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ated Landsat T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다시기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소유역의 토지이용변화분석 (A Study on the Land-Use Changes on the Balan Water sheds Using the Multi-temperature Landsat TM Images)

  • 강문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473-478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detect and evaluate the land use and changes on the Balan Watersheds, located southwest of Suwon, using the Thematic Mapper(TM) data. Three sests of TM taken in 1985 , 1993 and 1996 were used and the changes in the land use analyzed and compared. The suupervised and unsuperivised classification methods were adoppted to classify five land-cover categories ; Paddy , upland , forest , residential , and water. Future ladn use patterns were simulated using a Markow chain method, and the change ratios presented.

  • PDF

대기보정된 Landsat TM 영상으로부터 모의영상 제작 (Generation of Simulated Image from Atmospheric Corrected Landsat TM Images)

  • 이수봉;라푸히엔;어양담;편무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9
    • /
    • 2015
  • 원격탐사영상의 기상조건과 계절에 따른 모의는 영상 전처리 단계 중 대기보정 알고리즘의 역방향 구현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용 원격탐사영상처리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대기보정기능으로 보정된 Landsat영상을 특정기상조건이 고려된 대기보정 이전 상태로 모의하는 방법을 실험하였다. 실험에 적용한 방법은 Forster 알고리즘(1984)과 6S RTM (Radiative Transfer Model) 이고, 모의된 결과영상을 특정기상조건의 원영상과 비교하여 일치성을 분석하였다. 6S RTM을 적용한 결과가 Forster 알고리즘보다 일치성이 높았고, 결과연구대상지역 영상으로 모의영상을 제작한 결과, 원영상과의 평균 RMSE of DN difference가 9.35이고, 평균 $R^2$는 0.7이였다. 결과적으로 참조 영상과 계절이 동일하고 시기가 유사한 모의영상 생성 시 실용적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The Generation of SPOT True Color Image Using Neural Network Algorithm

  • Chen, Chi-Farn;Huang, Chih-Y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40-942
    • /
    • 2003
  • In an attempt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of SPOT image, this study develops a neural network algorithm to transform SPOT false color into simulated true color. The method has been tested using Landsat TM and SPOT image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arisons indicate that the striking similarity can be found between the true and simulated true images in terms of the visual look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 PDF

Landsat Images Applied for Analyzing Spatial Flow and Water Quality Patterns in a Korea Estuary Dam

  • Park, S.W.;Torii, K.;Aoyama, S.;Cho, B. J.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239-1241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Landsat-TM imagery applications for detecting spatial variations of the water environments in the Saemankeum (STLR) project areas. The simulated tidal flow patterns from a two -dimensional hydro - dynamic model and water quality data from STRL project were used for relationships with the satellite data.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the tidal water body reflects the overall flow patterns at a flooding tide. Regressive equations for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derived and used for supervised classifications.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useful to synoptically evaluate the water environments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s of the STLR project.

  • PDF

수질 매개변수 추정에 있어서 항공 초분광영상의 가용성 고찰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availability to estimate inland water quality parameter)

  • 김태우;신한섭;서용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73
    • /
    • 2014
  • 본 연구는 항공 초분광영상을 사용한 수질추정 활용을 검토하고 한강일부분에 대해 가용한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초분광영상 기반의 수질추정을 테스트하였다. 원격탐사에 의한 수질추정은 수체에 대한 downwelling과 수체 내에서의 산란과 반사에 대한 관측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원격탐사 센서에 도달하는 upwelling과 수질측정정보와의 선형적 회귀분석을 구하는 방법이 선호된다. 두 방법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지만 수질정보나 산란정보 등 추정에 필요한 보조자료에 의한 영향이 더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질 추정 테스트는 팔당댐 하류에 위치한 한강의 일부분에 대해서 적용되었다. AISA eagle 초분광센서로 취득된 자료와 수질관측정보를 선형적 회귀분석을 통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기존 문헌에서 제시된 밴드조합에 대해서 회귀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밴드조합으로 $-24.847+0.013L_{560}$의 회귀식을 얻었다 ($L_{560}$은 560 nm 파장에서의 radiance로 $R^2$=0.985).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했을 경우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 spectral resampling을 통해 Landsat TM 영상을 생성하여 -55.932 + 33.881(TM, TM3)의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다(TM, TM3는 radiance로, $R^2$=0.968). 부유물질 농도는 수질측정지점에서 약 3.75 mg/l 이고, 초분광영상으로 추정된 농도는 약 3.65 mg/l, 시뮬레이션된 TM은 약 5.85 mg/l 로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했을 경우 과대 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공 초분광영상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보다 정밀한 값을 추정하기 위해서 영상 전반에 걸친 sun glint 와 같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태양고도각을 고려하여 정교한 비행계획을 구성하고 체계적 전처리와 검 보정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적용된 방법에 따른 테스트로, 대기보정의 정밀성과 부족한 수질측정 샘플자료, 분광밴드의 검색, 적합한 선형회귀모델의 선택, 그리고 정량적 검증방법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과 제약사항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RS와 GIS-AGNPS 모형을 이용한 소유역에서의 비점원오염부하량 추정 (Estimating Pollutant Loading Using Remote Sensing and GIS-AGNPS model)

  • 강문성;박승우;전종안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02-114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e paper are to evaluate cell based pollutant loadings for different storm events, to monitor the hydrology and water quality of the Baran HP#6 watershed, and to validate AGNPS with the field data. Simplification was made to AGNPS in estimating storm erosivity factors from a triangular rainfall distribution. GIS-AGNPS interface model consists of three subsystems; the input data processor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models. and the post processor Land use patten at the tested watershed was classified from the Landsat TM data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at adopts an error back propagation algorithm. AGNPS mode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GIS databases, and additional parameters calibrated with field data. It was then tested with ungauged conditions. The simulated runoff was reasonably in good agreement 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And simulated water quality parameters appear to be reasonably comparable to the field data.

Characteristics of Multi-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s for the Extraction of Urban Environmental Information

  • Seo, Dong-Jo;Park, Chong-Hwa;Tateishi, Ryutar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18-224
    • /
    • 1998
  •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obtained from three typical vegetation indices of eight levels of multi-spatial resolution images in urban areas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optimum spatial resolution in terms of maintaining information quality. These multi-spatial resolution images were prepared by degrading 1 meter simulated, 16 meter ADEOS/AVNIR, and 30 meter Landsat-TM image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Perpendicular Vegetation Index (PVI) and Soil Adjusted Ratio Vegetation Index (SARVI) were applied to reduce data redundancy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spatial resolution image of vegetation indices. The threshold point on the curve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defined as the optimum resolution level for the analysis with multi-spatial resolution image sets. Also, the results from the image segmentation approach of region growing to extract man-made features were compared with these multi-spatial resolution image sets.

  • PDF

WMS HEC-1 모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경년 수문변화 분석 (Assessment of Hydrological Impact by Long-Term Land Cover Change using WMS HEC-1 Model in Gyeongan-cheon Watershed)

  • 이준우;권형중;신사철;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7-118
    • /
    • 2003
  • 본 연구는 경안천 유역($558.2km^2$)을 대상으로 WMS의 HEC-1 모형을 이용하여 1980년~2000년 동안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수문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지피복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시기의 Landsat MSS(1980/2/15) 및 TM 위성영상(1986/4/15, 1990/4/26, 1996/4/26, 2000/5/17)을 이용하여 최대우도법을 실시하였다. 총 유역면적에 대하여 도시지역의 면적은 약 5.6% 증가하였으나, 산림지역은 6.1% 감소하였으며 SCS CN은 9.8 증가하였다. 모형의 매개변수 결정을 위하여 5개의 홍수사상(1998/5/2, 1998/8/23, 1998/9/30, 1999/5/3, 2000/7/29)을 대상으로 검 보정을 실시하였는바, 유출고에 있어 9~36%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30년 빈도의 일 최대강우 254mm를 적용하여 경년 수문변화를 분석한 결과 1986년~2000년 동안 첨두유출시간은 약 4시간 감소하였으며, 첨두유량은 $455m^3/sec$가 증가하였다.

  • PDF

홍수범람도 불확실성 해석을 위한 인공위성사진의 활용 (The Use of Satellite Image for Uncertainty Analysis in Flood Inundation Mapping)

  • 정영훈;류광현;이충성;이승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549-557
    • /
    • 2013
  • 정밀한 홍수 범람도는 홍수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의사 결정자나 설계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홍수 범람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확실하게 정의되거나 측정되지 않은 조도계수와 수위유량관계식으로부터 얻은 유량은 불확실성을 일으키는 핵심 요인들이다. 또한, 홍수 범람도에 대한 불확실성 해석을 위해서는 관측 자료가 필요한데, 홍수 범람의 관측 자료는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리모형과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조도계수와 유량이 홍수범람도 제작에서 일으키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미국 Illinois주 Metropolis시 주위의 Ohio 강에 대하여 HEC-RAS과 지형분석을 이용하여 홍수 범람를 모의하고 ISODATA(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분류 방법으로 Landsat 5TM 위성 영상으로부터 수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수체는 GLUE(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에서 우도측정(F-통계량)을 계산하는데 관측 자료로 이용되었다. GLUE는 누적확률 5 %와 95 %에 각각 해당하는 74.59 $km^2$와 151.95 $km^2$의 홍수범람면적을 산정했다. 홍수 범람도 구축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것은 효율적인 홍수방어 계획을 실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 사료된다.

물 환경 건전화를 위한 도시하천의 물 순환 모의 (II) - 도림천 유역 - (Hydrologic Cycle Simulation of Urban River for Rehabilitation of Water Environment (II) - Dorimcheon Basin -)

  • 이상호;이정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15-823
    • /
    • 2006
  • The hydrologic cycle in urban catchmen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expansion of impervious area by rapid urban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SWMM 5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5)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hydrologic cycle of the Dorimcheon catchment which suffers from the distorted hydrologic cycle as a typical urban catchment. This study compare continuous simulation of urban runoff combining the channel and sewer system with that of channel only in the Dorimcheon catchment. Continuous simulations of urban runoff were performed for the upstream basin of Dorim bridge. The urban impervious regions were processed by the land use analysis from LANDSAT_TM images. It was performed from 1975 to 2000 for every five years. Surface, groundwater and wastewater runoffs wer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imulations one at a time. Such simulations made it possible to evaluate those components quantitatively. The result of continuous simulation of urban runoff combining the channel and sewer system is that peak flow and recession are well simulated. The analysis results of urbanization effect on runoff are as follows: the surface runoff in 2000 increases to 64% of the whole precipitation whereas the surface runoff in 1975 amounts to 46% of the precipitation; the groundwater runoff in 2000 amounts to 6% and shows 8% decrease during the period from 1975 to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