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discrepancy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Stability of dental, alveolar, and skeletal changes after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 Lim, Hyun-Mook;Park, Young-Chel;Lee, Kee-Joon;Kim, Kyung-Ho;Choi, Yoon Jeo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13-322
    • /
    • 2017
  • Objective: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is a means for expanding the basal bone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in young adults. Here, we assessed the differences in dental, alveolar, and skeletal measurements taken before (T0), immediately after (T1), and 1 year after (T2) MARPE. Methods: Twenty-four patients (mean age, 21.6 years) who had undergone MARPE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t T0, T1, and T2 were included. Changes in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compared using paired t-tests: intercusp, interapex, alveolar, nasal floor, and nasal cavity widths; inclination of the first molar (M1) and its alveolus; and thickness and height of the alveolar bone. A linear mixed-effects model was used to determine variables that affected periodontal changes in the M1. Results: MARPE produced significant increases in most measurements during T0-T2, despite relapse of some measurements during T1-T2. The alveolar thickness decreased on the buccal side, but increased on the palatal side. The alveolar crest level at the first premolar moved apically. Changes in the thickness and height of the alveolar bone were affected by the corresponding initial values. Conclusions: MARP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correcting maxillomandibular transverse discrepancy, showing stable outcomes 1 year after expansion.

중안면부 함몰과 하악전돌을 동반한 III 급 부정교합자의 교정-악교정수술 복합치료 (COMBINED ORTHODONTIC-SURGICAL TREATMENT FOR CLASS III PATIENT WITH MIDFACIAL DEFICIENCY AND MANDIBULAR PROGNATHISM)

  • 조은정;김종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37-645
    • /
    • 1996
  • 성장이 완료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는 골격 부조화의 심도, 절치 치축, overbite와 연조직 측모의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교정치료와 악교정수술을 병행하여 골격과 치아관계 개선에 따른 기능의 증진외에도 안모의 심미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전후방적, 수직적, 횡적인 골격 부조화가 크거나 안면비대칭이 있는 경우, 또한 악교정수술후의 안정성이나 보다 이상적인 안모를 위하여 양악수술을 시행한다. 중안면부 함몰환자에서 안와하연과 관골부는 보존하며 비상악체를 전방이동하는 pyramidal Le Fort II osteotomy 를 시행할 수 있으며, 안와하연과 관골부치 전방이동을 필요로 할 때는 quadrangular Le Fort II osteotomy 를 시행할 수 있다. 이 수술법은 안와하연의 위치를 변화시켜 안와체적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골의 횡적, 수직적 이동량이 5 mm 이상일 때는 시행할 수 없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중안면부 함몰과 하악전돌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교정-악교정수술 (Le Fort II osteotomy 와 BSSRO) 복합치료를 받은 2명의 환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Diagnostic analysis of vertical orbital dystopia and canthal tilt for surgical correction

  • Lee, Ju-Young;Choung, Han-Wool;Choung, Pill-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6권6호
    • /
    • pp.379-384
    • /
    • 2020
  • Objectives: We sought to identify a clinically useful method of analyzing orbital dystopia to aid in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and to quantify vertical discrepancies in eye level and variations in canthal tilt in Koreans. Patients and Methods: In 76 Korean patients with a mean age of 23.12 years, mean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pupils, lateral canthi, medial canthi, and canthal tilt were measured. The difference in pupil level was calculated from the perpendicular lines drawn from the midpupil area of each eye to the midline of the face to determine the amount of skeletal discrepancy of the eye. Soft tissue discrepanci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ertical difference between the lines drawn from the lateral or medial canthus of each eye perpendicular to the midline of the face. The canthal tilt was determined from the inclination of a line connecting the lateral and medial canthi, then classified as class I, II, or III. Results: Mean differences in pupil level, medial canthi, and lateral canthi were 1.57±1.10 mm, 1.14±1.07 mm, and 2.03±1.64 mm, respectively. The mean degree of canthal tilt were 8.45°±3.53° for the right side and 8.42°±3.81° for the left side. No study participants presented with class III canthal tilt. The mean canthal tilt values for those with class I tilt were 3.21°±1.68° for the right side and 3.18°±1.63° for the left side, while, for those who had class II tilt, the values were 9.60°±3.66° for the right side and 9.54°±2.99° for the left side. Conclusion: The presented diagnostic method of orbital dystopia can be used to effectively establish a treatment plan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patient's skeletal and soft-tissue discrepancies.

Effects of a Prefabricated Functional Orthodontic Appliance on Children with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So-Youn An;Eun-Hee Kim;Ho-Uk Lee;Sang-Ho Bak;Hyo-Jin Kang;Youn-Soo Sh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2-122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prefabricated functional appliance (Myobrace®) on skeletal, dental, and soft tissue components in children with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Methods: Thirteen patients with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9 girls and 4 boys; mean age, 8.2±0.9 years at the start and 9.3±1.0 years at the end of the treatment) were treated with Myobrace® for a mean period of 12.9±4.0 months. Patients were instructed to use the appliance daily for 1 hour and overnight while sleeping. A control group of 10 patients with untreated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3 girls and 7 boys; mean age, 9.0±1.6 years at the start and 10.4±2.1 years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was included to eliminate possible growth effects. The mean observation period for this group was 17.7±11.2 months.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at the start and end of the treatment, and findings from 41 measurements were analyzed using the V-CephTM program.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analyzed using pair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Results: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NB, ANB, maxillary protrusion, ramus height, proclination of upper anterior teeth, interincisal angle, overjet, and upper lip protrus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only decrease in ANB, maxillary protrusion, overjet, upper lip protrusion, and increase in interincisal ang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prefabricated functional appliance induced skeletal, dentoalveolar, and soft tissue changes, resulting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anteroposterior discrepancy.

부정교합유형에 따른 하악와의 위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GLENOID FOSSA ACCORDING TO SKELETAL DISCREPANCIES)

  • 김희곤;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5-432
    • /
    • 1995
  • 본 연구는 안면골의 수평적 및 수직관계가 위치한 하악와의 위치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기위해 18세 이상 성인 남녀 각 96명, 108명을 대상으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촬영하였다. 이를 ANB각도에 따라 3개의 군($0.5^{\circ}$이하, $0.5^{\circ}-4.0^{\circ}$, $4.0^{\circ}$ 이상), SM-MP각도에 따라 3개의 군($30^{\circ}$이하, $30^{\circ}-38^{\circ}$, $38^{\circ}$ 이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면골의 수평직 부조화관계(ANB)에서 하악와의 수평적위치(X)는 Class II, Class I, Class III 순으로 전방위치 하였다. 2. 하악와의 수평적 위치(X)는 ANB, SNB와 유익성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SNA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3. 안면골의 수직적 부조화(SN-MP)에서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low angle에서 가장 크며 medium, high angle 순이었다. 4. 하악와의 수직적 위치(X)는 SN-MP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SN-MP, SN-OP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전두개저의 길이는 III급 부정교합에서 가장 작았다.

  • PDF

Three-piece basal archwire를 이용한 치열 정중선 불일치의 교정치료 (Treatment of patients with midline discrepancies using three-piece basal archwire)

  • 김석준;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7-386
    • /
    • 2000
  • 경미하거나 중등도의 골격성 비대칭을 동반한 치열 정중선 불일치를 치료할 때 진단시 간과한 경우 교정치료의 마무리시기에 발견하여 치료기간이 더 길어지거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때 비대칭 악간 고무줄을 사용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장기간 치료하면 교합평면이 변화되거나 치아가 경사 이동되는 등 여러 가지 부작용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초진시부터 세심한 진단과 정확한 역학의 적용이 필요하다. Dr. Burstone이 제안한 three-piece basal archwire는 posterior anchorage unit, anterior segment와 intrusion arch 로 구성된다. Three-piece basal archwire는 전치부 함입과 후방견인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으며, 기울어진 전치부 교합평면의 개선도 가능하다. 편측으로만 견인력을 적용하여 치열 정중선을 개선할 때 절치가 경사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Three-piece basal archwire를 응용하여 견인하는 방향의 반대측에 모멘트를 부가하면 절치의 편측 치체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치열 정중선 불일치를 개선한 치료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한 완전구강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by immediate implantation combined with orthognathic surgery: a clinical report)

  • 안혜림;허지예;김철훈;황희성;김복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7-64
    • /
    • 2016
  • 악교정 수술과 임플란트 보철을 통한 전악재건술의 임상적 치료는 보철과 의사에게 도전적인 과제이다. 본 증례는 골격적 부조화를 가진 다발성 우식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치의학의 여러 분야의 협진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로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 및 조기 하중을 가하는 임플란트 보철물에 의한 전악 재건이 예견가능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Mandibular midline osteotomy for correction of bimaxillary transverse discrepancy: a technical note

  • Mrunalini Ramanathan;Rie Sonoyama-Osako;Yukiho Shimamura;Taro Okui;Takahiro Kann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9권3호
    • /
    • pp.107-113
    • /
    • 2023
  • Bimaxillary transverse width discrepancies are commonly encountered among patients with dentofacial deformities. Skeletal discrepancies should be diagnosed and managed appropriately with possible surgical corrections. Transverse width deficiencies can present in varieties of combinations involving the maxilla and mandible. We observed that in a significant proportion of cases, the maxilla is normal, and the mandible showed deficiency in the transverse dimension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s. We designed novel osteotomy techniques to enhance mandibular transverse width correction, as well as simultaneous genioplasty. Chin repositioning along any plane is applicable concomitant with mandibular midline arch widening. When there is a requirement for larger widening, gonial angle reduction may be necessary. This technical note focuses on key points i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transversely deficient mandibl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and stability. Further research on the maximum amount of stable widening will be conducted. We believe that developing evidence-based additional modifications to existing conventional surgical procedures can aid precise correction of complex dentofacial deformities.

악교정수술을 받은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 전, 후의 하악치열궁 변화 (Changes of mandibular dental arch during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 남형진;손우성;박수병;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3-298
    • /
    • 2008
  • 본 연구는 악교정수술을 받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 전, 후의 하악치열궁 변화를 관찰하고, 이들이 초진 시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석고모형과 어떠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받은 31명(남자 14명, 여자 17명, 평균 $21.8\;{\pm}\;3.3$세)을 대상으로 치료 전, 악교정수술 전, 악교정수술 후 채득한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치료 전, 후의 석고모형을 계측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Mn-LMMC, Mn-LIE, Mn-MnOcc는 술전교정치료에 의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전의 계측치와 치료 후 변화된 계측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치열궁공간부족(ALD)은 ICW, IPW1의 변화량과 순상관관계(r = 0.492, 0.615)를 보였으며, 치열궁장경(arch length)의 변화량과도 순상관관계(r = 0.641)를 보였다. 그러나 Spee 만곡은 전치부치축 각도 변화와 치열궁 폭경 및 장경 등 각각의 변화량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술전교정 후 Arch length, IPW1의 변화량은 치료 전의 계측치로 각각 64.0%, 75.8%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 전, 후의 변화량과 치료 전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석고모형 간에 관련성이 있었고 악교정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 계획을 수립할 때 술전교정치료의 목표 설정과 악교정수술 결과의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술 전 교정치료 전과 후의 수술계획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TO between before and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s)

  • 이은주;손우성;박수병;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5-186
    • /
    • 2008
  • 본 연구는 술 전 교정치료 전 치아 이동 예측치(initial STO)와 술 전 교정치료 후 실측치에 바탕을 둔 STO (final STO)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하악만 수술한 환자 40명을 선정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라 두 그룹(발치 그룹 20명, 비발치그룹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술 전 교정치료 전의 initial STO, 술 전 교정치료 후의 final STO를 작성하여 각 계측치를 수평, 수직 기준선에 대해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발치 그룹의 두 STO 비교 시 수직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상악 제1대구치 협측교두에서,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교두, 하악 중절치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과 근심협측교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비발치 그룹의 경우는 수직적으로 하악 중절치 치근단,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하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STO의 차이와 initial STO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진단 요소와의 상관성 평가 시 상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상악 전치의 수평, 수직 및 제1대구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으며 두 그룹 모두 하악 전치 치축 각도와 하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하악 전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Initial STO 작성과 술 전 교정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여 진행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줄이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