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ting

검색결과 1,102건 처리시간 0.031초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의 앉은 자세에서 지지면의 동적 각도 변화에 적응하는 신체 정위의 운동형상학적 비교 (The Comparison of Kinematic Data of the Body Orientation in Sitting Position to Adapt Dynamically Changing Angle of the Base of Support i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Adults)

  • 송인수;최종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13-3520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이 앉은 자세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지지면의 각도에 적응하여 신체를 정위시키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뇌졸중 환자 12명(남 6명, 여 6명)과 정상 성인 12명(남 6명, 여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앉은 자세에서 지지면을 2가지 방향(우세측, 비우세측)으로 기울였을 때 수직선과 머리와 체간이 이루는 각도를 영상 동작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앉은 자세에서 우세한 쪽을 올렸을 때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의 사이의 머리와 체간의 각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앉은 자세에서 비우세한 쪽을 올렸을 때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 사이의 머리와 체간의 각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앉은 자세에서 비우세한 쪽을 내렸을 때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 사이의 머리와 체간의 각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앉은 자세에서 우세한 쪽을 내렸을 때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 사이의 머리의 각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체간의 각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 뇌졸중 환자들이 정상 성인에 비해 동적으로 변화하는 지지면의 각도에 적응하여 신체를 정위시키는 능력에 있어서 다양한 결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신체를 정위시키는 능력의 분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조절의 문제점을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요통 환자와 정상인의 자세에 따른 체간 위치 오류 비교 (The Comparison of Trunk Repositioning Error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at Different Postures)

  • 육군창;한진태;신현숙;이호건;박래준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3-74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runk repositioning errors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low back pain in sitting and standing. Methods : Total 81 participants were recruited who consisted of 41 subjects with low back pain and 40 normal subjects.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replicate the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s of the trunk toward upright and $30^{\circ}$ flexion in sitting and standing. During each of movement, digital inclin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angular movement of $T_{12}$ spinal process. Repositioning error was calculated as the absolute difference between the predetermined target positions and replicated target positions. Results :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upright repositioning error was $1.26^{\circ}{\pm}0.14^{\circ}$ in sitting and $1.55^{\circ}{\pm}0.24^{\circ}$ in standing, and $30^{\circ}$ flexion repositioning error was $3.23^{\circ}{\pm}0.33^{\circ}$ in sitting and $5.50^{\circ}{\pm}0.50^{\circ}$ in standing. In subjects without low back pain, upright repositioning error was $1.38^{\circ}{\pm}0.15^{\circ}$ in sitting and $1.67^{\circ}{\pm}0.18^{\circ}$ in standing, and flexion repositioning error was $2.61^{\circ}{\pm}0.28^{\circ}$ in sitting and $3.70^{\circ}{\pm}0.52^{\circ}$ in standing. It was demonstrated that flexion repositioning error increased significantly in standing position.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30^{\circ}$ flexion repositioning err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anding than in sitting. Conclusion : The repositioning error of subjects with low back pain increased during flexion and it implies that some aspects of proprioception are decreased in subjects with low back pain. Therefore, it will be emphasis that a clinical trial to increase the trunk flexion stability of subjects with low back pain in standing.

  • PDF

정상인의 자세에 따른 자침 효과의 차이 (The Differential Effects of Acupuncture on Postures of Healthy Subjects)

  • 김지은;박경모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6-54
    • /
    • 2007
  • Objective: The first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via Heart Rate (HR) and Pupil Size (PS),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acupuncture on the subjects' ANS when they are in a sitting position with the effects when they are in a supine position. Methods: Ten healthy male subjec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verum acupuncture stimulation in a sitting position (SitV), verum acupuncture stimulation in a supine position (SupV), sham acupuncture stimulation in a sitting position (SitS), and sham acupuncture stimulation in a supine position (SupS). Acupuncture stimulation was applied to Neguan point (PC6) on the forearm. The subject's electrocardiogram (ECG) and pupil size were recorded continuously from 5 min before stimulation to 12 min after stimulation. Results: Verum and sham acupuncture stimulation were found to have reduced heart rate (p<0.01) and to have increased pupil size (p<0.01) in all the subjects. But when the reduction in HR and the increment in PS after verum acupuncture stimulation (both sitting and supine posi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after sham acupuncture stimulation, it was found that the reduction in HR (74.48 and 73.47 bpm, p<0.063) and the increment of PS (7.32 and, 6.10 mm, p<0.001) after verum acupuncture stimulation were greater than those after sham acupuncture stimulation, and that the corresponding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t the baseline,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had a larger PS and a faster HR in a sitting position than when they did so in a supine position. And then the reduction and increment ratio in the subject's HR and PS when they underwent acupuncture stimulation in a sitting pos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duction and increment in their HR and PS when they underwent the procedure in a supine position-i.e., the reduction ratio in HR was greater when they underwent the procedure in a sitting position, and such reduction rati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s for the increment in PS, it was greater when the subjects underwent the procedure in a supine position, and such increment was significant (p<0.05). Conclusion: Manual acupuncture stimulation on Neguan point (PC6) has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rather than sham acupuncture (tactile stimulation). And the position-induced different states of ANS have different influence on the acupuncture effect.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and Gait Outcome in Patients With Stroke)

  • 김명진;이충휘;정보인;이영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2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itting and standing balance in acute stroke patients and gait outcome, and to determine appropriate test tim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hemiplegic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Sangji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August 26, 1997 through November 3, 1997. Twenty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s had sitting and standing balance assessed on the 5th day and 10th day of stroke onset. Gait outcome was assessed 5 weeks later using the MMAS (Modified Motor Assessment Scale) sco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earman's Rho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itting balance on the 5th day and 10th day after their stroke and gait outcome 5 weeks after their stroke were $r_s$=0.89 and $r_s$=0.83, respectively. All of the sitting balance data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outcome (p<0.05). 2)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tanding balance on the 5th day and 10th day after their stroke and gait outcome 5 weeks after their stroke were $r_s$=0.82 and $r_s$=0.87, respectively. All of the standing balance data significant1y correlated with gait outcome (p<0.05). 3) The difference between sitting balance scores on the 5th day and 10th day after stroke onse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ut the difference between standing balance scores on the 5th day and 10th day after stroke onse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 conclusion, sitting and standing balance tests on the 5th day and 10th day after their stroke appear to be predictive of gait outcome.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reference for appropriate test times as an assessment of sitting and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 PDF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복부드로우인기법의 효과 (Effect of Abdominal Draw In Maneuver in Sitting Position)

  • 김선칠;김신균;김창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7-214
    • /
    • 2017
  • 몸통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허리에 통증이 발생된다. 허리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몸통안정화운동 방법 중 하나인 복부드로우인기법(ADIM)은 복부안정화근육 중 선행적자세조절과 관련된 배가로근에 대한 선택적인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법이다. ADIM은 일반적으로 바로누운자세에서 허리 밑에 압력생체되먹임장치(PBU)을 적용하여 시각적되먹임을 한 상태에서 실시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앉은자세에 비해 기능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누운자세와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ADIM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1명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무선 근전도를 이용해 배곧은근(RA), 배바깥빗근(EO), 배가로근/배속빗근(TrA/IO), 그리고 척추세움근(ES)에 대한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RA와 EO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rA/IO와 ES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RA에 비해 TrA/IO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ADIM로 인한 몸통안정화는 두 자세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TrA/IO와 ES는 앉은 자세에서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 자세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가 앉은 자세에서 더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앉은 자세의 ADIM은 허리안정성 향상에 유용할 것이다.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and Sitting Time in Cancer Survivors: 2009-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Kim, Byung Hoon;Lee, Hy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295-5302
    • /
    • 2016
  • Objectives: A physically active lifestyle is important for cancer survivor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1) provide population-based estimates of the prevalence of physical activity and sitting time, and 2) their correlates in Korean cancer survivo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cancer survivor subsample (N=1,482) from 2008-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selected with a complex sampling design. Overall and subgroup-specific prevalences of physical activity and sitting time were estimated. Correlates of moderate- to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 MVPA) and sitting time were tested using age-group-specific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s. Results: Overall adherence rate to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was 34.9% (95% CI=31.5-38.4). Age-group-specific adherence rates were 41.1% (95% CI=36.3-45.9) in adults (30-64 years old), and 25.3% (95% CI=21.0-25.3) in older adults (65 years or older). Adults spent 213.33 minutes (95% CI=172.4-254.3) per week on MVPA and 55.3 minutes (95% CI=36.4-64.6) on sitting time per day. In adults, sitting tim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mployed status (B=28.0, p=0.046), smoking (B=-47.4, p=0.020), and number of comorbidity conditions (B=-13, p=.037). MVP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B=134.9, p<0.001), employment status (B=98.12, p=.046), and years since cancer diagnosis (B=104.7, p=0.015). Older adults spent 162.2 minutes (95% CI=119.5-204.8) per week on MVPA and 63.0 minutes (95% CI=45.0-89.5) on sitting time per day. Their significant correlates were sex (B= -45.2, p=0.014), smoking (B=-70.14, p<0.001), and years since cancer diagnosis (B=37.0, p=0.024). Age (B=5.8, p=0.042) and marital status (B=83.8, p=0.033)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VPA in older adults. Conclusion: A majority of Korean cancer survivors do not sufficiently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In general, older, unhealthier, non-working, and being unmarried were risk factors for physical inactivity. While this study informs public health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about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demand for cancer survivors, future investigations should address psychosocial mediators to better inform intervention programs.

정상 성인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이 파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applied to Sitting Position in Healthy Adult on Grip Power)

  • 김창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5-482
    • /
    • 2020
  • 허리 안정화 근육들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복부 드로우인 기법(ADIM)은 복부내압을 상승시켜 배가로근(TrA)과 배속빗근(IO)을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는 운동법이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세인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했을 때 파악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상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하도록 한 후 실시하지 않은 상태와 실시한 상태에서 각각 파악력을 측정하여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파악력에 미친 영향과 가장 많은 영향을 발휘하는 근육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측정에 동원된 근육은 RA, EO, IO/TrA, 그리고 ES로 ADIM 적용 시 가장 활성화된다고 알려진 허리 안정화 근육들이다. 연구 결과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실시하지 않은 자세 보다 모든 근육들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파악력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측정된 각 근육의 차이값을 비교해 어떤 근육이 파악력에 더 큰 영향을 알아보았으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근육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특정 근육이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복부내압의 증가가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앉아서 오랜 시간 생활하는 일반인들의 일상생활에 파악력 증가와 허리 안정성 향상을 위한 치료적 중재방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할 수 있겠다.

Implementation of Real-time Sedentary Posture Correction Cushion Using Capacitive Pressure Sensor Based on Conductive Textile

  • Kim, HoonKi;Park, HyungSoo;Oh, Ji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1
    • /
    • 2022
  • 일상생활의 전반에 걸쳐 필요한 생활용품들이 자동화, 스마트화, 지능화됨으로 인해 물리적인 활동이 줄고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가는 추세이다. 최근 헬스케어 연구에서는 앉아 있는 시간에 비례해서 비만, 당뇨병, 심장혈관질환, 그리고 조기사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전도성 섬유 기반 전기용량성 압력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앉은 자세 교정 방석을 개발한다. 자세 교정 방석의 핵심 부품인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압력 센서를 개발하고, 저전력 기반의 압력 측정 회로를 개발한다. 자세 교정 방석에서 BLE(Bluetooth Low Energy)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된 센서값을 스마트 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이 센서값을 통해 앉은 자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을 개발한다. 모바일 앱에서는 앉은 자세를 시각화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잘못된 자세로 일정시간 유지할 경우 알람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앉아 있는 시간 및 자세 정확도를 그래프로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의 교정 방석을 통해 사용자의 앉아 있는 자세 상태를 인지하여 실제적으로 사용자 자세 교정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실험해 보고 타제품과 비교하여 차별성과 우수성을 제시한다.

노인여성의 사망률 개선을 위한 밴드 서킷 트레이닝의 중재 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Band Circuit Training for the Mortality Improvement of Elderly Women)

  • 이향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65-173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여성의 사망률 개선을 위한 밴드 서킷 트레이닝의 중재 효과를 구명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Y시 소재 만 65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밴드 서킷 트레이닝 중재가 노인여성의 밴드 서킷 트레이닝 중재가 노인여성의 Senior Fitness Test(SFT)와 Sitting Rising Test(SRT)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밴드 서킷 트레이닝 중재에 따른 노인여성의 기능적 체력(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 2kg 덤벨 들기, 2분 제자리 걷기, 의자에 앉아 앞으로 숙이기, 등 뒤로 손잡기, 2.44m 왕복걷기)와 Sitting Rising Test(SRT)는 측정시기와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에서 밴드 서킷 트레이닝 중재 후 긍정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밴드 서킷 트레이닝 중재는 노인들의 사망률과 관련이 있는 기능적 체력과 SRT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사망률 개선을 통해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