이크로니들로 처리된 피부에서 부펙사막의 피부투과량이 대조군에 비해 5~20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마이크로니들 처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더 크게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ontophoresis Enhances Transdermal Delivery of Methylene Blue in Rat Skin (I): The Effect of Current Application Duration

  • Lee, Jae-Hyoung;Choi, Eun-Yo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6호
    • /
    • pp.77-84
    • /
    • 2011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nhancing effect of iontophoresis method as it transdermally deliver methylene blue (MB) using visual examination, in terms of penetration depth and tissue distribution in the skin,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duration on the efficacy of iontophoresis. Methods: Twen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10-, 20-, and 40-minute groups. These rats were exposed to either topical or anodic iontophoresis of 1% MB using a direct current of $0.5mA/cm^2$ for 5, 10, 20, and 40 minutes. Using cryosections of rat tissues, the penetration depth of MB was measured using light microscopy.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netration depth (F=54.20, p<0.001) were detected among the four groups. Post hoc comparisons of the penetration depth of MB data pooled across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opical application groups and 5-minute iontophoresis group, but did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netration depth between all topical application groups and 5-minute iontophoresis group versus 10-minute group, between the 10-minute and 20-minute group, and between the 20-minute and 40-minute iontophoresis group (p<0.05).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iontophoresis enhances transdermal delivery of MB across stratum corneum of skin barrier by visual examination. Furthermore, the penetration depth of iontophoretic transdermal delivery of MB was dependent on the application duration. The duration of iontophoresi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in the efficacy of iontophoresis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