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lass III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2초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GROWTH IN CLASS III MALOCCLUSION)

  • 성상진;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49-366
    • /
    • 1994
  • The method of treatment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ust be chosen according to an etiology and timing of the treatment. Maxillry protraction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growing children with maxillary deficiency. The efficacy of maxillary protraction has been viewed as a result of downward-backward displacement of mandible and compensatory dental displacement during the treatment rather than forward -downward growth of maxilla itself. In this study, 104 subjects treated with maxllary protraction, and 19 males and 21 females with known annual growth amount have been chosen longitudinally as treated group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And changes in position of maxilla, mandible and dentition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on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by 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reated group showed mor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compare to the normal group and the mandible displaced backward compare to the normal group. 2. Downward movement of maxilla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gicance in female 12 year old group and downward movement of mandible in 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normal group. 3. In treated group, maxillary central incisor moved more forward than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8, 10 year-old groups and female 8, 9, 10 year-old groups. In treated group, downward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similar to that of the norm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ale and female 7,8 year-old group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nd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he forward movement of maxilla due to maxillary protraction was effective compared to normal growth amount of the normal group.

  • PDF

Face mask를 이용한 유치열기 골격성 반대교합의 치료 (TREATMENT OF SKELETAL ANTERIOR CROSSBITE IN PRIMARY DENTITION USING FACEMASK)

  • 서주희;이광희;김대업;이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0-106
    • /
    • 2002
  • III급 부정교합은 서양인에서 약 5%의 발생빈도를 보이며, 일본인과 한국인에서 교정환자중 50%정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III급 부정교합자의 63%가량이 상악골의 열성장 또는 상악골의 열성장과 하악골의 과성장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악정형력보다는 치열에서의 변화량이 크므로 치료는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조기치료시 성장조절, 환자의 협조도, 치료의 관리와 같은 결정요소들을 잘 판단하여 시행함으로써 상악골의 더 많은 전방이동이 가능하며 정상 성장을 도모하고 교합관계가 증진되며 안모의 개선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 심리적 발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증례는 반대교합을 주소로 원광의료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환아에게 facemask를 이용한 조기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al effectivenes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 Wang, Jiangwei;Yang, Yingying;Wang, Yingxue;Zhang, Lu;Ji, Wei;Hong, Zheng;Zhang, Linku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13-32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linical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devices by using a network meta-analysis. Methods: We searched seven databases for randomized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s that compared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with tooth-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interventions or untreated groups up to May 2021. After literature selection, data extraction, and quality assessment, we calculated the mean differences, 95% confidence intervals, and surface under the cumulative ranking scores of eleven indicato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atistical software with the GeMTC package based on the Bayesian framework. Results: Six interventions and 667 patients were involved in 18 studies. In comparison with the tooth-anchored groups, the bone-ancho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more increases in Sella-Nasion-Subspinale (°), Subspinale-Nasion-Supramentale(°) and significantly fewer increases in mandibular plane angle and the labial proclination angle of upper incisor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ella-Nasion-Supramentale(°) decreased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treated groups. IMPA (angle of lower incisors and mandibular plane) decreased in groups with facemasks and increased in other groups. Conclusions: Bone-anchored maxillary protraction can promote greater maxillary forward movement and correct the Class III intermaxillary relationship better, in addition to showing less clockwise rotation of mandible and labial proclination of upper incisors. However, strengthening anchorage could not inhibit mandibular growth better and the lingual inclination of lower incisors caused by the treatment is related to the use of a facemask.

제 2 대구치 발거에 의한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Class III cases by second molar extraction)

  • 이성희;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9
    • /
    • 2004
  • 이 연구는 제 2 대구치를 발거하고 하악 제 1 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해 CPHG(cervical pull head gear)와 경우에 따라 III급 고무줄을 사용하여 고정성 교정장치로 치료한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안면골 및 치아치조부, 연조직의 평균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평균 ANB가 $-1.4^{\circ}$ 이고 IMPA가 $85^{\circ}$인 중등도이하의 III급 부정교합자 15명을 대상으로 치료전후 측모두부 X-선 규격사진의 평균 두개안면부 측면 중첩모식도를 작성하고 계측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안면고경에 대한 전하안면고경의 비율은 $0.6\%$증가(P<0.01)하였고, 하악 평면각이 $1.5^{\circ}$증가(P<0.05)하였다. 2. 전방 두개저에 대한 하악골 위치는 미약하게 후하방회전하였다. 3. 하악 제 1 대구치가 4.06mm(P<0.001)후방경사이동하였고 하악 전치는 설측으로 $3.2^{\circ}$경사이동(P<0.05)하였다. 4. 하순의 후퇴로 인한 안모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골격성 부조화가 중등도 이하인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제 1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하악 전치의 지나친 설측경사를 피하기 위해 제 2 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증례의 선택시 치료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제 2 대구치 발거 후 제 3대구치의 맹출 및 치료후 예후에 대한 장기적인 관찰은 이루어지지 못하여 향후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한국인 하악전돌증환자의 유전적 영향과 유전율에 대한 분석 (Genetic influence and heritability in mandibular prognathism of Korean families)

  • 김영호;조한영;백채환;이아영;김군종;김휘영;서영주;백승학;홍종락;팽준영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6호
    • /
    • pp.502-507
    • /
    • 2010
  • Introdu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genetic influence of mandibular prognathism epidemiologically in Korean families. Materials and Methods: Over a 5-year period from 2005 to 2009, a questionnaire with a pedigree chart was given to 100 (male 51, female 49) probands with skeletal Class III mandibular prognathism, who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in Samsung Medical Center.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robands was 22.1. The average SNA, SNB and ANB angles of the probands were $81.2^{\circ}$, $84.1^{\circ}$ and $-2.9^{\circ}$, respectively. A total of 2729 (male 1,354, female 1,375) family members were examined, and the affected ratio of the families was 3.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45% of families had at least one member with a Class III malocclusion other than the proband. The affected ratio of the first-degree relatives (10.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econd-degree (3.3%) and third-degree (1.9%) relatives. The affected ratio of the total relatives from the male probands (4.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probands (2.8%). Heritability ($h^2$, Falconer' method) was estimated to be 29.8% ($0.298{\pm}0.059$) in first-degree relative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mandibular prognathism with relatively low heritability in first-degree relatives in Korean families of probands, who had undergone orthognathic surgery to correct a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후 예후에 관한 후향적 고찰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PROGNOSIS OF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S)

  • 성재현;권오원;김상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5-187
    • /
    • 1998
  • 본 연구는 치료후 빈번한 재발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후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교정치료후 관찰기간동안 측모와 교합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 안정군(Stable group, n=12)과 그렇지 않고 재발의 경향을 보인 재발군(Relapse group, n=13)으로 나누고, 초진시 계측항목을 이용한 t-test, 상관분석 그리고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하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와 관계를 나타내는 항목인 SNA, SNB, ANB, Angle of convexity 그리고 APDI에서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p>0.05) 두 군간 전후방적 인 골격 형태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교합평면의 경사도와 관련된 항목인 Wits, AB to Occlusal plane angle 그리고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에서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p<0.05)재발군의 교합평면이 안정군에 비해 전하방으로 많이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상하치열관계를 나타내는 항목인 Overjet에서 안정군이 재발군에 비해 절대치로 더 커(p<0.01) 전후방 골격부조화에 의한 것이 아닐 경우 치열의 전후방부조화가 클수록 치료후 예후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4. 상관분석결과 Overjet과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p<0.001, p<0.01). 5. 판별에 기여도가 높은 3항목 즉 Overjet, AB to Occlusal paine angle 그리고 Articular angle을 이용한 판별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때 본 연구에 사용한 표본의 88%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었다.

  • PDF

Bonded expander 형태에 따른 facemask의 치료 효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Facemask Therapy with Two Types of Bonded Expander)

  • 이은하;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98-30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facemask 치료 시 bonded expander의 치아 피개 정도에 따라 facemask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 구강 내 장치로서의 고정원 소실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초기 혼합치열기에 facemask 치료를 받은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onded expander의 피개 범위에 따라 제1군(4개 치아 피개, 9명)과 제2군(3개 치아 피개, 9명)으로 분류하였다. 치료 전과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계측치를 비교하였다. Facemask 치료 후 두 군 모두 상악 전방이동 및 하악 후하방 회전의 골격적 효과가 관찰되었고,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고정원 소실로서 두 군 모두 상악 구치의 근심이동이 관찰되었고, 제2군이 제1군에 비해 유의하게 큰 근심이동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bonded expander의 치아 피개 범위에 따라 골격적 치료 효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고정원으로서의 소실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Cone-beam 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후퇴술 후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ree dimensional cone-beam CT study of upper airway chang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김나리;김용일;박수병;황대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5-155
    • /
    • 2010
  • 악교정 수술은 안면골격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도 공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도 공간의 부피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20명(남성 12, 여성 8)이었으며, 수술 전 평균 1.8주(Baseline), 술 후 평균 2.3개월(T1) 그리고 술 후 평균 1년(T2) 시기에 CBCT를 촬영하였다. 상기도공간은 기준평면에 따라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로 나누어 계측하고 Baseline, T1, T2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로 수술 후 2.3개월(T1)시기에 상기도 공간은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p < 0.001), 술 후 1년 후(T2)에도 감소된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구인두는 상기도 공간 중 가장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하악골후퇴술은 상기도 공간을 장 단기간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악수술과 양악수술시 술후동태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STSURGICAL CHANGES BETWEEN ONE JAW SURGERY AND TWO-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최양숙;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7-313
    • /
    • 1997
  •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총 42명 중 하악에만 수술을 받은 환자 18명과 상하악에 동시에 수술을 받은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진,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 6개월 경과후의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채득하고 투사도를 작성하여 계측하였다. 골격, 치아 및 연조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수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편악수술군과 양악수술군에서 비교하고 술전교정치료시에 지침이 될 수 있는 상하악절치의 경사도에 대해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직후 양악수술군에서는 상악골 및 상악전치, 상순의 전방과 상방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졌다. 양군 모두에서 하악골 및 하악절치는 후방이동하였고 하순의 두께가 증가되었으나 두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고 전안모고경은 양악수술군에서 더 많이 감소되었다(p<0.05). 수술 6개월 경과후 편악수술군에서는 상악절치가 1.44mm 전방이동하였고, 하악절치와 하악골도 각각 1.26mm, 1.43mm 전방이동하였으나 양악수술군에서는 유의한경조직의 변화가 없었다. 2. 수술직전과 수술 6개월 경과후 양악수술군에서 상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상순의 Sn, SLS, 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가 0.70, 0.73, 0.70이었고 변화율은 79%, 80%, 82%였다. 하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93, 0.94였고 변화율은 89%, 101%였다. 편악수술군에서는 하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73, 0.83이었고 변화율은 각각 92%, 104%였다. Pog과 Pog', Me와 Me' 사이의 수평적 변화율은 양군 모두 1:1 이었다. 3. 수술직전과 수술 6개월 경과후 양악수술군에서 상악절치의 수평적 변화와 상순의 Sn, SLS, 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0.72, 0.76, 0.75, 변화율은 각각 57%, 58%, 59%였다. 하악절치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양악수술군에서 0.93, 0.90, 편악수술군에서 0.71, 0.89였고 변화율은 양악수술군에서 76%, 87%, 편악수술군에서 75%, 85%였다. 4. 편악수술군에서 악골의 전후방 부조화와 상하악절치 경사도사이 에 FMIA = 57.48-2.17 ANB, Ul-SN = -75.02+2.17 SNB의 회귀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63, 0.63이었다. 양악수술군에서는 SNB와 FMIA, SNB 및 ANB와 U1-SN사이에 회귀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으나 결정계수가 0.13에서 0.19사이로 낮아 유의성은 없었다.

  • PDF

Evaluation of mandibular buccal shelf characteristics in the Colombian population: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tudy

  • Escobar-Correa, Natalia;Ramirez-Bustamante, Maria Antonia;Sanchez-Uribe, Luis Alejandro;Upegui-Zea, Juan Carlos;Vergara-Villarreal, Patricia;Ramirez-Ossa, Diana Milen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3-31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mandibular buccal shelf (MBS) in terms of the angulation and bone depth and thickness according to sex, age, and sagittal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in a Colombian popula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ccordingly, the optimal site for miniscrew insertion in this area was determined. Methods: This descriptive,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64 hemi-arches of 34 patients. On CBCT images, the angulation, buccal bone depth (4 and 6 mm from the cementoenamel junction [CEJ] of MBS), and buccal bone thickness (6 and 11 mm from the CEJ of MBS) were measured at the mesial and distal roots of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gulation, depth, and thickness of MBS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The values for the bone around the distal root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other values. The osseous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participants aged 16-24 years. Class III patients exhibited the best osseous characteristics, with the bone depth at 6 mm being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lass I and Class II patients. Although values tended to be greater in patients with low angles,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MBS provides an optimal bone surface for miniscrew insertion, with better osseous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root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4 mm from CEJ. Adolescent patients, Class III patients, and patients with a low angle exhibit the most favorable osseous characteristics in the MBS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