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ty soils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1초

황사와 몽골 남부 기반암의 광물학적 비교 (Mineralogical Comparison between Asian Dust and Bedrock in Southern Mongolia)

  • 정기영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4호
    • /
    • pp.397-407
    • /
    • 2022
  • 황사 구성 광물의 지질학적 근원을 추적하기 위해, 발원지인 몽골 남부 고비사막 기반암의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황사 발원지 기반암은 고생대 화산암 및 화산쇄설성 퇴적암, 고생대 화강암류, 중생대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생대 화산암 및 퇴적암은 매우 치밀하게 고화 및 변형되어 산지를 형성하며,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은 고생대 화산암 및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산맥 사이의 분지를 충전한다. 고생대층 암석은 녹니석과 사장석 함량이 높고, 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을 받았다. 중생대 퇴적암층은 녹니석이 드물고, 스멕타이트,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 카올리나이트 등의 점토광물이 풍부하다. 고생대 화강암류에는 각섬석과 흑운모가 특징적으로 함유되어 있다. 발원지 기반암의 광물학적 특성과 비교하면, 황사는 고생대층과 중생대층 기원 쇄설물의 혼합물이나, 중생대 퇴적암에 더 가깝다. 점토 함량이 높고, 덜 고화된 중생대 퇴적암류는 잘 부스러져 침식되기 쉬운 실트질 표토가 되어 황사 광물 구성에 기여한다.

Soil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communities at Korean national parks: focusing on Sobaeksan, Deogyusan, Jirisan National Parks

  • Chang Min Lee;Sang Jin Lee;Gwan Soo Park;Hyoun Sook Kim;Hong Chul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215-22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i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Abies koreana community, which is currently showing a continuous decline in its size,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management and creation of a conservation plan for the Abies koreana communities at the Korean national parks of Sobaeksan, Deogyusan, and Jirisan. Soil depth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t depths deeper than 40 cm into the B horizon at most study sites, except for the Dwaejipyeongjeon and Byeoksoryeong sites. The soil water content exceeded 30% on average, and these soils showed low bulk density levels. The soil texture was found to be the loamy or silty loam type at most study sites. It was also found in a chemical characteristic assessment that the soil samples contained more than 10% organic matter at most study sites.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nd total N concentration levels were also high at most study sites. However, the soil showed low exchangeable K+, Na+, Ca2+, and Mg2+ levels at most study sites. Finally, the pH values were 4.90, 4.53, and 4.60 at soil depths of 10 cm at the Sobaeksan, Deogyusan and Jirisan sites, respectively, outcomes that are notably lower than the average levels in soil from Korean forest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cold and wet climate of these subalpine regions given the reduced leaf-litter decomposition rate and accumulation of organic acids.

논토양에서 질소비종 및 벼 재배양식이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s and Cultural Patterns on Methane Emission From Rice Paddy Fields)

  • 고지연;강항원;강위금;박향미;임동규;박경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7-233
    • /
    • 1998
  • 논토양에서 질소비종 및 재배양식에 따른 메탄배출양상과 질소비종이 담수토양의 pH와 E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중묘이앙재배에서 질소비종에 따른 메탄배출총량은 요소 32.9g $m^{-2}$ > 유안 30.3 > 완효성비료 26.4g $m^{-2}$의 순이었으며, 건답직파재배에서는 요소 24.7g $m^{-2}$ > 유안 16.7g $m^{-2}$ > 완효성비료 22.8g $m^{-2}$의 순이었다. 2. 질소비종에 따른 메탄배출량은 요소시비구보다 유안은 18.4%, 안효성비료는 15.9% 저감되었다. 3. 재배양식별로는 건답직파재배는 중묘이앙재배보다 29.7%의 메탄발생량이 저감되었다. 4. 질소비종에 따른 담수토양의 pH는 요소>완효성비료${\fallingdotseq}$무비>유안의 순으로 높았는데 이는 질소비종별 메탄배출량의 순서와 일치하였다. 토양 Eh는 유안>완효성비료>무비>요 소의 순으로 높아 pH 및 메탄배출량과 반대경향이었으며, 토양용액내 $SO_{4}$ 농도는 유안>완효성비료>요소>무비의 순으로 높았다.

  • PDF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and soybean (Glycine max L.) response to groundwater levels using lysimeter

  • Lee, Sanghun;Jung, Ki-Yuol;Chun, Hyen-Chung;Choi, Young-Dae;Kang, Hang-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9-299
    • /
    • 2017
  • Due to the climate changes in Korea, the numbers of both torrential rain events and drought periods have increased in frequency. Water management practice against water shortage and flooding is one of the key interesting for field crop cultivation, and groundwater often serves as an important and safe source of water to crop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groundwater table levels on soil water content and soybean development under two different textured soi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lysimeter located in Miryang, Korea. Two types of soils (sandy-loam and silty-loam) were used with three groundwater table levels (0.2, 0.4, 0.6m). Mean soil water content during the soybean growth period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roundwater table levels. With the continuous groundwater level at 0.2m from the soil surface, soil water content was not statistically changed betwee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tage, but the 0.4 and 0.6m groundwater tabl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Lower chlorophyll content in soybean leaves was found in shallow water table treatment in earlier part of the growing season, but the chlorophyll contents were non-significant among water table treatments. Groundwater table leve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plant available nitrogen content in surface soil. The highest N contents were observed in 0.6m groundwater table level. It is probably due to the nitrogen loss by denitrification as the result of high soil water content. The length and dry weight of primary root was influenced by groundwater level and thus the highest length and dry weight of root were observed in 0.6m water table level. This result showed that soybean root growth did not extend below the groundwater level and increased with the depth of groundwater tabl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level can influence on soil characteristics, especially on soil water content, and it is an important practice of to reduce yield loss caused by the water stress during the crop growing season.

  • PDF

포장에서 물리적 진행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은 물질과 수분의 이동성 (Mobility of Water and Solute Intluenced by PHYSICAL PROCESSES in field Soils)

  • Doug Young Chung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3-81
    • /
    • 1996
  • 실험실 내에서 부피비로 약 50%내외의 수분함량을 가진 3개의 서로 다른 깊이의 토양에서 염소와 중수의 확산계수는 4.8$\times$ $10${-7}$ 부터 7.2$\times$ $10${-7}$ $\textrm{cm}^2$/sec와 5.5 $\times$ $10${-5}$ 부터 1.6$\times$ $10${-4}$ $\textrm{cm}^2$//sec였다. 한편, 물과 물질의 이동성에 대한 연구는 중간사로 구성된 토양층 위에 위치하는 점토로부터 미사질 양토에 속하는 약 70cm깊이의 토양에서 실시되었고, 87일간의 실험기간동안 리터당 15.2$m\ell$의 염소와 0.6bq의 중수로 처리된 물을 일정한 유량(2cm/일)으로 관개하였다. 토양의 깊이와 시간에 따른 염소와 중수의 변동위치는 suction probe에 채취된 토양수를 가지고 측정하였는데 실험지 안에서 서로 다른 깊이 또는 동일 위치에서 염소와 중수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로부터 추정컨대 토양수의 유속과 표면확산 계수가 염소와 중수의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24개의 suction probe에서의 결과는 실질적 물질과 토양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나타내는 순수치의 25% 내외에서 평가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토양 특성이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성분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Properties on Leaching of Preservative Components from CCA-treated Wood)

  • 정용기;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87-94
    • /
    • 2005
  • 본 연구는 지접부용 처리목재의 지하부에서 발생하는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에 관한 연구로 토양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이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CA 처리 라디에타소나무 시편을 국내의 대표적인 네 가지 토양(미사질양토, 양토, 사질양토, 사토)에 매립하여 12주간의 용탈기간 동안 토양이 항상 물로 포화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토양 용탈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토양 용탈시험 결과와 비교할 목적으로 물 용탈시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토양 종류에 따른 처리목채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을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토양 용탈은 물 용탈보다 유효성분의 용탈율이 낮았다. CCA 처리목재로부터 크롬, 구리, 비소 용탈율은 각각 사질양토, 양토, 사토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유효성분의 용탈율이 미사질양토에서 가장 낮았다. 토양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과 용탈율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탈율이 토양 특성에 의해 매우 상이하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CCA 처리목재로부터 구리 용탈은 토양내 치환성 마그네슘 및 염기총량의 영향을 받았다. CCA 처리목재로부터 크롬 용탈은 토양내 치환성 마그네슘($Mg^{2+}$) 함량의 영향을 받았으며, 비소 용탈은 토양내 치환성 칼륨($K^+$), 중금속인 니켈(Ni), 망간(Mn), 철(Fe), 크롬(Cr), 구리(Cu) 함량의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들 간에, 그리고 기존 연구결과들 간에도 토양 특성과 방부제 유효성분 용탈율 간의 관계가 서로 상이하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또한 실험실 규모의 용탈시험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수분 조건과 토양 미생물의 종류와 분포가 상이한 실제 야외 지접부 환경에서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액상화 가능 지수를 이용한 국내 서해안 지역의 액상화 평가 (LPI-based Assessment of Liquefaction Potential on the West Coastal Region of Korea)

  • 서민우;선창국;오명학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3
    • /
    • 2009
  • 느슨한 포화 사질토 층에 위치한 구조물은 지진 시 액상화로 인해 막대한 인적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분류된 지역은 구조물의 설계 및 운영 시 액상화 발생 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한반도의 경우 중진 지역에 해당되고 역사 문헌의 발생 기록을 제외한 어떤 액상화 피해도 보고되지 않음에 따라 오랫동안 액상화에 대해서는 안전지대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해외 지진 사례에 의하면 국내 서해안 지역 지반과 유사한 비소성 실트질 흙에서의 액상화 발생과 이로 인한 피해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액상화 가능성 평가 기법 합리화의 일환으로 서해안 두 부지를 대상으로 피에조콘 관입시험(CPTu)과 표준관입시험(SPT) 결과를 이용하여 액상화가능지수(LPI)를 산정하였다. LPI는 심도 20m까지의 액상화 가능성을 통합 적분하여 액상화로 인한 지표면 피해 발생 정도를 지수로 제시한다. 먼저 대상 현장에 대해 시나리오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한 후, CPTu와 SPT로부터 산정된 LPI 값을 비교하였다. 액상화 저항 강도를 의미하는 진동저항응력비(CRR) 값에 의하면, CPTu로부터 구한 보정 콘 선단저항력 (qc1N)CS가 40에서 120 사이인 경우 또는 CRR이 0.23 이하인 경우에 SPT로부터의 산정된 값보다 작게 평가되었다. 또한 CRR 차이는 세립질 함유량이 큰 흙에서 두 방법 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서해안 저소성 점토질 실트 지반의 부분배수 특성 (Partial Drainage Characteristics of Clayey Silt with Low Plasticity from the West Coast)

  • 김석조;이상덕;김주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9호
    • /
    • pp.17-27
    • /
    • 2016
  • 서해안의 인천 및 화성지역에 분포하는 모래 및 실트 함유량이 많은 저소성 지반에 대해 피에조콘관입시험(CPTU) 데이터 및 강제치환 공법을 이용하여 부분배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Powell과 Quarterman(1988)에 의한 과압밀비 $OCR={\kappa}(q_t-{\sigma}_{vo})/{\sigma}^{\prime}_{vo})$ 경험식은 모래함유량이 많은 서해안 저소성 실트 지반에서는 상대적으로 투수성이 커서 표준관입속도(2cm/s)하에서 콘관입저항력($q_t$)이 크게 평가되어 과압밀비가 크게 산정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Schnaid et al. (2004)는 간극수압계수($B_q$)-강도증가율($s_u/{\sigma}^{\prime}_{vo}$)-정규화된 콘저항($Q_t=(q_t-{\sigma}_{vo})/{\sigma}^{\prime}_{vo}$)을 함께 도시하여, 부분배수 유무를 판단하도록 제시하였는데, 인천 및 화성 지역의 CPTU 데이터의 50% 이상이 부분배수 상태를 나타내는 $B_q$ < 0.3에 분포하였다. 또한, 강제치환 시공과정 중 부분배수 현상으로 인해 원지반의 강도증가 현상이 발생되어 설계 예상 치환깊이보다 훨씬 작은 실측값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실측 치환깊이와 동일한 값이 얻어지도록 원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역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성지수가 감소할수록 내부마찰각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며, 내부마찰각(${\varphi}^{\prime}$)이 $2{\sim}7^{\circ}$의 범위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haracteristics of Fertility of Cucumber Cultivated Soils at Controlled Horticulture in Chungnam Province

  • Choi, Moon-Tae;Yun, Yeo-Uk;Lee, Jin-Il;Lee, Jong-Eun;Jung, Suck-Kee;Nam, Yun-Gyu;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62-268
    • /
    • 2014
  • The managem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s very important to sustainable agriculture of many horticultural crops, including cucumb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optimal soil propertie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in controlled horticultur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267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oil in Chungnam Province. The average of pH, EC, OM,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Ca, and Mg was 6.1, $5.38dS\;m^{-1}$, $34g\;kg^{-1}$, $1,321mg\;kg^{-1}$, $1.50cmol_c\;kg{-1}$, $10.3cmol_c\;kg{-1}$, and $3.4cmol_c\;kg{-1}$, respectively.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silty clay lo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 soil textures, whereas the pH, EC, exchangeable K, and Mg in loamy fine s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among soil textures. The EC value and exchangeable Mg concentration were highest in mountain foot-slope soils. The frequency distribution within optimum range of soil chemical properties was 26.2%, 30.3%, 2.3%, 3.8%, 3.4%, and 6.7% for pH, OM,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Ca, and Mg, respectively. Especially, excessive portion of available $P_2O_5$ and exchangeable Ca were 94.0% and 94.4%, respectively. The EC value and organic matter content of soil samples were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chemical properties except soil pH. I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chemical properties in soil samples, the percentage of variance explained by PC 1 was 52.2%, while PC 2 explained 21.3% of the variance, for a cumulative total of 73.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improve soil nutrient management for sustainable controlled horticulture.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요소비료의 손실에 미치는 요인 (Factors Controlling the Losses of Urea through Ammonia Volatilization)

  • 김수정;양재의;조병욱;김정제;신용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7-82
    • /
    • 2007
  • 질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의 휘산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토양에서 일어나는 질소 손실의 주된 기작이다. 암모니아 휘산은 다양한 토양과 환경의 조건 및 비료관리 방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소비료 의존도가 높은 채소들도 휘산된 암모니아 가스에 의해 피해를 받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토에 시용된 요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 휘산량을 측정하였고, 이에 미치는 요소비료 시용량, 관개시기, 및 온도 등의 비료관리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했다. 암모니아 휘산은 요소를 시용한 뒤 약 3일 후에 시작되었으며, 약 2주 후에 최대에 도달하였다. 17일 후, 휘산된 암모니아태 질소의 양은 200, 400, $600kg\;N\;ha^{-1}$ 의 시용량에서 각각 3.0, 4.4, 그리고 8.0 kg 이었다. 이들 휘산량은 시용된 질소가 15.0, 10.9, 및 13.0% 가 손실된 것과 상응한다. 온도가 5, 8, 22, $28^{\circ}C$ 일때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5, 21, 75, $87kg\;N\;ha^{-1}$ 이였다. 요소비료를 시용한 뒤 0, 5, 10 mm의 물을 관개한 경우,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21.3, 21.2, $16.6kg\;N\;ha^{-1}$ 이었다. 한편, 요소를 시용한 후 5 mm를 관수한 경우의 질소 휘산량은 $10.44kg\;N\;ha^{-1}$ 로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요소비료를 권장량을 표토와 혼합, 온도가 낮을 때 그리고 요소비료를 시용후 즉시 관개하는 방안이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질소 손실을 최소화 하는 비료관리 방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