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 Constant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8초

살충성(殺蟲性) O,O-Diethylphenylphosphate유도체(誘導體)들에 의(依)한 Acetylcholinesterase의 Phosphorylation에 미치는 자유(自由)에너지 관계(關係) (Linear Free Energy Relationship on the Phosphoryl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by Insecticidal O,O-Diethylphenylphosphate Derivatives)

  • 성낙도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76-181
    • /
    • 1984
  • 살충성 O,O-diethylphenylphosphate (A)와 3,5-dimethylphenyl-O,O-diethylphosphate 유도체 (B)에 의한 acetylcholinesterase(Ach E)의 phosphorylation 반응에 미치는 정량적인 자유에너지 관계(LFER)를 알아보기 위하여 Ach E의 두 작용점인 esteratic-anionic site에 대응하는 (A) 및 (B)의 P원자 및 meta 위치간의 공간직선 거리 및 알짜전하를 확장 H$\ddot{u}$ckel이론(EHT)에 의한 MO 계산 방법으로 계산하고 여러 가지 치환기상수와 $pI_{50}$ 상수를 Hammett 및 Okamoto-Brown식, Taft와 Swaln-Lupton의 DSP식에 적용한 회귀분석 결과로부터 살충작용에 미치는 정량적인 자유에너지 관계, %R과 %F를 계산하여 검토하였다. 즉, (A) 및 (B)의 살충효과는 서로 비슷하였으며 blending coefficient (${\lambda}$)는 모두 ${\lambda}$<1의 값을 나타내었다. (A) 및 (B)의 resonance effect (%R)와 field effect (%F)는 각각 %R=33.5, %F=66.5 그리고 %R=2, %F=98로 각각 계산되었는데(B)와 같이 phenyl group에 bulky한 소수성의 methyl group이 결합될수록 resonance effect($R_{\pi}$)보다는 direct through space field effect ($F_D$)가 아닌 through space field effect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상인(正常人) 배양섬유아세포(培養纖維芽細胞)의 인슐린 수용체(受容體)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nsulin Receptor of the Cultured Human Fibroblasts)

  • 조경삼;김진우;김영설;김광원;김선우;최영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5-40
    • /
    • 1983
  • To evaluated the usefulness of cultured human fibroblast for insulin receptor assay, the authors cultured fibroblast from biopsied normal adult female eyelid skin and assayed the insulin receptor with radioreceptor assay method. From the data obtained, percent of labeled insulin bound, numbers of insulin binding sites, affinity constants(Ka) and affinity of the empty sites(Ke)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percent radioactivity bound of cultured fibroblast reached plateau at 4 hours $15^{\circ}C$ incubation. 2) The scatchard plot of insulin binding to cultured human fibroblast was curvilinear and the affinity to receptor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receptor occupancy. 3) The numbers of high affinity, low affinity and total insulin receptor of cultured fibroblasts were 852, 24,800 and 25,652 sites per cell. 4) High and low affinity constants of cultured fibroblasts were $3.4\times^{10}M^{-1},\;and\;1.08\times10^8M^{-1}$, and the affinity of empty site was $5.0\times10^8M^{-1}$.

  • PDF

항(抗) Histamine제(劑)와 Muscarinic Receptor와의 상호작용(相互作用)(I) -심장(心臟) muscarinic receptor에 대한 작용(作用)- (Interaction of Antihistaminics with Muscarinic Receptor(I) -Action on the cardiac muscarinic receptor-)

  • 이신웅;박영주;이정수;하광원;진갑덕
    • 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11
    • /
    • 1988
  • $[^3H]$ Quinuclidinyl benzilate(QNB) binding assays were performed in the dog ventricular sarcolemma fraction enriched approx. 32-fold in sarcolemma compared to the starting homogenate to elucidate the effect of antihistaminics on cardiac muscarinic receptor. Chlorpheniramine(CHP) inhibited specific binding of $[^3H]$QNB and delayed the equilibrium binding. The rate constants at $37^{\circ}C$ for formation and dissociation of the QNB receptor complex were $0.38{\times}10^9\;M^{-1}$ and $1.6{\times}10^{-2}\;min^{-1}$, respectively. The mean value for the dissociation constant from the pairs of the rate constants was 43. 2 pM and this value was similar to the value(44.8pM) determined from Scatchard analysis. CHP decreased association rate constant, indicating increase in $K_D$ value. Decrease in affinity without affecting the binding site concentration$(B_{max})$ for $[^3H]$QNB binding by CHP was also demonstrated by Scatchard analysis. $K_i$ values for $H_i$-blockers that inhibited specific $[^3H]$QNB binding were $0.02{\sim}4.8{\mu}M$. Cimetidine with $K_i$ value of $230{\mu}M$, however, was ineffective in displacing $[^3H]$QNB binding at concentration of $50{\mu}M$. The Hill coefficient for $H_1$-blockers were about one. The results indicate that $H_1$-antihistaminics inhibit $[^3H]$ QNB binding by interaction with myocardiac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 and anticholinergic side effects of these drugs are mainly due to this receptor blocking mechanism.

  • PDF

쑥갓 및 참나물 중 Lufenuron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잔류 특성 연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Lufenuron in Crown Daisy and Chamnamul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 오아연;반선우;장희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1-27
    • /
    • 2023
  •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have been proposed as criteria for a proactive role to exceed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of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at harvest. However, PHRL numbers a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established MRL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ssipation constants and residual concentrations of lufenuron after application on crown daisy and chamnamul under green house conditions. Two residue field trials for each crown daisy and chamnamul were selected to consider a different geographical site at least 20 km far from one another. The pesticide was treated according to critical GAP. After samples were sprayed with lufenuron, they were collected at 0, 1, 3, 5, 7, 10, and 14 days and analyzed using HPLC-DAD. The mean recoveries of crown daisy and chamnamul were within the range of 70-120% with below 20% coefficient variation, which is within the acceptable limits specified by the manual of pre-harvest residue study for pesticides (MFDS, 2014). The biological half-lives in field I and field II were 7.0 and 4.6 days for crown daisy and 2.7 and 2.8 days for chamnamul, respectively. The lower bounds of 95% confidence intervals of dissipation rate constants of lufenuron in crown daisy were determined to be 0.0692 and 0.1298 for field I and field II, respectively, and in chamnamul were 0.2067 for both field I and field II. After applying lufenuron 5% EC, the lufenuron residues on crown daisy and chamnamul at the pre-harvest intervals (14 days for crown daisy and 7 days for chamnamul) were below the safe levels. The dissipation rates of lufenuron in crown daisy and chamnamul were evaluated for similarities with leafy vegetables based on a 95% confidence interval.

한국 연안에서 1999년부터 2017년까지 해수물성과 대기압 변화에 따른 계절 비천문조와 월평균 해수면 변화 (Non-astronomical Tides and Monthly Mean Sea Level Variations due to Differing Hydrographic Conditions and Atmospheric Pressure along the Korean Coast from 1999 to 2017)

  • 변도성;최병주;김효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1호
    • /
    • pp.11-36
    • /
    • 2021
  • 비천문조인 연주조(Sa)와 반년주조(Ssa)는 해수특성 변화와 기상 상태에 영향을 받는 비대칭 월평균 해수면의 연변화와 관련이 깊다. 국립해양조사원이 운영하는 21개 조위관측소에서 관측한 1시간 간격의 19년(1999~2017년) 간 해수면 높이 자료에 대하여 두 종류의 조석 조화분해 프로그램(Task2K와 UTide)을 사용하여 Sa와 Ssa의 조화상수를 산출하였다. 조화분해에 사용되는 자료의 시작 시기와 길이에 따른 Sa의 안정도를 조사하였으며, Sa와 Ssa의 조화상수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천 조위관측소의 20년(1999~2018년) 해수면 관측자료를 1일씩 이동하면서 1년(369일) 조화분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두 프로그램 모두 자료의 시작 시기에 따라 Sa 조화상수가 불규칙하게 크게 변동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ask2K가 Sa 분조 계산식에 근일점 천문변수를 고려하지 않아서, 두 프로그램 간에 약 78°의 지각 차가 났으며, 이들 진폭 차이는 1 cm 이하였다.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Sa 조화상수가 해마다 크게 다르므로, 조위 예측 정확도와 관련하여 안정적인 조화상수 산출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관측자료 길이(1년, 2년, 3년, 5년, 9년, 19년)에 따른 인천 조위관측소의 Sa 조화상수 값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대표성 있는 Sa 조화상수를 구하기 위해서 조화분해를 수행할 때 5~9년 동안의 관측자료를 사용하면 조화상수 예측오차가 상당히 줄어들며, 19년 자료를 사용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Sa 분조의 진폭은 각 해역별로 다른 해양·대기 환경 특성에 의해 서해안에서 15.0~18.6 cm,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에서 10.7~17.5 cm이었으며, 울릉도를 포함한 동해안에서 10.5~13.0 cm이었다. 울릉도 등 동해 일부 해역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연안에서 Ssa 분조의 영향으로 인해 연중 최고(최저) 해수면 높이가 발생하는 시기가 늦어(빨라)져서 해수면의 계절변화가 시간적으로 비대칭적인 특성을 보였다. 끝으로, 월평균 해수면, 대기압 보정 해수면, 비부피 높이 간 관계로부터 해수면의 해해변화와 계절변화의 비대칭성에 대기압 효과와 해수밀도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매몰지 내 유기물 농도가 분해 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concentration on its degradation kinetics in a burial site)

  • 이채영;최재민;오승준;한선기;박준규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1호
    • /
    • pp.62-68
    • /
    • 2013
  • 회분식 실험을 통해 매몰지 내 유기물의 농도가 분해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기질은 돈 및 우육을 이용하였으며 기질의 농도는 2, 4, 6, 8 및 10 g VS/L로 선정하였다. 기질의 농도가 2 g VS/L 일 경우에 돈 및 우육의 메탄 발생율 각각 46.3 및 48.4 ml CH4/g VS.d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메탄 발생율은 감소하였다. 비선형 저해 방정식을 이용하여 평가된 저해 상수 값은 돈육의 경우, n 및 m은 각각 4.9 및 0.6으로 나타났으며 우육은 각각 1.1 및 0.4로 나타났다(n: 최대 메탄 발생율 저해 상수, m: 최종 메탄 수율 저해 상수). 기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메탄 발생율은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나 최종 메탄 수율은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반응하였다. 또한, 돈 및 우육의 n과 m 값 관계를 통해 기질 농도에 따른 저해 특성은 반경쟁적 저해 특성으로 판단된다.

습지 토양에서 소수성 유기화합물질의 흡착 동력학 (Sorption Kinetics of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in Wetland Soils)

  • 박제철;신원식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295-303
    • /
    • 2003
  • 자연습지 토양에서 소수성 유기화합물(염화벤젠 및 페난쓰린)의 흡착동력학을 실험실규모의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단일영역 물질전달모델 (one-site mass transfer model, OSMTM)과 두영역 1차속도모델 (two compartment first-order kinetic model, TCFOKM)을 사용하여 흡착속도를 분석하였다. OSMTM 분석결과 염화벤젠의 경우 10${\sim}$75시간 이내에, 페난쓰린의 경우 약 2시간 이내에 각각 겉보기 흡착평형에 도달하였다. 염화벤젠의 경우, 표면 토양에서의 흡착평형시간이 하부 토양보다 길게 나타났는데, 이는 토양 유기탄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차이에 기인한다. 그러나, 페난쓰린의 경우 각 토양간에 흡착평형시간의 차이는 없었다. 관련 모델매개변수의 수에서 기대되듯이 변수가 3개인 TCFOKM이 변수가 2개인 OSMTM보다 흡착속도를 더 잘 표현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에 대한 TCFOKM의 곡선맞춤으로부터 얻은 매개변수인 빠른 흡착영역의 분율($f_1$)과 빠른 흡착영역과 느린 흡착영역의 1차 흡착속도 상수($k_1$,및 $k_2$)를 얻을 수 있었다. TCFOKM 분석결과 빠른 흡착영역에서의 흡착속도 상수는 느린 흡착영역에서의 흡착속도 상수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 흡착영역의 분율 ($f_1$)과 흡착속도상수 ($k_1$)는 $k_{ow}$ 값이 증가(페난쓰린>염화벤젠)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빠른 흡착영역과 느린 흡착영역에서의 1차 흡착 속도상수는 각각$10^{-0.1}\;-10^{+1}$$10^{-4}\;-10^{-2}$의 범위에서 변화하였다.

$CdIn_2S_4$$CdIn_2S_4 : Co^{2+}$ 단결정의 광학적 특성 (Optical Properties of Cdlnsub 2Ssub 4 and Cdlnsub 2Ssub 4 : $CdIn_2S_4$$CdIn_2S_4 : Co^{2+}$Single Crystals)

  • 최성휴;방태환;김형곤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5호
    • /
    • pp.296-302
    • /
    • 1999
  • $CdIn_2S_4 and CdIn_2S_4 : Co^{2+}$ singlecrystals of thenormal spinel structure were grown by the C.T.R. method. The optical energy band structure of these compounds had a indirect band gap at the fundamental optical absorption band edge. The direct and the indirect energy gaps are found to be 2.325 and2.179eV for $Cdln_2S_4$ , and 2.303 and 2.169eV for $CdIn_2S_4 and CdIn_2S_4 : Co^{2+}$ at 5K, respectivly. The fundamental absorption band edge of these single crystals shift to a shorter wavelength region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optical energy gaps in these compounds satisfy Varshni equation. The Varshni constants$\alpha and \beta$ of the direct energy gap are given by $13.39{\times}10_{-4}eV/K$ and 509 K for $Cdln_2S_4$ and $29.73{\times}10_{-4} eV/K$ and 1398K for $CdIn_2S_4 and CdIn_2S_4 : Co^{2+}$. The Varshni constants ${\alpha}and {\beta}$ of the indirect energy gap are given by 9.68${\times}10^{-4}$ eV/K 308K for $Cdln_2S_4$ and $13.33{\times}10_{-4}eV/K$ and 440K for $CdIn_2S_4 : Co^{2+}$ respectivly. The impurity optical absorption peaks due to cobalt dopant are observed in $CdIn_2S_4 : Co^{2+}$ single crystal. These impurity optical absorption peaks can be attributed to the electronic transitions between the split energy levels of $Co_{2+}$ ions located at $T_d$ symmetry site of $Cdln_2S_4$ host lattece.

  • PDF

In-situ ellipsometry를 사용한 광기록매체용 Ge-Sb-Te 다층박막성장의 실시간 제어 (Real time control of the growth of Ge-Sb-Te multi-layer film as an optical recording media using in-situ ellipsometry)

  • 김종혁;이학철;김상준;김상열;안성혁;원영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5-222
    • /
    • 2002
  • 광기록매체용 Ge-Sb-Te다층박막 성장과정을 in-situ 타원계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하여 각 층의 두께를 제어하고 성장된 Ge-Sb-Te 다층박막을 ex-site 분광타원법으로 확인하였다. 보호층인 ZnS-SiO$_2$와 기록층인 Ge$_2$Sb$_2$Te$_{5}$을 단결정실리콘 기층 위에 스퍼터링 방법으로 각각 성장시키면서 구한 타원상수 성장곡선을 분석하여 성장에 따르는 보호층의 균일성 및 기록 층의 밀도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Ge-Sb-Te광기록 다층박막의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하였다. Ge$_2$Sb$_2$Te$_{5}$ 단층박막 시료의 복소굴절율은 eX-Situ 분광타원분석을 통하여 구하였다. 제작된 다층구조는 설정된 다층구조인 ZnS-SiO$_2$(1400$\AA$)$\mid$ GST(200 $\AA$)$\mid$ZnS-SiO$_2$(200$\AA$)와 각 층의 두께 및 전체 두께에서 1.5% 이내에서 일치하는 정확도를 보여주었다.주었다.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Dual Positional Specific Maize Lipoxygenase and the Dependence of Lagging and Initial Burst Phenomenon on pH, Substrate, and Detergent during Pre-steady State Kinetics

  • Cho, Kyoung-Won;Jang, Sung-Kuk;Huon, Thavrak;Park, Sang-Wook;Han, Ok-Soo
    • BMB Reports
    • /
    • 제40권1호
    • /
    • pp.100-106
    • /
    • 2007
  • The wound-inducible lipoxygenase obtained from maize is one of the nontraditional lipoxygenases that possess dual positional specificity. In this paper, we provide our results on the determination and comparison of the kinetic constants of the maize lipoxygenase, with or without detergents in the steady state, and characterization of the dependence of the kinetic lag phase or initial burst, on pH, substrate, and detergent in the pre-steady state of the lipoxygenase reacti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showed a typical lag phase in the pre-steady state of the lipoxygenase reaction at pH 7.5 in the presence of 0.25% Tween-20 detergent. The reciprocal correlation between the induction period and the enzyme level indicated that this lag phenomenon was attributable to the slow oxidative activation of Fe (II) to Fe (III) at the active site of the enzyme as observed in other lipoxygenase reactions. Contrary to the lagging phenomenon observed at pH 7.5 in the presence of Tween-20, a unique initial burst was observed at pH 6.2 in the absence of detergents. To our knowledge, the initial burst i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at pH 6.2 is the first observation in the lipoxygenase reaction. Kinetic constants (Km and kcat values) were largely dependent on the presence of detergent. An inverse correlation of the initial burst period with enzyme levels and interpretations on kinetic constants suggested that the observed initial burst i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could be due to the availability of free fatty acids as substrates for binding with the lipoxygenase enzy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