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lap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5초

서로 다른 수분율을 갖도록 염수환경에 노출된 복합재 접착체결부의 강도 (Strength of Composit Single-lap Bonded Joints with Different Saltwater Moisture Contents)

  • 양현정;정문규;권진회;최진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8-5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탄소/에폭시 복합재 단일겹침 접착체결부의 염수 수분율이 체결부의 강도 및 파손모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시편은 이차접착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71^{\circ}C$, 3.5% 염수환경에서 수분율 0, 0.2, 0.5, 1.0, 2.0%(포화상태)를 갖도록 노출시켰다. 수분율별 시편은 각 8개씩이고, 두 종류의 시험환경을 고려하여 총 80개의 시편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복합재 체결부의 강도는 수분율이 2%(포화상태)에 도달하면 감소하지만 그 이전 과도상태(약 1% 근처까지)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분율 1%까지는 고온 환경에서의 강도가 상온 강도보다 2~5% 가량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분 포화된 고온 환경 체결부의 강도는 상온 강도 대비 약 5% 가량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재-알루미늄 단일겹침 하이브리드 체결부 강도 특성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of Composite-to-Aluminum Hybrid Single-Lap Joints)

  • 김중진;성명수;김홍주;차봉근;권진회;최진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841-8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탄소 복합재와 알루미늄 2024-T3 단일겹침 체결부에 대해, 체결방법을 접착, 리벳, 리벳/접착 하이브리드의 세 가지로 변화시키면서 체결방법에 따른 파손하중과 파손모드를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세 가지 체결방법에 대해 각각 겹침길이 3가지와 적층순서 2가지, 총 82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접착제는 FM73m, 리벳은 NAS9308-4-03을 사용하였다. 접착 체결과 하이브리드 체결에서는 겹침길이가 커짐에 따라 파손하중이 증가하였고, 리벳 체결에서는 겹침길이에 따른 파손하중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순 접착 및 리벳 체결부에서는 적층순서에 따른 일관된 경향을 발견하기 어려운 반면, 하이브리드 체결부에서는 인접층의 적층각 차이가 작은 적층판을 사용한 체결부의 파손하중이 높게 나타났다. 접착 체결과 하이브리드 체결의 주된 파손모드는 층간분리이고 리벳 체결은 국부적 베어링 파손을 동반한 리벳 파손으로 나타났다.

이축반복하중을 받는 2주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실험거동 (Experiment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Bent Piers under Bidirectional Repeated Loading)

  • 박창규;이범기;송희원;정영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통권41호
    • /
    • pp.17-24
    • /
    • 2005
  • 기존의 RC 교각에 대한 내진성능 연구는 실험여건상 일방향 반복하중을 받는 단주교각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고속도로상의 교각은 대다수가 다주교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고속도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2주형 교각에 대한 이축지진하중에서의 지진응답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체는 지름 400mm, 높이 2,000mm인 2주형 원형 교각 4기를 제작하였으며, $0.1f_{ck}A_g$크기의 축방향 하중작용하에서 횡방향 하중을 이축으로 교번반복 재하하였다. 실험변수는 횡구속 철근비와 주철근 겹침이음으로서 기존 단주에 대한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이들 실험변수들은 교각의 내진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동일하게 설계된 일축하중을 받는 단주와 이축하중을 받는 다주의 내진성능을 비교한 결과 단주의 경우 손상이 하부 소성힌지 한 곳에 집중된 반면 다주의 경우 교축직각방향 하중으로 인하여 손상이 상ㆍ하부 두 곳으로 분산되어 나타났다.

차체용 1.2GPa급 초고장력 TRIP강의 Weldbond 접합부의 기계적 거동 (Mechanical Behavior of Weldbond Joint of 1.2GPa Grade Ultra High Strength TRIP Steel for Car Body Applications)

  • 이종대;이소정;방정환;김동철;강문진;김목순;김준기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2권5호
    • /
    • pp.44-49
    • /
    • 2014
  • The effect of weldbond hybrid joining process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single lap and L-tensile joints was investigated for the newly developed 1.2GPa grade ultra high strength TRIP(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steel. In the case of single lap shear behavior, the weldbond joint of 1.2GPa TRIP steel showed lower maximum tensile load and elongation than that of the adhesive bonding only. It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reduction of real adhesion area, which was caused by the degradation of adhesive near the spot weld, and the brittle fracture behavior of the spot weld joint. In the case of L-tensile behavior, however, the maximum tensile load of the weldbond joint of 1.2GPa TRIP steel was dramatically increased and the fracture mode was change to the base metal fracture which is desirable for the spot weld joint. These synergic effect of the weldbond hybrid joining process in 1.2GPa TRIP steel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stress dissipation around the spot weld joint by the presence of adhesive which resulted in the change of crack propagation path.

로진을 이용한 천연접착제의 접착물성 (Adhesion Performances of Natural Adhesives Made by Rosin)

  • 최재훈;황현득;문제익;김현중;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38-44
    • /
    • 2007
  • 환경문제의 대두에 따라 포름알데히드를 방산하는 접착제를 대신할 수 있도록 로진을 이용한 천연접착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경화속도와 접착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조제의 배합에 따라 천연접착제를 제조하였다. 건조제의 배합에 따른 경화속도와 접착물성을 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얻어진 tack값과 single lap shear test를 통해 얻어진 접착력을 기반으로 평가하였으며,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AURO, BioFa, Livos의 식물계 천연접착제와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적의 배합비는 Co 0.7 part, Zr 1.0 part, Ca 0.5 part, Activ8 0.1 part를 첨가하였을 때이며, 이 때의 접착력은 $93.2{\pm}19.1N/cm^2$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탄소 복합재와 알루미늄 이종재료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의 강도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of Single-Lap Bonded Joints of Carbon Composite and Aluminum)

  • 강태환;이창재;최진호;권진회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4-211
    • /
    • 2007
  • 연구에서는 5가지의 접착길이를 갖는 탄소 복합재-알루미늄 단일겹침 체결부에 대한 실험을 통해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의 파손양상 및 강도를 연구하였다. 시편은 필름 형태의 접착제인 FM73m을 사용하여 이차접착으로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이종재료 접착 체결부의 강도는 금속-금속 체결부의 강도보다는 낮고, 복합재-복합재 체결부의 강도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접착길이 대 폭의 비가 1보다 작은 경우, 접착길이의 증가가 강도 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컸지만, 접착길이 대 폭의 비가 커질수록 접착길이의 효과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시편은 최종적으로 층간분리의 형태로 파손되었다. 따라서 고강도 접착제를 사용한 체결부의 강도향상을 위해서는 적층판의 층간분리 파손을 지연시킬 수 있는 설계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 핀으로 보강된 복합재 단일겹침 체결부의 강도 연구 (Strength of Stainless Steel Pin-reinforced Composite Single-lap Joints)

  • 이병희;박용빈;권진회;최진호;최익현;장성태
    • Composites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65-6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금속 핀으로 보강된 일체성형 복합재 단일겹침 체결부에 대해, 보강 핀이 체결부의 파손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으로 연구하였다. 핀의 지름(0.3, 0.5, 0.7 mm)과 밀도(0.5, 2.0, 4.0%)를 달리하여 총 6종류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복합재료와 보강핀은 각각 Toray사의 일방향 탄소-에폭시 프리프레그 T700-12K-31E#2510와 스테인리스 강이다. 핀 밀도가 매우 낮은 한 경우(0.5%)를 제외하고는, 모든 체결부에서 두께방향 핀의 보강으로 인해 초기균열의 발생이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극한강도는 최대 45%까지 증가하고, 특히 접착면의 완전한 분리 후에도 대변형 상태에서 핀이 추가적인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구조물이 안정적 파괴거동을 갖도록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umerical analysis of the combined aging and fillet effect of the adhesive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a single lap joint of type Aluminum/Aluminum

  • Medjdoub, S.M.;Madani, K.;Rezgani, L.;Mallarino, S.;Touzain, S.;Campilho, R.D.S.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3권5호
    • /
    • pp.693-707
    • /
    • 2022
  • Bonded joints have proven their performance against conventional joining processes such as welding, riveting and bolting. The single-lap joint is the most widely used to characterize adhesive joints in tensile-shear loadings. However, the high stress concentrations in the adhesive joint due to the non-linearity of the applied loads generate a bending moment in the joint, resulting in high stresses at the adhesive edges. Geometric optimization of the bonded joint to reduce this high stress concentration prompted various researchers to perform geometric modifications of the adhesive and adherends at their free edges. Modifying both edges of the adhesive (spew) and the adherends (bevel)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solution to reduce stresses at both edges and improve stress transfer at the inner part of the adhesive layer. The majority of research aimed at improving the geometry of the plate and adhesive edges has not considered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water absorption in evaluating the strength of the joint.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analyze,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stress distribution in an adhesive joint between two 2024-T3 aluminum plates. The effects of the adhesive fillet and adherend bevel on the bonded joint stresses were taken into account. On the other hand, degrad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following its exposure to moisture and temperature was found.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edges of the adhesive and of the bonding agent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durability of the bond. Although the modification of the adhesive and bonding edges significantly improves the joint strength, the simultaneous exposure of the joint to temperature and moisture generates high stress concentrations in the adhesive joint that, in most cases, can easily reach the failure point of the material even at low applied stresses.

탄소 복합재-알루미늄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의 강도에 관한 인자연구 (A Parametric Study on the Strength of Single-Lap Bonded Joints of Carbon Composite and Aluminum)

  • 김태환;성명수;최진호;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34-4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탄소 복합재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이종재료 단일겹침 접착 체결부에서, 파손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의 효과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을 위해 접착압력 4가지(2, 3, 4, 6기압), 겹침길이 6가지(15, 20, 25, 30, 35, 40 mm), 모재 두께 2가지(1.58, 3.01 mm)에 대한 시편 총 66개를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접착제 FM73에 대해 제작사에서 제시한 접착압력은 약 3기압이었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종재료 접착의 경우, 최소 4기압 이상의 접착압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겹침길이를 증가시킬 경우 파손하중이 증가하지만 접착부의 폭과 길이의 비가 1을 넘어갈 경우 접착강도 즉 단위 접착면적당의 파손하중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모재의 두께도 접착부 파손하중 및 강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모재의 두께가 약 2배로 증가할 때 접착강도는 $12{\sim}32%$까지 증가하였다. 접착부의 파손은 대부분 복합재 모재의 층간분리 형태로 발생하였으며, 접착압력이 높아질수록, 접착길이가 길어질수록 층간분리가 발생하는 위치가 적층판 내부로 깊게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스카프 패치로 수리한 복합재 단일겹침 체결부의 파손 특성 연구 (Failure Characteristics of Scarf Patch-repaired Composite Single-lap Joints)

  • 김충현;유재승;변창석;주현우;박민영;최진호;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17-1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스카프 패치로 수리한 복합재 단일겹침 체결부의 파손강도를 시험과 해석으로 연구하였다. 스카프 비, 모재의 적층패턴, 결함크기를 달리 하며 총 45개의 시편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여 파손강도와 파손모드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형상의 시편에 대한 시험 결과, 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리 후의 체결부가 결함이 없는 체결부 강도 이상의 강도를 회복하며, 체결부 인자에 따른 특별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파손강도가 낮게 나타난 한 경우에 대한 파손면 분석결과 모재의 표면층인 평직층의 표면처리가 충분치 않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 결과의 분석을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는데, 유한요소해석에서도 고려한 체결부 인자가 상하부 모재와 패치, 접착층에서의 응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일겹침 체결부의 경우 외부 인장하중이 겹침영역을 통과하면서 상하부 모재로 분산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과 해석 결과 모재 중앙에 결함이 존재하는 단일겹침 체결부의 경우 절차에 따라 패치 접착이 이루어지고, 모재의 표면처리가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수리를 통해 손상 전 강도를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