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developmental stag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 어린이의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른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 비교 (Comparison of Dental Age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with Skeletal Malocclusion)

  • 김지연;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2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라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6세에서 14세에 이르는 총 192명의 환자(89명의 남자, 103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였고 심한 질환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통계는 이분법,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석회화는 골 성숙도와 연관성(p < 0.05)을 보였고 또한 골 성숙도가 높은 경우, 여자어린이 일 경우가 11.43배 높았다(p < 0.001). class II 부정교합일 경우,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치아 석회화 정도가 class III 부정교합자에 비해 높았다(p < 0.05). 치아의 석회화와 골 성숙도의 연관성은 높았으며 class II와 class III 부정교합환자의 치아의 성숙도는 치아에 따라 다른 성숙도를 보였다.

혼합치열기 정상교합아동의 수완부골과 경추골의 성숙도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CORRELATION ON HAND-WRIST WITH CERVICAL VERTEBRAE FOR SKELETAL MATURATION IN MIXED DENTITION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 김명국;양규호;최남기;김선미;김지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7-243
    • /
    • 2011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소아환자의 골격성숙도 평가를 위해 경추골과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의 상호연관도를 연구하는 것이다. 성적인 특징, 연령, 치아 발육, 신장, 체중과 골격성장은 성장 단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청소년기 전이나 청소년기 동안 성장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6~18세 아동을 대상으로 측면 두부 방사선 사진과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골격성숙 단계를 비교 평가하였다. 1. 일반연령은 Skeletal Maturity Indicators(SMI)와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CVM)에 비하여 적절한 골격성숙도 표시자가 되지 못하였다. 2. SMI와 CVM의 골격성숙도는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더 빨랐다. 3. SMI 1, 2는 CVM 1, SMI 3, 4는 CVM 2, SMI 5, 6은 CVM 3에 해당하는 연관관계가 나타났다. 4. SMI와 CVM에 대한 측정자의 재현성 및 신뢰도는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CVM도 SMI와 같이 교정치료에 있어 골격성숙도를 평가하는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다.

Dentofacial transverse development in Koreans according to skeletal maturation: A cross-sectional study

  • Hwang, Soonshin;Noh, Yoonjeong;Choi, Yoon Jeong;Chung, Chooryung;Lee, Hye Sun;Kim, Kyung-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9-47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normative data of dentofacial transvers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skeletal maturation stage in Korean adolescents with good occlusion, assess gender differences and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transverse variables. Methods: A total of 577 Korean subjects between ages 7 to 19 years and exhibiting skeletal Class I occlusion were categorized by skeletal maturation index (SMI) of Fishman using hand-wrist radiographs. Dentofacial transverse dimensions were assessed using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Independent two-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ransverse measurements. Results: Dentofacial transverse norms relevant to skeletal maturation stages were established. The average maxillomandibular width difference and ratio at growth completion was 22.16 mm and 77.01% for males; 23.70 mm and 74.06% for females, respectively. Males had greater facial, maxillary and mandibular widths compared to females at every SMI stage.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intermolar widths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 for both sexes (r = 0.826 for males, r = 0.725 for females). Conclusions: Dentofacial transverse norms of Korean adolescent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All dentofacial widths were greater in males at growth completion. Maxillary and mandibular intermolar widths were strongly correlated. This study may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assessment of dentofacial transverse growth according to skeletal maturation stage in Korean adolescents with good occlusion.

부정교합자(不正咬合者)의 사춘기성장(思春期成長)과 성적(性的) 성숙간(成熟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 관(關)한 누년적(累年的) 연구(硏究)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PUBERTAL GROWTH AND SEXUAL MATURITY IN MALOCCLUSION)

  • 장기영;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11
    • /
    • 1989
  • To study the sexual maturity at puberty and interrelation between pubertal growth peak and sexual maturity, 68 malocclusions (female 44, male 24) were longitudinally studied for 4 years and cross-sectional samples of 210 malocclusions were studied together. The pubertal growth peak was determined by stature increment and sexual maturity was studied using developmental stages of pubic hair and breast, menarche in female and those of pubic hair in ma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ean age at menarche was 12.8 years and it was 11.8 months later than PHV. 2. At pubertal growth peak, developmental stage 2 (54.2%) and 3 (29.2%) of pubic hair were most in male, and stage 1 (72.7%) and 2 (20.5%) were most in female. 3. At pubertal growth peak, the developmental stage 2 (50%) of breast was most and the stage 3 (43.2%) was next. 4. In interrelation between skeletal growth and sexual maturity, PHV had most high correlation with menarche and stage 3 of breast, and menarche had most high correlation with stage 3 of breast. 5. Appearance of remarkable sexual maturity suggested that the PHV was passed already.

  • PDF

Developmental Proteomic Profiling of Porcine Skeletal Muscl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Kim, Nam-Kuk;Lim, Jong-Hyun;Song, Min-Jin;Kim, Oun-Hyun;Park, Beom-Young;Kim, Myung-Jick;Hwang, In-Ho;Lee, Chang-S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1612-1617
    • /
    • 2007
  • In this study, we have compared the skeletal muscle proteome at various stages of porcine postnatal development. Korean native pigs were divided into five postnatal stages of 30, 70, 130, 170 and 300 d and their loin muscles were analyzed for muscle proteome by using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mass spectrometry. We found 5 proteins showing a consistent pattern during skeletal muscle growth. Four proteins were identified as myosin light chain 1 slow-twitch (MLC1sa) isoform, troponin T, triosephosphate isomerase (TIP) and DJ-1 protein. The remaining protein was not identified. Two muscle fiber proteins of MLC1sa isoform and troponin T showed a high expression level at an early postnatal stage and then their levels were decreased markedly during growth stages.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of TIP and DJ-1 protein, which are well known as catalysis enzyme and antioxidant-related protein, respectively, were linearly increased during growth stages. Thus, the stage-related muscle proteins may be useful as parameters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in Korean native pig skeletal muscle.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수완부 골성숙과 하악 제3대구치 발육에 대한 연구 (SKELETAL MATURITY AND MANDIBULAR THIRD MOLAR DEVELOPMENT IN CLASS III MALOCCLUSION)

  • 강근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5-242
    • /
    • 2008
  • 본 연구는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수완부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 발육을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들로 8세부터 15세 사이의 Angle I급 부정교합을 지닌 남자 149명, 여자 155명 그리고 Angle III급 부정교합을 지닌 남자 153명, 여자 155명, 총 6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성숙 단계 평가를 위해 수완부 사진을 이용한 Fishman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하악 제3대구치의 발육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Orthopantomogram을 이용한 Gat 등의 New Six-Developmental-Stage 방법으로 판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성숙 단계는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 모두 전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빠르나(p<0.05) 하악 제3대구치의 석회화 단계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2. 남녀별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의 석회화 단계는 I급과 III급 부정교합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I급 부정교합과 Ⅲ급 부정교합군의 수완부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 석회화 단계 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군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4.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하악 제3대구치 석회화 단계와 연령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군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 수완부 골성숙도와 하악 제3대구치 발육은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Spatio-temparal Pattern Formation of Abdominal Muscle in Xenopus Iaevis

  • Ko, Che-Myong;Chung, Hae-Mo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329-335
    • /
    • 1997
  • The final pattern of the skeletal muscle of a vertebrate depends on the position-specific behavior of the muscle precursor cells during early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abdominal muscle is made of cells which migrate a relatively long distance from their original tissue, myotome of dorsal mesoderm. We report the spatia-temporal migration pattern of abdominal muscle in Xenopus laevis by in situ hybridization and immunohistological studies. Shortly after hatching tadpole stage (stage 31/32), a group of myotomal cells detaches from the lower tip of the second somite and migrates ventrally to the lower position of abdomen. At stage 34/35, a second cell group migrates away from the third somite. Total 7 myotomal cell groups migrate ventrally one by one from the second to eighth myotome along their own pathways through the cell free space located between epidermis and subepidermal layer of the abdomen. During migration, the sizes of the cell groups (abdominal muscle anlagens) are increased to several tens fold. Around stage 40 all the abdominal muscle anlagens reaches their final positions and are interconnected side by side rostrocaudally. They are also connected to other types of muscles, forming a large multisegmented abdominal muscle. Heat shock study suggests that the disruption of segmentation of somites does not block the detachment of abdominal muscle anlagen, though the treatment gave stage- and dosagedependent effects on the migration speed.

  • PDF

소아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후 영구치 치근발육장애 : 증례보고 (DEVELOPMENTAL DISTURBANCE OF PERMANENT TEETH AFTER RADIOTHERAPY FOR TREATMENT OF MALIGNANT TUMOR : REPORT OF CASES)

  • 허수경;최남기;김선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4-150
    • /
    • 2008
  • 악성종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포함한 항암치료는 악성도의 증가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항암제의 독성과 용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방사선 치료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수회에 걸쳐 조사시 종양이 더 효과적으로 파괴된다. 환자는 주로 두경부에 국소적으로, 때로는 전신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받게 된다. 그러나 방사선 요법의 부작용으로 구강건조증, pH가 낮은 타액의 생성, 구강미생물의 변화 등으로 인한 방사선 우식증과 미각 이상, 점막염 등 다양한 구강내 합병증을 동반하게 된다. 그리고 성장하고 있는 소아의 경우에는 발육 중인 치열과 지지구조들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치근 발육의 장애, 법랑질 형성부전, 왜소치, 무치증, 치아맹출 장애, 하악이나 상악의 저형성 등과 같은 다양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비가역적이다. 특히 발생과정 중에 있는 치아는 그 발생단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본 증례는 치열 발육 단계에서 국소적 혹은 전신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어린이에서 나타난 영구치 치근 발육장애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이 환자들은 생후 $3{\sim}4$세 경에 악성 종양 치료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받았고 영구치 치근의 저형성, 조기 치수 폐쇄 소견을 보였다. 방사선 조사로 인한 구강환경 변화로 인해 우식발생률이 높으므로 철저한 구강 위생교육과 불소도포 등이 필요할 것이며, 짧은 치근을 가진 치아는 동요도의 증가 여부와 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방사선 촬영 및 검진이 필요하다.

  • PDF

MiR-188-5p regulates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goat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by targeting calcium/calmodulin dependent protein kinase II beta

  • Jing Jing;Sihuan Zhang;Jinbo Wei;Yuhang Yang;Qi Zheng;Cuiyun Zhu;Shuang Li;Hongguo Cao;Fugui Fang;Yong Liu;Ying-hui Ling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2호
    • /
    • pp.1775-1784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role and regulatory mechanism of miR-188-5p i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goat muscle satellite cells. Methods: Goat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isolated in the pre-laboratory were used as the test material. First, the expression of miR-188-5p in goat muscle tissu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was detected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In addition, miR-188-5p was transfected into goat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s by constructing mimics and inhibitors of miR-188-5p, respectively. The changes of differentiation marker gene expression were detected by qPCR method. Results: It was highly expressed in adult goat latissimus dorsi and leg muscles, goat fetal skeletal muscle, and at the differentiation stage of muscle satellite cells. Overexpression and interference of miR-188-5p showed that miR-188-5p inhibited the proliferation and promoted the differentiation of goat muscle satellite cells. Target gene prediction and dual luciferase assays showed that miR-188-5p could target the 3'untranslated region of the calcium/calmodulin dependent protein kinase II beta (CAMK2B) gene and inhibit luciferase activity. Further functional studies revealed that CAMK2B promoted the proliferation and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goat muscle satellite cells, whereas si-CAMK2B restored the function of miR-188-5p inhibito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R-188-5p inhibits the proliferation and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goat muscle satellite cells by targeting CAMK2B. This study will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skeletal muscle development in goats.

볼락(Sebastes inermis) 근육단백질 유전자의 성장단계별 발현 양상과 parvalbumin 유전자 클로닝 (Expression Pattern of Skeletal-Muscle Protein Genes and Cloning of Parvalbumin mRNA in Dark-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 장요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
    • /
    • 2011
  • ACP (annealing control primer)를 사용하여 DDRT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CR 방법으로 볼락의 성장단계에 따라 발현량 차이를 나타내는 DE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를 확보하였다. ACP 120개를 분석하여 18개월령 근육조직에서보다 6개월령 근육조직에서 발현량이 많은 DEG 16개와 6개월령 근육조직에서보다 18개월령 근육조직에서 발현량이 더 많은 DEG22개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DEG 염기서열을 BLAST 검색한 결과, parvalbumin (PVALB) 등 18개의 유전자(PVALB, NDKB, TPM, TnI, GAPDH, CKM2, factor 2 SERF2, AMPD, TRICA, ARHGAP15, ESD, hsp70, COL1A2, GST, Midllip1, MYL1, SERCA1B, FTH1)와 69~95%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Real time PCR 분석법으로 6개월령 근육조직에서 발현량이 많은 DEG14와 PVALB 유전자의 성장단계별 발현양상을 조사한 결과, 볼락이 성장함에 따라 발현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PVALB 유전자는 6개월령 이후에는 발현량이 극히 적었다. 6개월령 근육조직에서보다 18 개월령 근육조직에서 발현량에서 많았던 CKM2 유전자는 성장함에 따라 발현량이 계속 증가하였고, 4세 이후에는 발현량이 감소하였다. DEG의 조직특이적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DEG14는 근육, 간, 신장, 및 비장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PVALB 유전자는 근육과 신장조직에서 발현되었고, 간과 비장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CKM2 유전자는 근육, 신장 및 비장조직에서 발현되었고, 간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PVALB 유전자의 mRNA 크기는 659 bp 이며, 1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valbumin과 CKM2 유전자는 성장속도가 빠른 어류 선발에 이용할 수 있는 분자마커 개발에 활용하고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