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Mesh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Comparative study on long-term stability in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hydroxyapatite/poly-ʟ-lactide mesh versus titanium miniplate

  • Park, Young-Wook;Kang, Hyun-Sik;Lee, Jang-Ha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8.1-8.6
    • /
    • 2019
  • Background: Resorbable devices have recently been adopted in the field of orthognathic surgery with controversies about their postoperative skeletal stability. Hence, we determined the long-term skeletal stability of unsintered hydroxyapatite/poly-ʟ-lactic acid (HA/PLLA) mesh for osteofixation of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titanium miniplate.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resorbable mesh and titanium miniplate fixation group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ange in the mandibular position was performed with preoperative, 1-day, 6-month, and 2-year postoperative lateral cephalograms. Results: At postoperative 6 months-compared with postoperative 1 day, point B (supra-mentale) was significantly displaced anteriorly in the titanium-fixation group. Moreover, at postoperative 2 years-compared with postoperative 6 months, point B was significantly displaced inferiorly in the titanium-fixation. However, the HA/PLLA mesh-fixation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ith respect to point B postoperatively. Conclusions: The HA/PLLA mesh-fixation group demonstrated superior long-term skeletal stability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mandible, when compared with the titanium-fixation group.

Template-Based Reconstruction of Surface Mesh Animation from Point Cloud Animation

  • Park, Sang Il;Lim, Seong-Jae
    • ETRI Journal
    • /
    • 제36권6호
    • /
    • pp.1008-1015
    • /
    • 201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reconstructing a surface mesh animation sequence from point cloud animation data. We mainly focus on the articulated body of a subject - the motion of which can be roughly described by its internal skeletal structure. The point cloud data is assumed to be captured independently without any inter-frame correspondence information. Using a template model that resembles the given subject, our basic idea for reconstructing the mesh animation is to deform the template model to fit to the point cloud (on a frame-by-frame basis) while maintaining inter-frame coherence. We first estimate the skeletal motion from the point cloud data. After applying the skeletal motion to the template surface, we refine it to fit to the point cloud data. We demonstrate the viability of the method by applying it to reconstruct a fast dancing motion.

리토폴로지 효율성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비교분석 및 유형별 3D 모델링 사례 제작 (The Study to Improve Re-topology Efficiency Between Analyzing Software and Making Examples of Different Types of 3D Models)

  • 안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25
    • /
    • 2020
  • 레이저 스캔과 사진측정법 등의 기술이 3D 모델링에 광범위하게 적용됨에 따라 리토폴로지는 3D 모델링 프로세스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하지만 리토폴로지 사용방법이 부적당한 경우 제작과정에서 많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한다. 3D 모델링의 유형에 따라 각각 가장 적합한 리토폴로지 방식과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3D 모델링의 리토폴로지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시장에 현존하는 리토폴로지 소프트웨어에 따라 수동식, 자동식, 래핑식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이 세 가지 리토폴로지 방식의 특성과 각각 포함한 소프트웨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스태틱메시, 스켈레탈메시, 하드서페이스 모델링에 대해서 위의 세 가지 리토폴로지 방식으로 사례 제작을 진행했다. 세 가지 리토폴로지 방식이 각이 포함한 소프트웨어의 장단점을 요약하고 수동식의 결과가 좋고 자동식의 속도가 빠르며, 래핑식은 미리 존재하는 베이스 메시가 필요로 하며 유형별 3D 모델링에 가장 적합한 리토폴로지 방식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리토폴로지 작업 및 3D 모델링의 제작 효율 높이기에 도움이 된다고 기대한다.

En-masse retraction with a preformed nickel-titanium and stainless steel archwire assembly and temporary skeletal anchorage devices without posterior bonding

  • Jee, Jeong-Hyun;Ahn, Hyo-Won;Seo, Kyung-Won;Kim, Seong-Hun;Kook, Yoon-Ah;Chung, Kyu-Rhim;Nelson, Gerald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236-245
    • /
    • 2014
  • Objectiv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a preformed assembly of nickel-titanium (NiTi) and stainless steel (SS) archwires (preformed C-wire) combined with temporary skeletal anchorage devices (TSADs) as the sole source of anchorage and to compare these effects with those of a SS version of C-wire (conventional C-wire) for en-masse retraction. Methods: Thirty-one adult female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 or II dentoalveolar protrusion, mild-to-moderate anterior crowding (3.0-6.0 mm), and stable Class I posterior occlusion were divided into conventional (n = 15) and preformed (n = 16) C-wire groups. All subjects underwent first premolar extractions and en-masse retraction with preadjusted edgewise anterior brackets, the assigned C-wire, and maxillary C-tubes or C-implants; bonded mesh-tube appliances were used in the mandibular dentition. Differences in pretreatment and post-retraction measurements of skeletal, dental, and soft-tissue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Both groups showed full retrac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by controlled tipping and space closure without altered posterior occlusion. However, the preformed C-wire group had a shorter retraction period (by 3.2 months). Furthermore, the maxillary molars in this group showed no significant mesialization, mesial tipping, or extrusion; some mesialization and mesial tipping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C-wire group. Conclusions: Preformed C-wires combined with maxillary TSADs enable simultaneous leveling and space closure from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without maxillary posterior bonding. This allows for faster treatment of dentoalveolar protrusion without unwanted side effects,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C-wire, evidencing its clinical expediency.

Aesthetic Correction of a Protrusive Forehead through Repositioning of the Anterior Wall of the Frontal Sinus

  • Han, Daniel Seungyoul;Park, Jin Hyu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9-132
    • /
    • 2014
  • Facial skeletal remodeling was revolutionized more than 30 years ago, by the work of Tessier and other craniofacial surgeons. However, the need to correct the skeleton in the upper third of the face is not frequently diagnosed or treated in aesthetic facial surgery. Here, we report on the aesthetic correction of a protrusive forehead. A patient visited our hospital for aesthetic contouring with a prominent forehead. The anterior wall of the frontal sinus was removed with a craniotome via the bicoronal approach. After the excised bone was repositioned, it was fixed with a titanium mesh plate and screws. An electric burr was used to contour the supraorbital rim and frontal bone. Once the desired shape was achieved, the periosteum was replaced, and the wound was closed in layers. When performed properly, frontal sinus contouring could significantly improve the appearance in patients with a prominent forehead. Plastic surgeons must carefully evaluate patients with a prominent forehead for skeletal remodeling that involves the accurate and safe repositioning of the anterior wall of the frontal sinus.

최대 교합력과 안면 골격 형태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bite force and facial skeletal pattern)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37-45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여 전후방적, 수직적 및 횡적인 안면 골격 요소들과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 남녀 대학생들을 각각 26명과 14명씩 총 40명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strain gauge를 이용한 장치로 좌우 제1대구치와 전치부에서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여러 계측 항목들을 측정하고, 통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제 1대구치 최대 교합력은 남자는 $68.0\pm13.9kg$, 여자는 $55.6\pm10.5kg$ 이었고 (p<0.05), 전치에서 남자는 $8.4\pm4.9kg$, 여자는 $5.1\pm3.4kg$이었다(p<0.05). 2. 저작을 선호하는 쪽의 교합력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최대교합력이 강한 군과 약한군 간에 여러 항목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제1대구치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N-S-Ar, S-Ar-Go, FH-H1, IMPA 그리고 MMO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치부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N-S-Ar 과 FH-H1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최대 교합력과 유의성 있는 상관 관계를 보인 항목들은 제1대구치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N-S-Ar, S-Ar-Go, UGA, FH-H6, FH-H1, body weight 그리고 MMO, 전치부 최대 교합력에 대해서는 Go-Me, P-1 그리고 IMPA등 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제1대구치의 최대 교합력은 수직 전안면 고경이 짧을수록 증가하였다. 전치의 최대 교합력은 하악체 길이가 길수록, 상악 전방 치조부 고경이 클수록, 그리고 하악 절치들이 설측으로 경사져 있을수록 증가하였다(P<0.05).9\%$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토(TBS)에 대해서는 $52\%$ 수준이었고, Chessboard base에서 최저 Peel bond strength$(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61\%$ 수준이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 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5\%$ 수준이었다. 4. 단위 면적 당 결합강도에 있어서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 및 $75^{\circ}\;와\;90^{\circ}$ peel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에서 차이 가 없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았고(p<0.05), $0^{\circ},\;15^{\circ},\;30^{\circ},\;60^{\circ}$ peel응력을 적용한 결과 Chessboard base에서 가장 큰 Peel결합강도를,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았다. 6.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표면은 모든 제품에서 생산과정 중에 보이는 압흔과 pit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수 존재했다.수술 시행 시기별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고른 분포를 보였다. 10. 내원한 환자를 순구개열

흉부 거대 연골육종의 외과적 치료후 발생한 결핵성 종격동염-1례 보고- (Tuberculous Mediastinitis Develope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hondrosarcoma on Chest Wall-one case report-)

  • 이재훈;양수호;김혁;정원상;김영학;이철범;강정호;지행옥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48-348
    • /
    • 1997
  • 48세 남자 환자의 전종격동을 깊게 침범하며 흉골에서 발생한 거대한 연골육종을 치료하였다. 환자는 흉골의 연골육종과 주변의 정상변연 4cm을 포함하여 광범 위 절제술을 받았으며 그 종양 자체 는 양측의 쇄골과제 1,2,3늑연골을 포함하는 15× 16X10cm크기였다.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후 남은 결손 부위는 매우 컸으며 흉벽 재건술을 Marled mesh와 methylmethacrylate와 wire steels로 겹싸는 sandwich식의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연부조직의 재건술 또한 대흉근을 이용한 근피 판 치환술을 시행하 였다. 그러나 환자는 수술후 결핵성 종격동염이 발생되었고 다량의 농이 배출되었다. 재수술은 흉벽 재건술시의 사용되었던 이물질 모두를 제거하고 괴사성 조직의 소파술과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1 년간 항결핵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완치되었기에 문헌고찰과 보고하는 바이다.

흉부 거대 연골육종의 외과적 치료후 발생한 결핵성 종격동염 -1례 보고 (Tuberculous Mediastinitis Develope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hondrosarcoma on Chest Wall -one case report)

  • 이재훈;양수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48-252
    • /
    • 1997
  • 48세 남자 환자의 전종격동을 깊게 침범하며 흉골에서 발생한 거대한 연골육종을 치료하였다. 환자는 흉골의 연골육종과 주변의 정상변연 4cm을 포함하여 광범 위 절제술을 받았으며 그 종양 자체 는 양측의 쇄골과제 1,2,3늑연골을 포함하는 15$\times$ 16X10cm크기였다.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후 남은 결손 부위는 매우 컸으며 흉벽 재건술을 Marled mesh와 methylmethacrylate와 wire steels로 겹싸는 sandwich식의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연부조직의 재건술 또한 대흉근을 이용한 근피 판 치환술을 시행하 였다. 그러나 환자는 수술후 결핵성 종격동염이 발생되었고 다량의 농이 배출되었다. 재수술은 흉벽 재건술시의 사용되었던 이물질 모두를 제거하고 괴사성 조직의 소파술과 배농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1 년간 항결핵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완치되었기에 문헌고찰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Dose coefficients of mesh-type ICRP reference computational phantoms for idealized external exposures of photons and electrons

  • Yeom, Yeon Soo;Choi, Chansoo;Han, Haegin;Lee, Hanjin;Shin, Bangho;Nguyen, Thang Tat;Han, Min Cheol;Lee, Choonsik;Kim, Chan Hye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843-852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we established a comprehensive dataset of dose coefficients (DCs) of the new meshtype ICRP reference computational phantoms (MRCPs) for idealized external exposures of photons and electrons with the Geant4 code. Subsequently, the DCs for the nine organs/tissues, calculated for their thin radiosensitive target regions,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averaging the absorbed doses over the entire organ/tissue regions to observe the influence of the thin sensitive regions on dose calcul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fluences for both photons and electrons were generally insignificant for the majority of organs/tissues, but very large for the skin and eye lens, especially for electrons. Furthermore, the large influence for the skin eventually affected the effective dose calculations for electrons. The DCs of the MRCPs also were compared with the current ICRP-116 values produced with the current ICRP-110 reference phantom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Cs for the majority of organs/ tissues and effective dose were generally similar to the ICRP-116 values for photons, except for very low energies; however, for electrons,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ICRP-116 values were found in the DCs, particularly for superficial organs/tissues and skeletal tissues, and also for effective dose.

카자흐스탄 구리 슬래그의 광물학적, 화학적 특성 및 구리와 철의 용출 특성 (The Minera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lag from Kazakhstan and Leaching of Cu and Fe)

  • 김봉주;조강희;신승한;최낙철;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8
    • /
    • 2015
  • 구리 슬래그에 대한 광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 SEM/EDS, EPMA, AAS 및 XRD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슬래그가 Cu의 잠재적인 금속자원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황산 용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슬래그에는 철감람석, 크롬철석, 반동석과 황동석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침상의 철감람석과 뼈대구조의 자형 크롬철석이 주로 슬래그를 형성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반동석과 황동석이 포함되어 있었다. 슬래그에 Fe와 Cu가 각각 18.37%와 0.93%로 함유되었다. 황산 용출-실험을 수행한 결과, 용출액의 농도와 용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입도가 감소할수록 Cu와 Fe 용출률은 증가하였다. 본 실험조건하에서는 Cu와 Fe가 최적으로 용출되는 조건은 32 mesh에서, 2.0 M의 황산농도에서 그리고 용출온도 $60^{\circ}C$에서였다. 따라서 향후, 용출규모를 증가시킨다면 슬래그는 구리의 잠재적 대체금속자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