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pattern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3초

성장기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악안면 형태에 대한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적 연구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Maxillofacial Morphologic Features in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 손우일;장익준;송재철;진병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208-214
    • /
    • 2001
  • 성장기 3급 부정 교합인 남아 20명의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Harvold 분석법을 중심으로 하여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상하악간 상대적인 길이 차를 나타내는 악간 길이 차는 3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전하안면 고경은 3급 부정교합군에서 정상교합군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없었다.

  • PDF

Incidence and management of condylar resorption after orthognathic surgery: An overview

  • Barone, Selene;Cosentini, Giorgio;Bennardo, Francesco;Antonelli, Alessandro;Giudice, Amerig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9-41
    • /
    • 2022
  • Objective: Condylar resorption (CR) is one of the major post-surgical complications of orthognathic surgery. This systematic review (SR) aimed to evaluate epidemiological data, risk factors, and therapeutical management of CR. Methods: Six databases were screened by two investigators until September 2020 to obtain all SRs. After reading the titles and abstracts, eligible SRs were determined and data extra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latest version of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ystematic Review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Rs was determined. Results: Ten SRs with low or critically-low methodological quality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Mandibular hypoplasia on the sagittal plane and hyperdivergent growth pattern on the vertical plane were the most common skeletal alterations in which CR could occur after orthognathic surgery. Post-operative condylar changes were analyzed both o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3D) radiographic examinations. The incidence of CR was not related to the fixation method. Based on the severity of the pathological conditions, management of CR can include conservative or surgical therapy. Conclusions: Despite the limited evidence in literature, CR is considered a consequence of orthognathic surgery. However, an accurate diagnosis of CR and a better orthognathic surgical planning must include 3D radiographic examinations to improve pre- and post-surgical comparison. Well-designed studies with long-term follow-up and 3D data are needed to clarify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Immediate Effect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Balance and Proprioception During One-leg Standing

  • Je, Jeongwoo;Choi, Woochol Joseph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7-193
    • /
    • 2022
  • Backgrou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is a physical modality used to activate skeletal muscles for strengthening. While voluntary muscle contraction (VMC) follows the progressive recruitment of motor units in order of size from small to large, NMES-induced muscle contraction occurs in a nonselective and synchronous pattern. Therefore, the outcome of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using NMES-induced versus voluntary contraction might be different, which might affect balance performance. Objects: We examined how the NMES training affected balance and proprioception. Methods: Forty-four young adults were randomly assigned to NMES and VMC group. All participants performed one-leg standing on a force plate and sat on the Biodex (Biodex R Corp.) to measure balance and ankle proprioception, respectively. All measur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 training session. In NMES group, electric pads were placed on the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and soleus muscles for 20 minutes. In VMC group, co-contraction of the three muscles was conducted. Outcome variables included mean distance, root mean square distance, total excursion, mean velocity, 95% confidence circle area acquired from the center of pressure data, and absolute error of dorsi/plantarflexion. Results: None of outcom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group (p > 0.35). However, all but plantarflexion error was associated with time (p < 0.02), and the area and mean velocity were 37.0% and 18.6% lower in post than pre in NMES group, respectively, and 48.9% and 16.7% lower in post than pre in VMC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Despite different physiology underlying the NMES-induced versus VMC, both training methods improved balance and ankle joint proprioception.

광주지역 일부 청소년의 트랜스지방 함유 간식의 상대적 섭취빈도에 따른 식행동, 체성분 조성, 영양소 섭취량 비교 (Relationship among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 Containing Trans Fatty Acid, Food Behaviors, Body Composition, and Nutrient Intakes of Adolescents Living in Kwang-ju Area)

  • 김복희;박복천;이소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10-41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of snacks-containing trans-fatty acid in adolescents living in the Kwang-ju area of Korea, and to analyze the relevance toward their eating behaviors, body composition, nutrient intakes, and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containing trans fatty acid.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order to investigate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eating behavior,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containing trans fatty acid. A total of 31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collection rate was 97% and ultimately 282 cases were analyz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ody composition data, and nutrient intakes were also collected. The consumption frequencies for snacks-containing trans-fatty aci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ood behavior scores (p<0.01) however, pocket money and snack intake frequency per da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sumption frequency. Also, snack consumption frequency had som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ody composition data such as total body water (p<0.01), body protein (p<0.01), body minerals (p<0.01), and skeletal muscle mass (p<0.01). Finally,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snacks-containing trans fatty aci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lcium intake (p<0.05), it also showed correlations with vitamin A, retinol, ${\beta}-carotene$, and folic acid intake,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verified.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열궁 폭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al and Dental Arch Width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이해경;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117-127
    • /
    • 2002
  • 본 연구는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I급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을 비교하였고,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Hyperdivergent군과 Neutral군으로 나누어 폭경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ANB< 0$^{\circ}$) 부정교합자 중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상에서 하악 평면각(SN-Mandibular plane; 정상인의 평균 32 ${\pm}$ 5$^{\circ}$)이 1.5 SD이상(39.5$^{\circ}$이상)인 환자 37명 (남자 18명, 여자 19명 )을 hyperdivergent군(Group B)으로, 하악 평면각이 정상치의 0.5 SD이내인(32 ${\pm}$ 2.5$^{\circ}$) 40명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neutral군(Group C)으로 분류하였고 11개의 치과대학 교정과에서 선별한 정상교합과 정상적인 안모를 가진 성인 24) 중 41명(남자 20명, 여자 21명)을 정상교합군(Group A)으로 하여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양상에 따른 폭경 비율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 하악 기저골에 대한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상악에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더 컸고(p<0.001),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 부분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작아서(p<0.001)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에 비해 기저골에 대해 상악 치아가 더 협측으로 경사되고, 제1대구치를 제외하고 기저골에 대해 하악 치아가 설측 경사되어 횡적인 치성보상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4.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기저골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위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더 커서(p<0.0001)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폭경이 하악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직적 안모형태에 따른 혀와 설골의 위치 비교 (A study on the position of tongue and hyoid bone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pattern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우광수;윤정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9-589
    • /
    • 2000
  • 혀와 설골의 위치가 안모형태와 어떤 양태로 상관성을 갖는지 비교평가하기 위해 69명의 성인군과 63명의 성장군에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얻었다. 성인군과 성장군에서 SN평면에 대해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과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혀의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설골의 수직적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연령과 안모형태의 수직적 분류에 따른 설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는 차이가 없었다. 4.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기울기에 있어, 성인군보다 성장군에서 좀 더 가파른 경사도를 갖고 있었다.

  • PDF

수직적 안모유헝에 따른 치료 후 교합평면 안정성에 관한 연구 (Post-treatment stability of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different vertical facial patterns)

  • 박정은;이진우;정동화;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9-379
    • /
    • 2006
  • 본 연구는 수직적 안모유형에 따른 치료 후 교합평면 변화양상을 조사하여 향후 적절한 치료계획과 기전의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골격성 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비발치로 치료받은 성민 60명(남자 28명, 여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Ricketts법의 facial axis, facial depth, mandibular plane angle, lower face height, mandibular arc의 5개 항목을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정상교합자 통계치의 기준에 따라 short face type (1군), average face type (2군), long face type (3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치료 전, 치료 종료, 종료 후 1년의 측모두부 방사선사진 계측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1군은 치료 종료 시와 비교하여 유지기간에 일반적 교합평면각, 기능적 교합 평면각, L6/L1, MP-L6 항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 < 0.01) L1-FOP 항목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1). 2군은 유지기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3군은 유지기간에 기능적 교합평면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기능적 교합평면각의 치료 후 변화량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1군과 3군 간에 매우 큰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치아의 압하, 정출 및 치료 후 전치부 피개 등에 있어 유지기간 중 교합평면각 변화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백서의 좌골신경에서 정맥 및 골격근을 이용한 결손신경 봉합술에 대한 연구 (A Study in Bridging Sciatic Nerve Defects with Combined Skeletal Muscle and Vein Conduit in Rats)

  • 이준모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6권1호
    • /
    • pp.29-38
    • /
    • 1997
  • A peripheral nerve when approximation of the ends imparts tension at the anastomosis and with a relatively long segment defect after excision of neuroma and neurofibroma cannnot be repaired by early primary suture. The one of the optimistic reconstruction method of severed peripheral nerves is to restore tension-free continuity at the repair site putting an autogenous nerve graft into the neural gap despite of ancipating motor or sensory deficit of the donor nerve area. To overcome the deficit of the autogenous nerve graft, several other conduits supplying a metabolically active environment which is able to support axon regeneration and progression,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scar invasion, and guiding the regrowing axons to the distal stump of the nerve have been studied. An author have used ipsilateral femoral vein, ipsilateral femoral vein filled with fresh thigh muscle, and autogenous sciatic nerve for the sciatic nerve defect of around 10 mm in length to observe the regeneration pattern in rat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ight microscopically regeneration pattern of nerve fibers in the autogenous graft group was more abundant than vein graft and vein filled with muscle group. 2. On ultrastructural findings, the proxial end of the graft in various groups showed similar regenerating features of the axons, myelin sheaths, and Schwann cells. The fascicular arrangement of the myelinated and unmyelinated fibers was same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duits. There were more or less increasing tendency in the number and the diameter of myelinated fibers correlated with the regeneration time. 3. In the middle of the graft, myelinated nerve fibers of vein filled with muscle group were more in number and myelin sheath was thinner than in the venous graft, but the number of regenerating axons in autogenous nerve graft was superior to that in both groups of the graft. The amount of collagen fibrils and amorphous materials in the endoneurial space was increased to elapsed time.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generating patterns of the nerve fibers of distal end of the graft. The size and shape of the myelinated nerve fbers were more different than that of proximal and middle portion of the graft. From the above results, the degree of myelination and regenerating activity in autogenous nerve is more effective and active in other types of the graft and there were no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either ends of the graft regardless of regeneration time.

  • PDF

Cyclophosphamide와 Prednisolone 병합요법에 치료반응을 보인 다발성근염에 동반된 간질성폐질환 1예 (Interstitial Lung Disease Associated with Polymyositis: Response to Cyclophosphamide and Prednisolone Combination Treatment)

  • 문종호;박준영;이상무;김현태;어수택;정연태;김용훈;박춘식;이경수;강대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197-202
    • /
    • 1993
  • 저자들은 37세의 여자에서 스테로이드치료에 저항을 보이다가 prednisolone과 cyclophosphamide 병합투여로 치료반응을 보인 간질성폐질환을 동반한 다발성근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말의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s)의 특성 구명과 운동 후 유전자의 발현 분석 (Identification of Equine Heat Shock Proteins Gene and Their mRNA Expression Analysis after Exercise)

  • 조현우;박정웅;최재영;시바 쿠마르;김남영;신택순;조성근;김병우;조병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5-1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의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의 특성을 구명하고 말의 각 조직과 운동 전과 후 혈액에서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의 발현량을 분석함에 있다. 이전의 연구를 통해, 대표적인 경주마인 더러브렛의 혈액과 골격근에서 운동 전, 후 RNA-sequencing을 통해 차등발현유전자 분석을 실시하고, 본 연구를 위해 운동 전과 후에 차등 발현된 유전자 중,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HspH1, Hsp90${\alpha}$, Hsp70)를 선택하였다. 세 개의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는 각각의 혈액이나 근육에서 운동 전에 비해 후에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팀은 선정된 유전자에 대한 검증과 분석을 위해, 말의 조직별 RT-PCR 분석과 운동시간별 백혈구에서 real time q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말의 각 조직(갑상선, 결장, 골격근, 맹장, 신장, 심장, 척수, 폐)에서 세 개의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 mRNA가 모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의 운동 시간 별 혈액에서 mRNA를 추출하여 열충격 단백질의 운동 시간에 따른 발현 양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 전에 비해 운동 120분 후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과 다른 동물 실험의 결과와 일치하며,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 전사 조절기작이 종간에 보존이 되어왔음을 시사한다. 또한, 운동에 따른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의 발현 양상과 운동 수행 및 회복 기작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