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uation recognition

검색결과 693건 처리시간 0.025초

Multi-Sensor Signal based Situation Recognition with Bayesian Networks

  • Kim, Jin-Pyung;Jang, Gyu-Jin;Jung, Jae-Young;Kim, Moon-Hy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051-1059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lligent situation recognition model by collecting and analyzing multiple sensor signals. Multiple sensor signals are collected for fixed time window. A training set of collected sensor data for each situation is provided to K2-learning algorithm to generate Bayesian networks representi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nsors for the situa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ensor values and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nerated graphs are learned for each situation. A neural network is designed to classify the current situation based on the extracted features from collected multiple sensor values.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and tested with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data.

공간지각 능력에 따른 운전-관련 상황의 재인 및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patial-Perceptual Ability and Driving-Related Situation Awareness)

  • 김비아 ;이재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4호
    • /
    • pp.83-95
    • /
    • 2005
  • 본 연구는 상황인식의 첫 번째 단계인 지각, 특히 운전상황과 관련한 대부분의 정보를 획득하는 공간지각 능력과 상황인식의 다음 단계인 이해와 예측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실제 도로상황을 편집한 동영상으로 구성된 실험 재료를 이용해 재인과 예측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이 두 가지 요소들을 통합하는 과제로 운전 시뮬레이터를 조작하면서 간단한 숫자 배열 규칙에 따라 결과를 계산(예측)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전-관련 상황에서 오퍼레이터의 공간지각 능력이 우수할수록 실제 도로상황 재인과제 수행의 민감도가 높았다. 둘째, 공간지각 능력이 좋을수록 실제 도로상황 예측과제에서의 예측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공간지각능력이 우수할수록 이해와 예측을 통합적으로 요구되는 숫자-계산 과제에서의 수행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 결과, 운전자 상황인식 능력의 측정방법으로 공간지각능력 검사의 활용을 제안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절차인 계산검사를 통해 상황인식의 이해와 예측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의복 구매 의사 결정 과정 중 문제인식 단계의 개념과 구조에 대한 연구 (Concept and Construct of Problem Recognition Stage in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of Apparel Purchase)

  • 유연실;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60-77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onstruct of the problem recognition stage in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of apparel Purchase. This study was supplemented by the theoretical study and field interviews. 40 women were interviewed on their apparel purchase situation to identify problem recognition process. As a result, the concept of problem recognition in apparel purchase is the perceived difference between the ideal state of apparel affairs and the actual situation sufficient to arouse and activate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problem recognition stage in apparel purchase is constituted of the following steps: gestation, categorization, problem defi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mation. In most cases, these four steps existed, but in some cases several steps were deleted or condensed.

  • PDF

공포와 놀람 표정인식을 이용한 위험상황 인지 (Risk Situation Recognition Using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of Fear and Surprise Expression)

  • 곽내정;송특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3-528
    • /
    • 2015
  • 본 논문은 얼굴의 표정 인식을 이용한 위험상황 인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인간의 다양한 감정 표정 중 위험상황을 인지하기 위한 표정인 놀람과 공포의 표정을 인식한다. 제안방법은 먼저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검출된 얼굴 영역으로부터 눈 영역과 입술 영역을 추출한다. 각 영역에 유니폼 LBP 방법을 적용하여 표정을 판별하고 위험 상황을 인식한다. 제안방법은 표정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Cohn-Kanade 데이터베이스 영상을 대상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사람의 기본표정인 웃는 표정, 슬픈 표정, 놀란 표정, 화난 표정, 역거운 표정, 공포 표정 등 6가지의 표정영상을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 표정 인식에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잘 판별하였다.

인지적 종결욕구가 대학생들의 문제 상황인식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ed for closure on college students' problem situation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behaviors)

  • 신경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163-17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들에게 직면한 문제에 관해 커뮤니케이션 행위에 참여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으로서 인지종결욕구의 영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충청도 지역의 대학생 605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장 많이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인 반값등록금 문제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탐색하고자, 인지종결욕구의 하위 차원으로서 구조화된 것 선호, 예측가능성 선호, 명확성, 모호함에 대한 불편함, 폐쇄적 사고 수준의 고/저에 따라 문제 상황에 대한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각각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문제 상황이 해결되지 않고 모호한 정보들이 존재함에 대한 불편함 인식이 높으며 폐쇄적 사고 경향이 낮은 집단에게서 문제인식, 제약인식, 관여도 인식 수준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 행동 역시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Radar-enabled AI Convergence Transportation Entities Detection System for Lv.4 Connected Autonomous Driving in Adverse Weather

  • Myoungho Oh;Mun-Yong Park;Kwang-Hyun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4호
    • /
    • pp.190-201
    • /
    • 2023
  • Securing transportation safety infrastructure technology for Lv.4 connected autonomous driving is very important for the spread of autonomous vehicles, and the safe operation of level 4 autonomous vehicles in adverse weather has limitations due to the development of vehicle-only technology. We developed the radar-enabled AI convergence transportation entities detection system. This system is mounted on fixed and mobile supports on the road, and provides excellent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determination results by converging transportation entities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monitoring sensors such as 60GHz radar and EO/I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installing such a radar-enabled AI convergence transportation entities detection system on an autonomous road, it is possible to increase driving efficiency and ensure safety in adverse weather. To secure competitive technologies in the global market, the development of four key technologies such as ① AI-enabled transportation situation recognition/determination algorithm, ② 60GHz radar development technology, ③ multi-sensor data convergence technology, and ④ AI data framework technology is required.

인지패닉 상황에서의 디자인 사용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design)

  • 최인환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25-233
    • /
    • 2002
  • 인지패닉이라고 일컫는 비정상적인 상환에서 전개되는 사람들의 사고 및 행동 양식은 정적인 상황에 비해서 다르다. 그러므로 그러한 상황에 적용되는 디자인 또한 고려해야 할요소가 다를 것이다. 일반적인 상황에 적용되는 디자인에 못지 않게 이러한 비정상적인 상황에 적용되는 디자인의 중요성 상당히 높다고 사료되는 바 본 연구는 그러한 상황에서 적용되는 아이콘에 관한 기초적인 사용성 평가를 연구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일단 인지과정, 아이콘, 메타포 등의기초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그후 설계된 실험의 수행 및 분석을 통하여 그 방법의 타당성 및 결과를 종합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가 갖는 가장 중요한 의미는 인지패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적용되는 디자인 결과물의 사용성 평가 방법의 예를 제시했다는 점이다. 이는 향후 디자인 결과물이 실제로 적용되기 이전에 본 실험과 유사한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실제 상황에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디자인 사용상의 문제점을 사전에 점검 및 개선하는데 사용됨으로서 그 효용성을 찾을 수가 있다.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Trajectory for Pedestrian Activity Recognition

  • Kim, Young-Nam;Park, Jin-Hee;Kim, Moon-Hy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961-968
    • /
    • 2018
  • Recently, researches on automatic recognition of human activiti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intelligent systems. Since a large amount of visual data can be secured through Closed Circuit Television, it is required to recognize human behavior in a dynamic situation rather than a static situ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intelligent human activity recognition model using the trajectory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video sequence.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hree steps: segmentation and partitioning of trajectory step, feature extraction step, and behavioral learning step. First, the entire trajectory is fuzzy partitioned according to the motion characteristics, and then temporal features and spatial features are extracted. Using the extracted features, four pedestrian behaviors were modeled by decision tree learning algorithm and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The experiments in this paper were conducted using Caviar data se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rajectory provides good activity recognition accuracy by extracting instantaneous property and distinctive regional property.

바이모달 정보를 이용한 기절상황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System of Faint Situation based on Bimodal Information)

  • 소인미;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25-236
    • /
    • 2010
  • 본 논문은 카메라 영상 정보와 기울기 센서 정보를 통합한 바이모달 응급상황 인식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어느 한 센서가 오작동 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형 기울기 센서를 착용하지 않거나, 영상 획득의 어려움이 있는 욕실과 같은 곳에 있는 경우에도 응급 상황을 감지하여 센서 간에 상호 협력과 보완을 함으로써 응급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MM 학습 및 인식을 통해 걷는 동작, 바닥에 앉는 동작, 소파에 앉는 동작, 눕는 동작, 기절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상의 특징 벡터와 기울기 센서의 특징 벡터를 결합하여 학습하고 인식했을 때, 인식률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조명의 변화에도 적응적 배경 모델을 통해 움직이는 객체를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어서 높은 인식률을 유지할 수 있었다.

모바일 감지 서비스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동적 인지 기법 연구 및 개발 (A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ynamic Recognition Technique for Enhancing Reliability of Mobile Sensing Service)

  • 은윤규;김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412-3420
    • /
    • 2015
  •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의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스마트폰의 내장된 센서는 사용자의 상황인지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동적 상황 인지를 통해 안전 및 사고예방을 위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 마이크, GPS 센서를 이용해 위험상황을 동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동적인지기법의 센싱 기법에 대한 아키텍쳐와 프로세스를 제안하며, 아키텍쳐의 적합성을 검증을 위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