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us graft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4초

전악 무치악 환자에서 골이식술을 선행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preceding bone graft: A case report)

  • 안주남;이정진;서재민;김경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7-87
    • /
    • 2018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수복, hybrid 고정성 보철수복, 임플란트 유지 혹은 지지 피개의치 등이 있으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은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 발음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보인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을 계획한 경우 발음, 심미, 구강 위생 등을 고려한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진단이 필수적이다. 진단 과정을 통해 파악된, 보철물이 필요한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prosthetic-driven)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치조골과 연조직 지지 등이 필요하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광범위한 골이식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 상실로 인해 치조골 흡수가 심하게 진행된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치조골 증대술을 선행하고 임플란트 식립 후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 교육 (Virtual Reality for Dental Implant Surgical Education)

  • 문성용;최봉두;문영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69-1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환자의 모델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수술환경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과 함께 치과 임플란트 수술 술기를 배울 수 있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술 모델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자 한다. 환자의 안면 해부학적 모델은 실제 환자의 CT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면부위 골에 대한 삼차원 모델을 먼저 완성한 후 각각의 근육을 표현하고 안면부에 대한 삼차원 스캔 그리고 치아의 3차원 스캔 후 모델링을 통해 각각의 해부학적 구조물을 표현하였다. Unity3D를 활용해 단계별 시나리오를 게임으로 구성하였다. 처음 절개를 시행하는 단계에서부터 환자의 현재 상태에 필요한 상악동 거상술에 대한 술기를 표현하고, 임플란트 식립과정 그리고 골이식술을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포함하였다. 단계별로 중요한 과정의 효과적인 습득을 위해 HMD(Head Mount Display) 및 Leap motion과 연동하여 3차원 모델에 기구를 위치시키고 수술행위를 재현해볼 수 있게하여 몰입감을 높이면서 실제 수술을 하고있는 느낌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총 20명의 수련의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수술 교육 프로그램은 치과 대학생들과 수련의들의 교육 도구로서 수술 술기를 습득하고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통상적으로 수술 술기 교육 방법이 많지 않은 현실에서 HMD 와 Leap motion이라는 비교적 저렴한 기기를 이용하여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수술 교육은 장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요골측 전박유리 피판 실패 후 경장근 피판과 피부이식으로 재건한 하인두후벽암 1례 (A Case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Reconstructed with Longus Colli Flap and Skin Graft after Failure of Radial Forearm Free Flap)

  • 양해동;정상호;권오휘;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6-220
    • /
    • 2001
  • There are many approaches in surgery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according to location, extent, and invasion depth of primary cancer. And many re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used in reconstruction of surgical defect remaining after wide resection of primary cancer.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is relatively rare, so its surgical experiences are fewer than those of pyriform sinus cancer and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surgical approaches and reconstruction methods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posterior hypopharyngeal wall cancer reconstructed with longus colli flap and skin graft after failure of radial forearm free flap in a 72-year -old man and report it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 PDF

Modified Anterior Craniofacial Osteotomy Using Partial Nasal Bone Division and Reconstruction in Frontoethmoidal Sinus Meningioma

  • Park, Eon Ju;Kim, Hong Il;Park, Jin Hyung;Yi, Hyung Su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7-121
    • /
    • 2017
  • Typical transcranial approaches are insufficient for adequate visualization and resection of skull base tumors. Different approaches with multiple modifications have been attempted. Here, we describe a new approach for a lesion that is central and hard to treat by conventional craniotomy and successful reconstruction with calvarial bone graft and titanium mesh plate. A 69-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recurrent meningioma. The tumor had invaded the frontal lobe, right supraorbital rim, and ethmoidal bone. We performed a modified anterior craniofacial approach that fully exposed the tumor and invaded bone.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age and cosmetic result, the tumor and invaded bone was resected and the defect area was reconstructed with titanium mesh and calvarial bone graft. At 6 months postoperative the patient had no complications and was satisfied with the esthetic result. We report this case to demonstrate the successful approach and reconstruction using this technique.

한국인 하악 유합부에서의 피질골-해면골의 밀도 및 형태 (Quality and Morphology on cortico-cancellous bone in Korean mandibular symphysis area)

  • 민천기;박현도;김창성;정한성;조규성;김희진;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581-595
    • /
    • 2001
  • In performing implant procedures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xilla, many difficulties exist because of anatomical reasons, such as the proximity of the nasal floor, lateral extension of the incisive canal, and labial concavity. On the other hand, in the posterior region of the maxilla, there is often insufficient recipient bone between the maxillary sinus and alveolar ridge due to alveolar ridge resorption and pneumatization of the maxillary sinus. In order to perform implants in such regions, ridge augmentation procedures such as onlay bone graft,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maxillary sinus grafting are performed. In studies of Caucasians, use of autograft from mandibular symphysis has been reported to be highly successful in maxillary sinus grafting. However, in a clinical study of Koreans, autograft of mandibular symphysis has been reported to have significantly low success rate.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this is because of insufficient cancellous bone due to thick cortical bone.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bone quality and morphology of Koreans can be compared with those of Caucasians. In this study, the bone density and morphology of the cortical bone and cancellous bone in the mandibular symphysis of 35 Korean cadavers were evalu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erms of bone density, type I, type II, and type III consisted of 1.4%(3/213), 72.3%(154/213), and 26.3%(56/213) of the cross-sectioned specimens, respectively. In general, the bone density tended to change from type II to type III, as cross-sectioned specimens were evaluated from the midline to the canine. Type IV wasn't observed in this study. 2.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apex and the lower border of the cancellous bone was 18.34mm-20.59mm. Considering that the bone has to be cut 5mm below the root apex during the procedure, autografts with about 15mm of vertical thickness can be obtained. 3. The thickness of cortical bone on the labial side increased from the root apex to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The average values ranged from 1.43mm to 2.36mm. 4. The labio-lingual thickness of cancellous bone ranged from 3.43mm to 6.51mm. The thickness tended to increase from the apex to the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and decrease around the lower border of cancellous bone. From the above results, the anatomic factors of the mandibular symphysis (bone density, thickness, quantity and length of the cortical bone and cancellous bone) didn't show any difference from Caucasians, and it cannot be viewed as the cause of failure in autografts in the maxillary sinus for implants.

  • PDF

대동맥판을 보존한 대동맥근부치환술 - 증례보고 - (Aortic Root Replacement with Valve Preservation in a Patient with Annuloaortic Ectasia)

  • 김대준;윤치순;장병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234-1237
    • /
    • 1998
  • Marfan 증후군과 같은 대동맥 질환의 경우 대동맥동 및 대동맥륜의 점진적인 확장 및 변형이 발생하여 대동맥판막의 폐쇄부전을 초래한다. 이런 경우 대부분 상행대동맥과 대동맥 판막을 composite graft의 형태로 치환하고 여기에 관상동맥을 문합하는 술식이 적용되어왔다. 본 증례는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22세 남자 환자로 대동맥 근부 확장과 승모판막 부전이 있었다. 수술은 대동맥 판막 및 좌심실유출로의 일부를 보존하면서 상행대동맥 및 Valsalva동의 동맥류를 제거하고, 대동맥 판막 및 관상동맥을 인조혈관에 다시 문합하는 술식을 적용하였다. 술후 심초음파 검사상 대동맥 판막의 기능은 정상이었다. 대동맥륜 확장증에 있어서 대동맥 판막이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다면 이상의 술식을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대동맥 판막은 보존하면서 대동맥 근부를 치환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Hemifacial Microsomia의 외과적 교정 1례 (SURGICAL CORRECTION OF HEMIFACIAL MICROSOMIA REPORT OF A CASE)

  • 양동규;김종렬;최갑림;박상준;김병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19-27
    • /
    • 1989
  • Hemifacial microsomia는 편측의 측두 하악 관절과 하악지의 발육장애 및 저작근의 발육장애를 특징으로 하며 종종 상악골과 협골의 발육장애도 동반한다. 또한 관련된 외이의 발육장애 및 외이도의 부재, 이하선 및 도관의 부재, 안면 신경 및 안면 표정근의 기능 저하를 보이기도 한다. 전형적인 것은 출생시에 이미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은 주로 편측에 나타나며 하악골의 후퇴, 안면 비대칭, 부정 교합등이 존재하게 된다. 이 선천성 기형의 원인은 불명이며 그 치료로는 외과적으로 변형을 교정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22세된 여자 환자에서 hemifacial microsomia를 관찰하고 악교정 수술에 의해 만족할 만한 안면의 대칭 및 기능의 회복을 얻을 수 있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Survival Rate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of Short Implants)

  • 명태수;정승현;김태영;김유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1-13
    • /
    • 2012
  • 짧은 임플란트는 상악동이나 하치조신경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이 있거나 심한 치조골 흡수로 인해 제한적인 치조제 높이를 가지는 부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가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임플란트센터에서 길이 10 mm 이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137명의 환자, 227개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부를 통해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식립 위치, 골이식 유무, 보철물의 연결고정 유무를 조사하였다. 변연골 흡수량은 Emago advanced v5.6(Oral diagnostic systems, Amsterdam, The Netherland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27개의 임플란트 중 8개가 실패하여, 전체 짧은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6.5 %로 나타났다. 골이식 부위와 상악에 식립된 경우 더 높은 실패율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임플란트의 길이와 직경은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 요인을 조사하였을 때, 상악의 불량한 골질과 골이식 유무가 임플란트의 더 높은 실패율에 영향을 미쳤다. 10 mm 이하 임플란트에서 길이, 직경, 식립 부위, 골이식술과 보철물의 연결 고정은 임플란트 생존율과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Complications after craniofacial reconstruction with calcium phosphate cement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Pourdanesh, Fereydoun;Latifi, Noorahmad;Latifi, Fatemeh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4권5호
    • /
    • pp.207-211
    • /
    • 2018
  • Among different graft materials for craniofacial reconstruction, calcium phosphate cements have the advantages of alloplastic grafts and wide us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foreign body reaction following frontal reconstruction with JectOS (an injectable calcium orthophosphate cement; Kasios) and reviewed the literature on complications of this material after craniofacial reconstruction from 2002 to 2017. Complication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immunologic reactions (consisting of seroma collection, chronic sinus mucosa swelling, and foreign body reaction) and non-immune events (infection, fragmentation, and ejection). It is wise to use calcium phosphate-based material only in selected cases with small defects, and long-term follow-up is needed to observe their consequences.

선천성 횡격막 무발육증 수술치험 1례 (Congenital Agenesis of Left Diaphragm: Surgical Repair - Report of a Case -)

  • 이종락;이신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2호
    • /
    • pp.1238-1241
    • /
    • 1991
  • Agenesis of the hemidiaphragm is unusual congenital anomaly associated with a high mortality. A case of congenital agenesis of left diaphragm was experienced in 22-day old male patient who was dyspneic and cyanotic on admission. Emergency exploration through the left eight interspace thoracotomy showed complete agenesis of the left diaphragm. The stomach and transverse colon covered with peritoneal sac was partially herniated into left hemithorax. The left lung was slightly hypoplastic. This neonate had no intestinal malrotation. The defect was reconstructed using Dacron graft. Dacron patch was sutured with interrupted Ethibond to chest wall anteriorly, esophagus aorta and costomediastinal sinus medially, and the tenth rib posterolaterally. Postoperatively, Extubation was performed at 1st day, but some respiratory difficulty was noted. Severe dyspnea was occurred at postoperative 11th day and so reintubation was done. Intermittently ventilatory support and intravenous alimentation were continued for 9 days after that. Thereafter he had no respiratory problems at dischar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