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Recycling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7초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DESIGN USING BIM: A CASE STUDY OF A RESIDENTIAL PROJECT

  • Hyunjoo Kim;Kwok K. Ta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84-87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the application of the three sustainable design elements for a residential project in the county of Los Angeles, USA. The first design element is the green building design in which a base model will be created using the Autodesk REVIT MEP program for the analysis by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the energy analysis modeling process to determine the energy savings for each of the recommended design features. The second element is the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for the site design using specialty material and structural devices for infiltration and recycling of storm water for reuse. The third element is the application of drought tolerant plant species in the site's landscaping design as a means to conserve water. The construction cost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se three elements will be reviewed to determine the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of this sustainable design approach.

  • PDF

물 순환 개선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우수저류 및 침투연못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ormwater Retention and Infiltration Ponds System for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and Increase of Bio-diversity)

  • 김귀곤;김혜주;이재철;김종섭;장혜영;손삼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3-65
    • /
    • 200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that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water circulation, recycling storm water and promoting biodiversity in urban areas, to apply the system in an actual sit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generate a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applicable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former researches and case studies, categorized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into pre-treatment, retention and infiltration phases, and analyz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techniques by synthesizing unit techniques of each stage. As a result, the process of the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includes the following phases: 1) a rubble filtration layer; 2) a retention pond; 3) a infiltration pond; and 4) a stormwater retention pool (recirculation and recycling). Then, an empirical study to design and create the generated system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a sit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was conducted. The future study direction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stormwater retention and infiltration ponds. To this end, it is planned to perform hydrological monitoring using automatic measuring equipment and monitoring on habitat bases and the biota living on the base. Based on its outcome, the applied model would be refined and improved to develop an alternative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that would allow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urban water circulation, increase of biodiversity and efficient use of water resources.

  • PDF

제철 슬래그(Slag) 매립으로 인한 인근 해역의 중금속 오염도 변화 및 재활용 방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Slag Dumping on Heavy Metals in the Neighbour Sea and Direction of Recycling on Slag)

  • 정용;김용범;권용식;이순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5권2호
    • /
    • pp.21-31
    • /
    • 1996
  • To assess the impact resulted from the slag dumping, we studied that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were researched through the statistic analysis at 4 stations in Yongil bay, Korea from 1988 to 1995. And in order to clarify resulting from the changes in heavy metal concentration due to be leaked out from dumped slag, it was fulfilled experiments of the slag extraction. In the extracting experiment, Pb and As were only leaked out from slag aged during 10 days but all of heavy metals were not from it aged during 90 or 180 days.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ea water of vincinity of slag dumping area were still remained in similar, comparing with it of control site(site 4) when they were by analysed statistic method, anova test and Mann-Whitney test. The slag recycling ratio of our country is lower than foreign country. While we need to apply a new process for phosphate treatment, foreign country already apply a slag to phosphorous removal. We suggest that slag dumping cannot putatively affected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And we thought that impact of heavy metal induced by slag dumping was not severe. So,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is process in phosphorous removal, like a foreign country.

  • PDF

음식폐기물 수거요소 분석 연구 (Estimation of Collection Variables for Food Wastes)

  • 유기영;최광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3호
    • /
    • pp.111-118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폐기물의 수거에 소요되는 인력과 장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거요소를 분석하는데 두었다. 이를 위해 수거단계를 기능단위로 분류하고, 수거요소들은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측결과로부터 단계별 요소들을 산정한 결과, 단독주택 인력시간소요량의 경우 3.3인${\cdot}$시, 단독주택 운반속도의 경우 22.4km/시, 2.5톤 차량의 하차시간 5분 등의 산정이 가능하였다. 인력과 장비에 관한 여건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2.5톤의 음식폐기물을 수거하는데 소요되는 지역유형별 수거시간을 산정한 결과, 아파트지역의 경우 1회의 수거에 3.0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단독주택지역은 아파트지역보다 3배의 수거시간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개 지역만을 대상으로 극히 작은 수거회수에 대해 조사한 결과이므로, 대표성 있는 수거요소들을 산정하려면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하수슬러지 지렁이 퇴비화 장치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On-Site Vermicomposting Unit for Sewage Sludge)

  • 김종오;이창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92-96
    • /
    • 2003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 지렁이 퇴비화 장치 개발을 목적으로 재래식 지렁이 이용기술의 문제점 개선 및 지렁이 생리 생태를 이용하여 제작된 소규모 지렁이 퇴비화 장치의 성능평가을 통한 현장 적용 가능한 장치 설계 및 운영지표 설정을 위한 실험 결과 실험장치 성능평가에서는 하수슬러지 급이시 입자크기와 먹이 공급 층의 높이가 각각 5mm 크기와 10cm 두께로 급이 할 때 처리율이 가장 높았으며, 지렁이 적정 밀도는 20~25kg${\cdot}$지렁이/50kg${\cdot}$하수슬러지로 나타났다. 또한 분변토 분리효율은 지렁이 사육상 높이를 80cm으로 운영했을 때 분리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 2톤의 하수슬러지 처리가 가능한 $5{\times}3{\times}1m$ 크기의 지렁이 퇴비화 장치 설계가 가능하였다.

  • PDF

건설폐기물의 적정 처리 및 관리를 위한 RFID기술 적용방안 (A study on application of RFID technology for optimum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waste)

  • 이슬기;전상민;유정호;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74-780
    • /
    • 2007
  • 국내 폐기물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44.6%로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맞추어 건설공사의 규모도 점차 대형화되어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은 꾸준희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비용이 전체 공사비의 0.5%에서 1%정도 차지하고 있지만, 각 건설현장에서 건설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한다면 전체공사비에서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이는 건설폐기물로 인한 환경적 폐해와 경제적 손실이 심각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위와 같이 환경적, 경제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건설폐기물의 저감 및 재활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폐기물 발생부터 처리까지 포괄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교환시스템과 폐기물전자인계서 제도가 각 건설현장마다 활성화 되어 폐기물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으로 이미 RFID기술이 적용된 사례분석을 통하여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RFID)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절취 연약점성토의 성토재 활용에 따른 압밀침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olidation Settlement Calculation of Cutting Soft Clay as Fill Material)

  • 박용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5-12
    • /
    • 2024
  • 간석지(공유수면) 내 단지를 조성하는 경우, 해안 퇴적지반 특성상 대규모 성토재가 필요하고, 단지공사 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연약점성토를 성토재료로 활용하는 것이 자원재활용 및 경제적 측면(소요토량감소)에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점성토의 성토재활용에 따른 절취교란된 점성토의 압밀특성변화를 파악하고, 압밀침하량 설계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압밀시험결과를 통해 교란(절취)에 따른 압밀특성치 변화(압축지수감소, 선행하중산정불가)를 확인하였고, 점성토 성토층을 복합대상층(압밀대상 및 상재하중층)으로 산정(압밀침하량)하는 방안이 실제거동과 부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건설폐기물 기업의 폐기물처리량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허용보관량 규모와 폐기물처리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Waste Disposal Volume on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n th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Industry - Focused on the Size of the Licensed Storage Capacity and the Location of the Waste Disposal Site -)

  • 김대봉;이효익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5호
    • /
    • pp.40-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 기업의 폐기물처리량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이 허용보관량 규모와 폐기물처리장 소재지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 첫째, 건설폐기물 기업의 폐기물처리량은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며, 허용보관량 규모별로 규모가 작은 기업의 경우 폐기물처리량이 적을수록, 규모가 큰 기업의 경우 폐기물처리량이 많을수록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폐기물처리량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은 폐기물처리장 소재지별로 비수도권에 소재한 기업의 경우 폐기물처리량이 적을수록, 수도권에 소재한 기업의 경우 폐기물처리량이 많을수록 재량적 발생액 및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은 건설폐기물 기업의 이익조정 동기 요인으로 폐기물처리량의 영향을 분석하고 그 효과가 허용보관량 규모와 폐기물처리장의 소재지 등 기업이 처한 환경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실증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울시 일반폐기물의 통합적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Municipal Solid Waste from Seoul Metropolitan City)

  • 우세홍;홍상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58
    • /
    • 1993
  • The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for Seoul Metropolitan city can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hierarchy of priorities: 1. Efforts for source reduction should be propelled by both government and citizens to achieve the effects of resource conservation. The adequat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ch are environmentally amenable and sustainable can be induced by the reasonable imposition of deposit money for waste treatment to one-time use products. To accomplish source reduction effectively, the induction of legal and institutional regulation of producer and consumer participation is requisite. 2. For resource recovery, wastes generated should be recycled as far as practicable. Community residents are responsible to separate discharge, the authorities concerned have responsibility of separate collection, and recycling industry should be assissted through tax reduction and financing. Resource separation facilities can be constructed at Kimpo Metropolitan landfill site for wastes not separately collected due to some unavoidable circumstances. 3. Garbage should be composted. Garbage is uneconomical for incineration, because it has high moisture content and low calorie, thus there is no reason for the incineration of garbage even though garbage is classified into combustibles. Composting facilities can be located at sites which are not densely populated and easily accessible to transportation, for example, Kimpo Metropolitan landfill site. Compost produced can be managed by the authorities for the use of fertilizer to a green tract of suburban land and farms. 4. Nonhazardous combustible wastes not recyclable can be utilized for thermal recovery at the incinerators which are completely equipped with pollution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the trend of local autonomy and the equity principle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incineration facilities of minimal capacity required can be constructed at each districts of Seoul Metropolitan city which have organized local assembly. In case of Yangcheon district, the economically combustible waste quantity is about 260 tons/day which exceeds 150 tons/day, the incineration capacity of existing facility. But, from now on, waste quantity can be reduced substantially by the intensive efforts of citizens for source reduction and recycling and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specially, it is indispensable for the government to constitute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bases that can recycle paper and plastics form 43% of waste generated. A good time for constructing of incineration facilities for municipal solid waste can be postponed to the time that pollution control technologies of domestic enterprises are fully developed to satisfy the standards of air pollution prevention, because the life expectancy of Kimpo Metropolitan landfill site is about 25 years. Within this perio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can be attained, while the air qual. ity of Seoul Metropolitan city can be ameliorated to the level to afford incineration facilities. 5. For final disposal, incombustibles and ash are landfilled sanitarily at Kimpo Metropolitan landfill site.

  • PDF

철도정비부지 내 매립된 폐기물에 의해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인체위해성 평가 (Human Risk Assessment of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by Waste Reclaimed in Railway Maintenance Site)

  • ;정민정;문세흠;박진규
    • 유기물자원화
    • /
    • 제27권3호
    • /
    • pp.63-7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철도부지를 상업부지로 개발함에 따라 과거 부지 내부에 산업 폐기물 등이 부적절하게 처리되어 중금속 폐기물로 오염된 토양의 Cu, Pb, Zn, Ni 에 대한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해성 평가는 토양의 복원 및 복원과정에서 필요한 고려요소를 도출하는데 주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해성 평가를 위해 환경부 위해성평가지침을 준용하여 노출농도 결정, 노출량 산정, 발암 및 비발암 위해도를 결정하였다. 이를 통해 철도부지의 중금속 오염토양의 인체 위해성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노출농도 산정결과 토양내 중금속 함량은 621.3 Cu mg/kg, 2,824.5 Pb mg/kg, 1,559.1 Zn mg/kg, 45 Ni mg/kg이고, 독성금속별 인체 노출량 결과, 노출경로별로는 토양의 실외비산 > 토양섭취 > 토양 접촉 순으로 나타났으며, 오염물질별로는 Pb > Zn > Cu > Ni 순으로 나타났다. 발암위해도 평가 결과, USEPA에서 제시한 허용발암위해도(TCR > $10^{-6}$)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독성위해도(비발암성) 평가 결과, HI 지수(HI< 1.0)도 성인 3.5, 어린이 4.85, Cu 1.94 ~ 2.16, Pb 1.37 ~ 2.9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부지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