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urus asotus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산 메기 (Silurus asotus)의 말초혈액 백혈구의 분류 (Studies on classification of Korean catfish (Silurus asotus) peripheral leucocytes)

  • 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5
    • /
    • 1995
  • 한국산 메기 (Silurus asotus) 의 말초혈액중의 백혈구를 May-Grunwald Gimesa 염색에 의한 형태학적 특성과 Peroxidase, Alkaline phosphatase, Acid phosphatase, PAS 반응에 의한 세포 화학적 성상 및 Escherichia coli 포르말린 사균에 대한 식작용의 유무에 따라 분류하여 각 혈구의 조성을 산출하였다. 말초혈액중의 백혈구는 호중구, 단구, 림프구 및 전구의 4 종으로 구분 되어졌다. 호중구는 직경 $12\sim15{\mu}m$의 원형의 세포로, 핵은 대부분이 원형, 난형 또는 2-3개의 분엽핵상으로 호중성의 세포질내에 편재되어 있었고, Peroxidase 와 PAS 반응에는 양성, Alkaline phosphatase 와 Acid phosphatase 반응은 음성이었으며 식작용을 표시하였다. 단구는 직경 $12\sim15{\mu}m$의 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의 세포로 핵은 완두콩 또는 불규칙한 모양으로 모든 세포화학 반응에 음성이었지만, 식작용을 나타냈다. 림프구는 직경 $5.5\sim8.0{\mu}m$의 원형으로 핵이 세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모든 세포화학 반응과 식작용은 음성이었다. 전구는 $5.8\sim7.2{\times}7.2\sim14.4{\mu}m$의 난원형 또는 방추형의 세포로 핵은 세포의 형태에 동일하였으며, 모든 세포화학반응과 탐식능이 음성이었다. 말초혈액중의 각 혈구와 조성은 림프구가 제일 많고 다음이 전구, 호중구, 단구의 순으로 많았다.

  • PDF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외부형태 및 체 절단면 변화 (The effect of starv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metric measurement and body-sectioned shape i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박인석;구인본;길현우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55-67
    • /
    • 2021
  • 메기(Silurus asotus)를 대상으로 210일간 기아 시 계측형질 및 체 절단면 형질을 측정하여 그 기아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이군의 생존율은 92.2±0.47%였으며, 기아군에서는 74.4±2.59%의 생존율을 보였다. Ls, DALPO/Ls, DADOP/Ls, ED/Ls, CH/Ls, BDAA/Ls, BDMA/Ls 및 BWAA/Ls의 8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다른 16개 항목 DALAD/Ls, DPDPL/Ls, HPLAA/Ls, HALAV/Ls, HALOP/Ls, DAUPO/Ls, DADAV/Ls, DADAA/Ls, Max BL/Ls, Man BL/Ls, LD/Ls, HWOP/Ls, DAUF/HL, DAUS/HL, IW/HL 및 DAUE/HL에서는 초기군, 섭이군 및 기아군의 세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섭이군은 각 체 절단면에서 기아군보다 더 높은 전체 높이(THX), 더 넓은 너비(WX) 및 더 넓은 면적(AX)을 보였다. 본 연구는 메기의 기아 상태에 대한 외형 및 체 절단면 형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메기에 대한 먹이 조절에 대한 방법을 보조하고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분석 방법을 타 어종에서 적용 시 그 영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백색증 메기 Silurus asotus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f Oculocutaneous Albinism in Korea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박종영;오민기;윤승운;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0-105
    • /
    • 2009
  • 자원조성을 위한 방류용 메기 종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전신성백색증 메기와 정상 메기의 눈, 부속지(수염, 등지느러미), 피부(등, 배, 체측)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외부형태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체색에 있어서 정상 메기가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띤 반면, 백색증 메기는 흰색 바탕에 노란색이 부분적으로 섞여 있었으며 눈은 붉은 색, 수염은 흰색을 보였다. 조사한 각 피부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는 정상 메기와 백색증 메기 간에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멜라닌 색소의 분포에 있어서 정상 메기의 경우, 망막의 색소상피층과 피부의 기저층에 길게 이어져 있던 색소세포층이 백색증 개체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백색증 메기는 $i^1/i^1$ 유형의 전신성백색증에 해당되었다.

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의 질병에 관한 연구 III. Edwardsiella ictaluri 감염증 (Studies on disease of catfish, Silurus asotus, in Korea. III. Edwardsiella ictaluri infection.)

  • 박성우;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5-112
    • /
    • 1994
  • 1993년 전북도 관내에서 순환여과식으로 사육중인 한국산 메기에 세균성 질병이 발생하여, 이 질병에 의한 폐사율이 4개월 동안에 30%에 달하였다. 병어는 양어지의 가장자리에서 두부를 위로 한채 힘없이 물표면을 헤엄치거나 때로는 회전 발광유영을 하는 개체가 많았다. 외견상 특정적인 증상은 두부와 가슴지느러미의 기부에 궤양 병소가 형성되거나 아랫턱 주변의 출혈을 주증상으로 하고 있었다. 병어의 뇌, 신장, 비장 및 간장으로부터 원인균을 분리하여 생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바, Edwardsiella ictaluri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을 한국산 메기, 차넬메기 및 잉어에 복강주사하여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한국산 메기와 차넬메기에는 병원성이 있었지만, 잉어에 대한 병원성은 없었다.

  • PDF

바이오플락과 유수식 시스템에서 메기(Silurus asotus) 배합사료내 단백질 함량에 따른 성장도 및 수질 비교 연구 (Comparison of Dietary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of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and Water Quality in Biofloc Technology and Flow-through Systems)

  • 정해승;박준성;김형수;이동길;황주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41-548
    • /
    • 2022
  • Biofloc technology (BFT) systems provides an additional protein source for fish by converting waste in microbial flocs. Therefore, we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protein levels of the diet of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reared in BFT and FW systems. We applied a two-way (six protein levels × two aquaculture systems) ANOVA design. We formulated six experimental diets to contain different protein levels (CPs)- 20%, 25%, 30%, 35%, 40% and 45%-referred to as the CP20, CP25, CP30, CP35, CP40 and CP45 diets, respectively. We randomly distributed 900 fish into 36 (18 each for BFT and FW), 300 L tanks (25 fish/tank) with three replications of each diet for 4 weeks. The weight gain (WG)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considerably improved as the dietary protein level increased in the formulated diets. The BFT fish showed higher growth performance with any experimental diet than the FW fish.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fish fed the BFT-CP35 die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the FW-CP45 diet. In conclusion, the cultivation of Far Eastern catfish (S. asotus) in BFTs can be carried out under reduced dietary protein levels.

양식 메기에서의 Ergasilus sieboldi Nordmann, 1832 기생증 1례 (The first case report on Ergasilus sieboldi Nordmann, 1832(Copepoda, Ergasilidae) infection in an aquacultured Shiures asotus in Korea)

  • 김영길;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3
    • /
    • 1996
  • 1995년 7월 18일 충남 소재 메기양어장에서 사육중인 전장 7~10cm의 메기(Silurus asotus)치어의 아가미에서 기생성 요각류인 Ergasilus sieboldi가 검출되었다(Fig. 1, 2). 이 충이 기생된 병어는 특이한 외부 증상은 없었지만, 양어장 가장자리 표면에 떠서 힘없이 유영하고 있었다. 검출된 Ergasilus sieboldi는 길이가 1.05 mm인 난낭 2개 와 1쌍의 갈쿠리 모야을 한 제 2촉각을 갖고 있었으며, 충체의 체장은 1.07 mm 였다. 이 충에 관해서 Bychowsky(1968)는 연어과, 농어과, 잉어과, 메기과 등의 어류 아가미에 기생하며, 지역적으로는 발틱해, 흑해, 카스피해, 일본해 수역, 시베리아 하천, 바이칼호에 분포한다고 하였다. 또 다수가 기생한 병어는 야위고 성장이 느리거나 폐사하는데, 병어의 새변상피에 부착하여 호흡에 장해를 주므로서 어체에 큰 피해를 준다고 하였다. 본 충의 기생 예는 국내의 양식 메기에서 검출한 케이스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