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taneous Measurements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5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을 동반한 양악 수술 시 중안면 연조직 형태의 변화 (Soft tissue change of the midface in skeletal class III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 정종현;김성식;손우성;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3-94
    • /
    • 2008
  • 본 연구는 중안면 함몰이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중안면의 형태를 정상 표본과 비교하고, 악교정수술에 의하여 연조직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 받고 상악 전진술과 하악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 34명(남자:15명, 여자:19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분석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중안면의 경조직 계측치 S'-Or, Or${\bot}$NA, S'Or/SN, ${\angle}$SNOr에서 남녀모두에서 정상 교합자와 큰 차이가 있었다. 상악골이 평균 5.03 mm 전방이동 될 때 연조직 Orbitale는 2.26 mm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상관계수는 0.599였다 (p<0.05). 상악 평면각의 변화(시계방향으로 회전)와 상악골의 수직이동은 연조직 Orbitale의 전방이동과 유의성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상악골 전방이동에 대한 연조직 Orbitale와 Subnasale의 전방이동 비율은 각각 43.57%, 81.54%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중안면 함몰이 있는 환자는 상악골 전방이동시 상순과 비부 외에도 연조직 Orbitale를 포함한 중안면 연조직이 전방으로 이동하지만, 상악골의 회전이동 및 수직이동에 대해서는 연조직의 변화량이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악골의 수술에 따른 중안면 함몰의 해소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First Photometric Study of NSVS 1461538: A New W-subtype Contact Binary with a Low Mass Ratio and Moderate Fill-out Factor

  • Kim, Hyoun-Woo;Kim, Chun-Hwey;Song, Mi-Hwa;Jeong, Min-Ji;Kim, Hye-You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3권3호
    • /
    • pp.185-196
    • /
    • 2016
  • New multiband BVRI light curves of NSVS 1461538 were obtained as a byproduct during the photometric observations of our program star PV Cas for three years from 2011 to 2013. The light curves indicat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W-subtype W UMa eclipsing system, displaying a flat bottom at primary eclipse and the O'Connell effect, rather than those of an Algol/b Lyrae eclipsing variable classified by the northern sky variability survey (NSVS). A total of 35 times of minimum lights were determined from our observations (20 timings) and the SuperWASP measurements (15 ones). A period study with all the timings shows that the orbital period may vary in a sinusoidal manner with a period of about 5.6 yr and a small semi-amplitude of about 0.008 day. The cyclical period vari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light-time effect due to a tertiary body with a minimum mass of 0.71 M.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multiband light curves using the 2003 version of the Wilson-Devinney binary model shows that NSVS 1461538 is a genuine W-subtype W UMa contact binary with the hotter primary component being less massive and the system shows a low mass ratio of q(mc/mh)=3.51, a high orbital inclination of 88.7°, a moderate fill-out factor of 30 %,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of ΔT=412 K. The O'Connell effect can be similarly explained by cool spots on either the hotter primary star or the cool secondary star. A small third-light corresponding to about 5 % and 2 % of the total systemic light in the B and V bandpasses, respectively, supports the third-body hypothesis proposed by the period study. Preliminary absolute dimensions of the system were derived and used to look into its evolutionary status with other W UMa binaries in the mass-radius and mass-luminosity diagrams. A possible evolution scenario of the system was also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mass vs mass ratio diagram.

석유화학공장 대정비 작업 근로자의 벤젠 노출과 요중 trans, trans-muconic acid 배설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Benzene and the Excretion of Urinary Trans, Trans-muconic Acid in Petrochemical Factory Turnaround Process Workers)

  • 이승민;원종욱;김치년;노재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2-58
    • /
    • 2014
  • Objectives: Using laborers participating in the petrochemical factory turnaround process as subjec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xposure to benzene in the air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and the excretion of urinary metabolites by measuring concentrations of urinary trans, trans-muconic acid (t,t-MA). Methods: A passive sampler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benzene in the air. In order to analyze urinary metabolites, the urine of laborers participating in the turnaround process was collected twice daily, both before and after work.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 factors and lifestyle habits as factors affecting the concentration of urinary metabolites. Results: During the survey period, benzene was detected in the samples from all workers, and its average concentration was $0.16{\pm}0.22ppm$.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t-MA after work was $1.20{\pm}1.86mg/g$ creatinin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urinary metabolites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03).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r=0.52, p=0.002) between benzene in the air and the concentration of after-work urinary t,t-MA. Conclusions: During the turnaround process, the average benzene concentration in workers was $0.16{\pm}0.22ppm$, which was below the exposure limit. However, their average t,t-MA concentration was $1.20{\pm}1.86mg/g$ creatinine, which exceeded the exposure limit of 1mg/g creatinine. The characteristics of turnaround process work require considerations such as underestimating the passive sampler being used and the skin absorption of benzene, and there needs to be a simultaneous assessment of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s and biological monitoring.

토노(Tono) 화강암의 변형 및 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Deformation and Failure Behavior of Tono Granite)

  • 최정해;채병곤
    • 지질공학
    • /
    • 제22권2호
    • /
    • pp.173-1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응력완화실험을 통한 포화상태에서의 토노(Tono) 화강암의 표면변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서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다초첨 레이져 스캔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으로 관찰이 가능하고 변위 및 응력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장치를 고안하였다. 광물내의 변형 및 광물경계부에서의 변형은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응력완화실험 중에는 광물 내부와 광물 경계부 모두에서 활발한 변형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가해지는 응력이 높아질수록 더욱 커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의 결과는 광물내의 변화보다는 압축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광물경계부에서의 변화가 더욱 크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도식화시켜 표현해보면 화강암 내부에서 광물 경계부의 변형이 광물 내부의 변형보다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이는 흑운모와 석영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인된다고 사료된다. 즉 석영은 안정된 구체를 보이는 반면에 흑운모는 층상형태로 약한 결합구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자동연속측정시스템 개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서울 대기 중 PM2.5의 화학적 조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Automated and Continuous Analysis System for PM2.5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PM2.5 in the Atmosphere at Seoul)

  • 이보경;김영훈;하재윤;이동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9-458
    • /
    • 2005
  • An automated analysis system for water soluble constituents in $PM_{2.5}$ has been developed. The system consists of a high capacity multi tube diffusion scrubber (MTDS), a low temperature particle impactor (LTPI), and two ion (anion and cation) chromatography (IC) systems. Atmospheric particles have been collected by passing sample air through a thermostated MTDS followed by a LTPI. This system allows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soluble ions in $PM_{2.5}$ at 30 minutes interval. At the air sampling flow rate of 1.0L/min, the detection limits of the overall system are in the order of tens of $ng/m^3$. This system has been successfully used for the measurement of particulate components of Seoul air from April 2003 to January 2004. $SO_4^{2-},\;NO_3^-,\;NH_4^+,\;NO_2^-,\;Cl^-,\;Na^+,\;K^+,\;Ca^{2+},\;and\;Mg^{2+}$ are the major ionic species for $PM_{2.5}$ at Seoul. Among them, $SO_4^{2-},\;NO_3^-\;and\;NH_4^+$ are the most abundant ions, contributed up to $86\%$ of the total and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in any other urban sites in the world except for Chinese cities. There are high pollutant episodes which contribute about $15\~20\%$ of annual average values of the major ions. During the episode, the all parcels were transported from the asian continent and $PM_{2.5}$ were significantly neutralized. This suggests that aged and long range transported pollutants caused the high pollutant episodes. They showed a distinct daily and seasonal variations:they showed a peak in the early morning caused by the night-time accumulation of particulate matters. Atmospheric reactions including gas-to-particle reactions and inter-particle reactions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relative humidity and ambient temperature were described with related to the $PM_{2.5}$ 5 concentrations. All of the ionic species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during the spring than those for summer and winter.

급성 중독환자에서 삼투압 계산식으로 추정된 에탄올 농도의 유효성 검증 (Discrepancies and Validation of Ethanol Level Determination with Osmolar Gap Formula in Patients with Suspected Acute Poisoning)

  • 정해원;이미진;조재완;안재윤;김창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7-57
    • /
    • 2019
  • Purpose: Osmolar gap (OG) has been used for decades to screen for toxic alcohol levels. However, its reliability may vary due to several reasons. We validated the estimated ethanol concentration formula for patients with suspected poisoning and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We examined discrepancies in the ethanol level and patient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is formula when it was used to screen for intoxication due to toxic levels of alcohol.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53 emergency department cases to determine the measured levels of toxic ethanol ingestion and we calculated alcohol ingestion using a formula based on serum osmolality. Those patients who were subjected to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osmolality, sodium, urea, glucose, and ethano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with exposure to other toxic alcohols (methanol, ethylene glycol, or isopropanol) or poisons that affect osmolality were excluded. OG (the measured-calculated serum osmolality) was used to determine the calculated ethanol concentration. Results: Among the 153 included cases, 114 had normal OGs (OG≤14 mOsm/kg), and 39 cases had elevated OGs (OG>14).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nd estimated (calculated ethanol using OG) ethanol concentration was -9.8 mg/dL. The 95% limits of agreement were -121.1 and 101.5 mg/dL,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was 0.7037. For the four subgroups stratified by comorbidities and poison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 were 0.692, 0.588, 0.835, and 0.412, respectively, and the mean differences in measurement between the measured and calculated ethanol levels were -2.4 mg/dL, -48.8 mg/dL, 9.4 mg/dL, and -4.7 mg/dL, respectively. The equation plots had wide limits of agreement. Conclusion: We found that there we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OGs and the calculated ethanol concentrations. Addition of a correction factor for unmeasured osmoles to the equation of the calculated serum osmolality would help mitigate these discrepancies.

DEA를 활용한 국내 사립대학 운영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Operation Efficiency in Private University Using the DEA)

  • 배영민;한승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7-75
    • /
    • 2021
  •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입학자원의 감소와 교육의 질에 대처하기 위한 대학구조개혁 및 조정은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내 고등교육 시장에서 관심을 많이 받고있는 정책은 대학구조개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사립대학의 자원입력과 성과 관점에서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DEA 기법을 적용하여 사립대학 운영 효율성을 측정하고 평가결과를 2018년 대학기본 역량진단 실제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용적 사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한다. 연구분석에 사용되는 입력 및 산출변수는 대학알리미 공지자료를 이용하였다. 운영 효율성 분석결과, 25개 DMU 중에서 BCC 모델의 경우 48% (12개 대학)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개선대학이 아닌 역량강화 대학들 중(中) 일부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DEA 분석결과를 통하여 비효율적인 집단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여러 입·출력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잉여, 부족값을 확인 할 수 있는 DEA-Additive 모델을 통해 사립대학의 상대적 효율성을 확인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각 대학 입·출력요소에 관한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 활용을 적용하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현장 월파계측을 위한 규칙파 조건에서 직립식 호안의 월파량 추정에 관한 모형실험 (Physical Model Experiment for Estimating Wave Overtopping on a Vertical Seawall under Regular Wave Conditions for On-Site Measurements)

  • 유동훈;이영찬;김도삼;이광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75-83
    • /
    • 2023
  • 월파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 마루높이의 증가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대책과 더불어 호안의 배후지역에 월파에 대한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전달하여 피난 및 통행을 규제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재 대책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월파 정보 제공을 위한 현장 월파계측 시스템을 목표로 구조물의 마루높이를 초과하는 월파고의 시간변동을 이용하여 월파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직립식 호안구조물을 대상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파랑 조건 및 구조물의 여유 마루높이에 따른 월파량 및 월파고를 계측하였다. 월파 발생시 구조물의 마루에서 발생하는 침수유속을 장파유속으로 가정한 월파유량계수를 도입하고 월파고의 시간변동으로부터 월파량을 추정하여 실험결과와 비교·검토하였다. 월파유량계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경우 월파고만으로 월파량 추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혈중 산소 포화도의 정확한 공간 매핑을 위한 다중 파장 LED 단일소자를 활용한 이미징 시스템 설계 (A Simple Design of an Imaging System for Accurate Spatial Mapping of Blood Oxygen Saturation Using a Single Element of Multi-wavelength LED)

  • 김준환;유기연;송예은;유찬영;장윤채;무하마드 리아즈;케이 뜨웨 툰;아메드 알리;최승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450-464
    • /
    • 2023
  • Pulse oximetry, a non-invasive technique for evaluating blood oxygen saturation, conventionally depends on isolated measurements, rendering it vulnerable to factors like illumination profile, spatial blood flow fluctuations, and skin pigmentation. Previous efforts to address these issues through imaging systems often employed red and near-infrared illuminations with distinct profiles, leading to inconsistent ratios of transmitted light and the potential for errors in calculating spatial oxygen saturation distributions. While an integrating sphere was recently utilized as an illumination source to achieve uniform red and near-infrared illumination profiles on the sample surface, its bulkiness presented practical challenges. In this work, we have enhanced the pulse oximetry imaging system by transitioning illumination from an integrating sphere to a multi-wavelength LED configuration. This adjustment ensures simultaneous emission of red and near-infrared light from the same position, creating a homogeneous illumination profile on the sample surface. This approach guarantees consistent patterns of red and near-infrared illuminations that are spatially uniform. The sustained ratio between transmitted red and near-infrared light across space enables precise calcul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xygen saturation, making our pulse oximetry imaging system more compact and portable without compromising accuracy. Our work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obtaining spatial information on blood oxygen saturation,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tissue oxygenation in peripheral regions.

$^{18}F$-FDG를 이용한 전신 PET 검사에서 혈당 측정 검사지의 정확한 사용에 따른 혈당 수치의 차이 분석 (The Analysis of Blood Glucose Leve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act Use of Blood Glucose Measurement Test Strips in $^{18}F$-FDG Wholebody PET)

  • 박순기;이남기;남궁창경;정우영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00-103
    • /
    • 2010
  • $^{18}F$-FDG PET 검사는 포도당 대사를 이용하여 전신의 종양을 평가하는 검사로 전처치 과정에서 혈당 측정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 혈당 수치가 높은 상태에서 FDG를 투여하면 FDG와 혈중 포도당이 세포 내 흡수에 서로 경쟁하게 되고 종양으로의 FDG 섭취가 감소되어 정확한 검사가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혈당 측정에 사용되는 혈당 측정 검사지는 경우에 따라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와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을 모두 측정 가능한 범용 측정 검사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정확한 혈당 측정 검사지(스트립)의 사용에 따른 혈당 수치의 차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0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 $^{18}F$-FDG whole body PET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46명(남자: 32명, 여자: 14명, 평균연령 $57.3{\pm}12.3$세) 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기기는 Abbott사의 Optium Xceed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였고,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을 모두 측정 가능한 범용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여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여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MINITAB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검정을 시행하였다.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을 모두 측정 가능한 범용 측정 검사지로 측정한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는 각각$95.2{\pm}12.4$ mg/dL, $104.1{\pm}14.4$ mg/dL (t=8.0,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로 측정한 동일 환자의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는 각각 $91.5{\pm}13.6$ mg/dL, $108.1{\pm}16.2$ mg/dL (t=9.2,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모세혈관혈과 정맥혈의 혈당 수치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본 연구의 결과도 유사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18}F$-FDG PET 검사 전에 혈당 수치를 측정할 때 모세혈관혈 전용 측정 검사지로 정맥혈의 혈당을 측정하는 것은 부정확한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적합한 측정 검사지와 규정된 측정절차를 이행하는 것이 측정 편차를 줄일 수 있어 PET 검사의 전처치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혈당 측정 시에 혈액 채취 부위를 모세혈관 또는 정맥혈관 중에서 항상 동일한 부위에서 측정하는 등의 표준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