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의 질병에 관한 연구 III. Edwardsiella ictaluri 감염증

Studies on disease of catfish, Silurus asotus, in Korea. III. Edwardsiella ictaluri infection.

  • 박성우 (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 ;
  • 김영길 (군산대학교 수족병리학과)
  • Park, Sung-Woo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Colleg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Gill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Colleg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4.12.30

초록

1993년 전북도 관내에서 순환여과식으로 사육중인 한국산 메기에 세균성 질병이 발생하여, 이 질병에 의한 폐사율이 4개월 동안에 30%에 달하였다. 병어는 양어지의 가장자리에서 두부를 위로 한채 힘없이 물표면을 헤엄치거나 때로는 회전 발광유영을 하는 개체가 많았다. 외견상 특정적인 증상은 두부와 가슴지느러미의 기부에 궤양 병소가 형성되거나 아랫턱 주변의 출혈을 주증상으로 하고 있었다. 병어의 뇌, 신장, 비장 및 간장으로부터 원인균을 분리하여 생화학적 특성과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바, Edwardsiella ictaluri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을 한국산 메기, 차넬메기 및 잉어에 복강주사하여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한국산 메기와 차넬메기에는 병원성이 있었지만, 잉어에 대한 병원성은 없었다.

A new bacterial infection occurred among the cultured Korean catfish, Silurus asotus, in Chunbuk prefecture, Korea, 1993. This disease produced about 30% mortality in the fish for 4 months. The diseased fish was swimming listless at the water surface with head up and tail down, sometimes spinnig in circles. The most outstanding clinical sign was ulceration on the skull and at the base of the pectoral fins. The causative organism was isolated from the brain, kidney, spleen and liver of diseased fish, and identified as Edwardsiella icaluri by th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characteristics. After intraperitoneal innoculaton of the isolate, the pathogenicity was proved positive for Korean catfish, S. asotus, and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but negative for carp, Cyprinus carpio.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