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6초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 prognathic patients compared to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 Jung, Yun-Hoa;Nah, Kyung-Soo;Cho, Bong-Ha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7권4호
    • /
    • pp.217-22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 Class III malocclusion to its location in normal occlusion for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is study 32 skeletal Class III patients and 26 normal patients were observed. Four measurements were taken on cross sectional tomograph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ars: the distance from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ner surface of both the buccal and lingual cortices, the distance from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and the buccolingual width of the mandible. The buccolingual location of the canals was classified as lingual, central, or buccal. Each measurement was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t test to compare Class III malocclusion to normal occlusion.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nathic group had a shorter distance from the cana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ngual cortex and to the base of the mandible. A higher percentage of the canals were located lingually in the prognathic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ndibular canal was located more lingually and inferiorly in prognathic patients than in patients with normal occlusion. These results could help surgeons to reduce injuries to the inferior alveolar nerve.

  • PDF

Correlation between skeletal and dental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first orthodontic treatmen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generated half-cephalograms

  • Rhee, Chang-Hoon;Choi, Youn-Kyung;Kim, Yong-Il;Kim, Seong-Sik;Park, Soo-Byung;Son, Woo-S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9-65
    • /
    • 2015
  • Objective: To investigate skeletal and dental changes after application of a mandibular setback surgery-first orthodontic treatment approach in case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34 patients (23 men, 11 women; mean age, $26.2{\pm}6.6years$) with skeletal Class III deformities, who underwent surgery-first orthodontic treatment, was conducted. Skeletal landmarks in the maxilla and mandible at three time points, pre-treatment (T0), immediate-postoperative (T1), and post-treatment (T2), were analyz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generated half-cephalograms. Results: The significant T0 to T1 mandibular changes occurred $-9.24{\pm}3.97mm$ horizontally. From T1 to T2, the mandible tended to move forward $1.22{\pm}2.02mm$, while the condylar position (Cd to Po-perpendicular plane) shifted backward, and the coronoid process (Cp to FH plane) moved vertically. Between T1 and T2, the vertical dimension changed significantly (p < 0.05). Changes in the vertical dimen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1 to T2 changes in the Cd to Po-perpendicular plane (r = -0.671, p = 0.034), and in the Cp to FH plane (r = 0.733, p = 0.016), as well as to T0 to T1 changes in the Cp to Po-perpendicular plane (r = 0.758, p = 0.011). Conclusions: Greater alterations in the vertical dimension caused larger post-treatment (T2) stage skeletal changes. Studying the mandibular position in relation to the post-surgical vertical dimension emphasized the integral importance of vertical dimension control and proximal segment management to the success of surgery-first orthodontic treatment.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수직적 안면골격형태와 교합평면과의 관계 (Interrelationships between occlusal plane angle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dividuals)

  • 정우준;손우성;김용덕;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60-271
    • /
    • 2007
  • 본 연구는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안면형태와 교합평면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기로 계획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0명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계측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전치부 피개량에 따라서 positive overbite (PO) group, edge to edge bite (EO) group, negative overbite (NO) group의 세 군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각 군의 골격관계와 상하악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교두의 접촉점을 연결한 기능교합평면과의 관계에 대한 항목을 계측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군 간의 분류와 상관없이 전치부 피개 교합의 변화에 대해서 saddle angle, articular angle, Y axis, AFH, SN-FH, SN-Mn, FH-Mn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기능교합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하악 전치부는 FH 평면에 대한 각도에서 각 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안면 골격 계측 항목과 상하악골에 대한 기능교합평면의 각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하악골의 이개 정도를 나타내는 Mx-Mn 항목이 모든 군에서 유사한 정도로 기능교합평면 각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이용하여 Mx-Mn 항목의 변화에 따라서 FH-Occ, Mx-Occ, Mn-Occ 항목이 어느 정도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가 각각 0.714, 0.560, 0.67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기능교합평면의 형성은 상하악골의 골격적인 수직이개 정도와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골격성 제3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 후 상기도 공간의 변화에 관한 두부 계측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CHANGES OF UPPER RESPIRATORY AIRWAY SPACE AFTER ORTHOGNATHIC SURGERY OF BOTH JAWS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주범기;김진태;조명철;허종기;김형곤;박광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2호
    • /
    • pp.148-156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changes of upper respiratory airway space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2-jaw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s III malocclusion. Method: We measured the lines between selected upper airway landmarks on lateral cephalometric x-ray films of skeletal class III 64 persons who had not been operated yet, were 6 months after operation. The test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maxillary movement, as follows; maxillary advancement (MA) group,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MPI) group,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and superior repositioning (MPI+MSR) group. Result: In this study, nasopharyngeal airway space in MPI+MSR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operation (p<0.05). Oropharygeal and hypopharyngeal airway space in MA group and MPI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operation (p<0.05). From hyoid bone to anterior mandible point distance in MA group and MPI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operation (p<0.05). Conclusion: Oropharygeal and hypopharyngeal airway space were influenced more by mandibular set-back than maxillary movement. Maxillary movement surgery as well as mandibular setback surger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minimize symptoms related to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after operation.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관계에 대한 연구 (THE ANTERIOR-POSTERIOR AND VERTICAL RELATIONSHIP OF THE GROWING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BY LATERAL CEPHALOMETRIC MEASUREMENT)

  • 양규호;최남기;김성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1-297
    • /
    • 2003
  • 정상교합아동과 III급 부정교합아동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통해 악골의 전후방적, 수직적 부조화를 나타내는 계측치를 비교,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고, 계측치간의 상관관계 및 판별력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조기치료가 요구되는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장기 아동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고자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에서 9세사이의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아동 73명과 광주지 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안모가 단정하고 전신건강이 양호하며, 교정이나 보철치료를 받지 않는 정상교합아동 73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III급 부정교합아동과 정상교합아동에 대해 APDI, WITS, ANB와 SN-MP, ODI, PFH/AFH, Y-axis, SUM의 8개 계측치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II급 부정교합아동과 정상 교합아동간에는 PFH/AFH와 Y-axis를 제외한 APDI, WITS, ANB와 SN-MP, ODI, SUM의 모든 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 악골의 전후방적 부조화를 나타내는 APDI, WITS, ANB와 수직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SN-MP, ODI, PFH/AFH, Y-axis, SUM에서는 Y-axis, SUM과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정상교합아동과 III급 부정교합아동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다(p<0.01). 3.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시 악골의 전후방적 부조화를 나타내는 WITS, ANB, APDI의 Wald 통계치는 각각 7.12, 5.15, 0.74를 나타내었으며, 수직적 부조화를 나타내는 ODI, Y-axis PFH/AFH, SN-MP, SUM간의 분석 시에는 각각 28.35, 2.24, 1.38, 0.09, 0.09의 Wald 통계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상 교합아동과 III급 부정교합아동을 판별하는데 유의한 진단치는 WITS와 ODI임을 알 수 있다.

  • PDF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인 두개안면골격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TRUCTURES IN SEVERE ADULT CLASS III MALOCCLUSION)

  • 박창진;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9
    • /
    • 1998
  •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가진 성인환자는 많은 경우 심미성증진과 기능증진을 위해 악교정수술과 교정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경조직 및 연조직 측모윤곽선의 형태를 정상교합자와 비교 분석하고, 두개악안면구조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조화의 소재를 규명하고자 이 연구가 시행되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환자 중 ANB각의 차이가 -2이하인 18세 이상의 성인남녀 환자 112명의 측모두부 규격 엑스선 사진을 연구자료로 이용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3.1세였다. 대조군으로는 성인 정상교합자 50명의 측모 두부 규격 엑스선 사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 녀 각 25명씩이었다. 전후방기준으로는 Nasion perpendicular to FH line을 사용하였으며, 수평 기준선으로는 FH line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정상교합자와 비교한 심한 III급 부정교합자 안면골격의 특징을 다음과 같다. 1. 나지온점에서 프랑크프르트 수평선에 내린 수선을 기준선으로 III급 부정교합자의 경조직 측모 윤곽을 평가하였을 때, III급 부정교합자의 전두부, 상악의 전방돌출도는 정상과 유사하였으나, 하악은 정상에 비하여 심하게 돌출되어 있었다. 2. III급 부정교합자의 연조직 측모윤곽은 오목하였다. III급 부정교합자의 연조직 두께는 전두부에서는 정상과 차이가 없었으나, 상순은 두껍고 비상순각은 작았으며, 하순과 하순구부위의 연조직은 얇고 하순의 외번도는 작았다. 3.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개저(전방두개저의 길이, 후방두개저의 길이 및 안상각)는 정상에 비하여 작았다. 4.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두개저에 대한 중안면부(안와하연점)의 전후관계는 정상과 유사하였으나,중안면부의 길이는 짧았다. 5.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두개저에 대한 상악의 전후방관계는 정상과 유사하였으나 상악골의 길이는 짧았다. 6.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전후관계는 전방돌출되어 있었으며, 하악지 및 하악체 길이는 크고, 하악각이 크며, 이부각(Chin angle)이 작았다. 7. III급 부정교합자의 상악 절치는 전방경사되어 있었으며, 하악 절치는 설측경사되어 있었다.

  • PDF

Le Fort I 상악골전진술 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SKELETAL STABILITY OF LE FORT I MAXILLARY ADVANCEMENT)

  • 서민교;구성영;김은주;임대호;신효근;고승오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49-15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relapse, comparing large and small maxillary advancements with four-plate rigid fixation and without bone grafting. All patients ha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underwent bimaxillary surgery. Standardized cephalometric analysis by one examiner was performed on serial radiographs of 14 patients immediately before surgery, and within 1 week and at least 6 months postoperatively (mean 10 months). The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sets to determine whether the magnitude of relapse. In group 1 ($\leq$ 5 mm, n = 8), the average advancement was $4.0{\pm}0.9\;mm$, with a mean relapse of $0.1{\pm}0.5\;mm$. In group 2 (6-8 mm, n = 4), the average advancement was $6.8{\pm}0.9\;mm$, with a mean relapse of $0.7{\pm}0.4\;mm$.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measured relapse among the groups. Maxillary advancement with a 1-piece Le Fort I osteotomy is a relatively stable procedure.

I급과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두개안면골 형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CHILDREN WITH CLASS I AND III MALOCCLUSIONS: CEPHALOMETRIC ANALYSIS)

  • 홍한영;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99-612
    • /
    • 2007
  • I급과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 두개안면골의 성장양상을 비교하고자, $7{\sim}11$세 146명의 치료전 측모두부계측분석에서 연령에 따른 두개저, 중안면, 하안면 구조물들의 차이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II급은 I급에 비해 접사골연골결합의 성장이 더 늦은 시기까지 지속되었다. 2. 비상악복합체 전후방적 길이는 III급이 대체로 짧았고 높이는 유사하였다. 3. 하악골 길이와 하악체 길이는 III급이 모든 연령에서 다소 긴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I급과 유사한 성장양상이었다. 4. 상하악골의 치아치조골 높이는 I급과 III급이 대체로 유사한 성장양상이었다. 5. I급은 전두개저 길이가 비상악복합체 및 하악골의 전후방 길이 증가에 뚜렷한 역할을 하였다. 6. III급의 전두개저 길이와 중두개저 길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하악골 길이와 상관성이 커졌다. 사춘기 이전의 시기에는 III급이 I급과 부분적으로 다른 골격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성장양상은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III급의 골격성 부조화는 특징적인 골격적 차이가 나타나기 전 조기에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골의 이동량과 교합평면의 변화에 따른 술 후 안정성 (Skeletal Stability after Orthognathic Surgery in Sever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ccording to Changes in Anteroposterior Discrepancy and Occlusal Planes)

  • 이정한;김성희;백영재;안경용;황대석;김용덕;김욱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04-41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ostsurgical facial hard tissue stability after orthognathic surgery with/without posterior impactio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horizontal relapse tendency, according to changes in anteroposterior discrepancy and occlusal planes. Methods: Ninety patients, who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ree main groups were classified as follows: Thirty patients underwent mandibular setback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only (BSSRO group, BG); another thirty patients underwent mandibular setback BSSRO and Le Fort I osteotomy with posterior impaction (posterior impaction group, PG); and another thirty patients underwent mandibular setback BSSRO and Le Fort I osteotomy without posterior impaction (non-posterior impaction group, NPG). Preoperative (T0), immediate postoperative (T1) and six-month follow-up period (T2)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and various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analyses were done by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between T0-T1 and T1-T2, to evaluate postsurgical facial hard tissue stability. Results: Mean horizontal relapse rates were distributed from 11.81% to 19.08%,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tsurgical changes (0.52 mm~2.44 mm) at the B point in all 3 group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n relapse rate among BG, PG and NPG patient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postsurgical stabilities of BSSRO and Le Fort I osteotomy with/without posterior impactio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ere acceptable.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mandibular stability according to changes in anteroposterior discrepancy and occlusal planes.

20년전 악교정수술을 받았던 환자의 심한 전치부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한 임플란트 치료 증례 (Implant treatment on anterior cross-bite of a patient who had orthognathic surgery 20 years ago)

  • 박광만;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45-253
    • /
    • 2019
  •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악교정 수술로 구강기능과 안모를 개선할 수 있다. 악골부조화가 클수록 술전 교정치료에 의한 치아 이동량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치주조직에도 큰 변화를 줄 수 있는데, 특히 하악 전치부 치주조직의 파괴가 주로 발생된다. 이 보고는 20년전 골격성 3급 부정교합과 하악전돌로 악교정수술을 받은 후 하악 전치부의 심한 동요 및 반대교합의 해결을 위해 내원한 49세 여성환자의 증례로, Face Hunter, Plane System 및 ARCUS digma II를 이용하여 Top-Down concept의 개인 맞춤형 분석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하악 전치부 발치를 동반한 순측 치조골 성형술과 임플란트 식립 후 즉시임시치관에 의한 즉시부하를 시행하였다. 최종 보철물은 CAD/CAM에 의한 Zirconia 수복물로 제작 후 구강 내에서 나사유지형으로 장착하였다. 6개월이 경과한 현재까지 보철물의 파절과 동요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