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kworm (Bombyx mori)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21초

가잠의 원종 및 교잡종의 자웅별 생존율의 차 (Different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in F$_1$, Hybrids and Parents of Silkworm; Bombyx mori. L.)

  • 문병원;홍기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49-52
    • /
    • 1967
  • 가잠의 원종 및 교잡종에 있어서 감잠비율의 증감에 따른 자웅잠 생존율의 성차를 알고저 66년 하기와 추기사육에서 얻은 47, 68구를 원료로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종중 일본종인 모단과 동교잡종모단$\times$대동에서는 감잠비율의 증감이 자웅차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으므로 종전처럼 웅잠이 반듯이 자잠보다 강하다고는 할 수 없다. 2. 원종중 중국종, 대동에 있어서는 감잠비율이 많은 구일수록 웅용의 생존비율이 증가되며 그 정도는 y=0.233x+41.67(y : 웅용생존율)이었다. 3. 이상의 결과로서 적어도 중국종 견질조사상 자웅견동수를 채취 조사하는 현행방법은 잠작에 따라 보정하여 줘야만 모집단의 치에 접근된다고 있다.

  • PDF

Rat 간장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실크 피브로인의 영향 (Effects of Silk Fibroin in Oxdative Stress and Membrane Fluidity in the Liver of SD Rats)

  • 최진호;김대익;박수현;김동우;이광길;여주홍;김정민;이용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8-64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lk fibroin powder (Mw 500) on oxidative stress and membrane fluidity in liver membranes of rats. Sprague-Dawley (SD) male rats (160$\pm$10g) were fed basic diet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diets (SEP-2.5 and SFP-5.0 groups) added 2.5 and 5.0 g/kg BW/day for 6 weeks. Cholesterol level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12.1% and 9.0%, respectively) in the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SEP-5.0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embrane fluidity as significantly increased (16.1% and 16.5%, 5.8% and 17.4%) in the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16.1% and 18.3%, 8.1% and 15.1%, respectively) at the SFP-2.5 and SE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duced oxygen radicals (BOR) in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16.1% and 18.3%, 8.1% and 15.1%, respectively) at the SFP-2.5 and SE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duced oxygen radicals (IOR) in liver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17.0% and 26.6%, respectively) at the SFP-2.5 and SF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IOR in liver mitochondria was significantly inhibited about 12.3% at the SWP-400 group on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Lipid peroxide (LPO)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8.3% and 18.0%, 13.4% and 18.4%, respectively) in the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SFP-2.5 and SF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xidized protein (OP) levels were dose-dependently decreased (5.4% and 11.6%, 19.0% and 24.4%, respaectively) in the 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SFP-2.5 and SFP-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ministration of SFP may play an effective role in attenuating an oxidative stress and increasing a membrane fluidity in liver membranes.

  • PDF

Low molecular weight silk fibroin increases alkaline phosphatase and type I collagen expression in MG63 cells

  • Kim, Jwa-Young;Choi, Je-Yong;Jeong, Jae-Hwan;Jang, Eun-Sik;Kim, An-Sook;Kim, Seong-Gon;Kwon, Hae-Yong;Jo, You-Young;Yeo, Joo-Hong
    • BMB Reports
    • /
    • 제43권1호
    • /
    • pp.52-56
    • /
    • 2010
  • Silk fibroin, produced by the silkworm Bombyx mori, has been widely studied as a scaffold in tissue engineering. Although it has been shown to be slowly biodegradable, cellular responses to degraded silk fibroin fragments are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silk fibroin was added to MG-63 cell cultures, and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 the MG-63 cells were screened by DNA microarray analysis. Genes showing a significant (2-fold) change were selected and their expression changes confirmed by quantitative RT-PCR and western blotting. DNA microarray results showed that alkaline phosphatase (ALP), collagen type-I alpha-1, fibronectin,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expression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ffect of degraded silk fibroin on osteoblastogenic gene expression was confirmed by observing up-regulation of ALP activity in MG-63 cells. The finding that small fragments of silk fibroin are able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osteoblastogenic genes suggests that controlled degradation of silk fibroin might accelerate new bone formation.

The effects of proteins released from silk mat layers on macrophages

  • Kim, Ju-Won;Jo, You-Young;Kweon, Hae Yong;Kim, Dae-Won;Kim, Seong-G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10.1-10.6
    • /
    • 2018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in gene expression after incubation of cells with proteins released from different silk mat layers. Methods: A silk cocoon from Bombyx mori was separated into four layers of equal thickness. The layers were numbered from 1 to 4 (from the inner to the outer layer). The proteins were released by sonication of a silk mat layer in normal saline. The concentration of proteins was determined by spectrophotometry. They were incubated with RAW264.7 cells, and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genes were evaluated by cDNA microarray analysis and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Results: Layer 1 and 4 groups had higher protein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ose in layer 2 and 3 groups. The gene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angiogenesi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in layer 1 and 4 groups. The results of qRT-PCR were in agreement with those of the cDNA microarray analysis. Conclusions: The silk mat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silkworm cocoon yielded a lower protein release and caused an insignificant change in the expression of genes that a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angiogenesis.

잠아와 송충과의 경화병균 전염시험성적 (Experiments on the Muscadine Transmission in the Silkworm Larvae, Bombyx mori L. and Pine Caterpillar, Dendrolimus Spectabilis B.)

  • 박병희;한수용;조성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권
    • /
    • pp.15-21
    • /
    • 1960
  • 4231년 농림부산림국에서 송충구제책으로 경기도 임업시험장에서 인공배양한 No.7호균외 수종을 사용할 계획인바 비에 대한 임업시험장 시험보고에 의하면 핵균은 송충에 대하여 맹독성이지마는 잠아에 대하여서는 기독성이 경미하다는 보고 이였으므로 양잠가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하여 송충 및 잠아에 대한 전염성의 강약을 비교 시험하여 그 독성정도를 구명코저 함. 1. 경기도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제1호에 기재된 No.7 호균의 시험성적과 본시험성적과를 대조하면 그 이병률은 일정한 경향을 표시치 않으며 다소 상치된 결과이었다. 즉 별표에 의하면 송충은 72~100% 잠아에 있어서는 4289년도에 0~2% 4290년도이 0~20%였으나 본시험결과 (표 1,2,3)는 송충은 표준구에 6.6% 처리구에 13.3~20%이고 잠아는 5~50%의 이병률이였다. 따라서 송충에는 그 감염도가 높으며 잠아는 그 감염도자 낮다고하는 근거를 인정키 난하다. 2. 본시험에 공시된 접종균 No.7호균은 경기도 임업시험장에서 호칭하는 황황강균(Insarica farinosa)이 었으나 핵균 배양시에 이균이 침입된 관계인지는 모르나 본시험에서 폐사를 검정한 결과 백강균(Botrytis Bassiana)이였다. 따라서 No.7호균에 대한 순도가 의심되며 시험결과의 정확을 기할수가없었다. 3. 경기도 임업시험장연구보고 제1호에 접수된 양년간시검성적에 의하면 경화병균 28종중 가장 이병률이 낮다고하는 No.7호균이 본시험결과에서 잠아에 5~50%의 이병률을 나타내는것으로 보아 소위 경기도 임업시험장에서 순수분리한 균은 어느것이라도 송충에 접종하여 산지에 산포하면 그 균이 중간기생 (인교목, 직교목)을 통하여 야생화되어서 더욱 잠아에 대한 전염력을 강렬하게됨으로 양잠상 위험할것이다. 일본의 소산씨 문헌(경기도 임업시험장도서관)에 의하면 야생혼충에서 전염되는 경화병균의 독성은 잠아에 대하여 강력하다는 점과 $\ulcorner$잠업지조선$\lrcorner$제11호에 전라남도 원잠종제조소 강본태대랑씨의 시험성적(참고문헌)이 이를 여실히 입증하는 바이다. (중략)

  • PDF

누에 체액주단백질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Biochemical Studies on the Major hemolymph Proteins (MHP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성수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0-36
    • /
    • 1986
  • 누에의 유충 체액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저분자 체액단백질(MHP)의 체액 내의 출현시기, 체내 생합성에 관하여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및 autoradiography로 조사하고, 동시에 MHP의 b성분에 대한 분리.정제를 시도하였다.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HP의 a성분은 유충 4령 2일의 그리고 b와 c성분은 5령 1일의 체액에 각각 출현하기 시작하여 5령 2일 이후 급격한 농도의 증가를 보였다. 2. MHP의 b와 c성분은 유충 5령 초기의 지방체에서 생합성된 후 곧 체액에 방출되나 a성분의 정확한 합성장소와 시기는 불완전하다. 3. 토사기의 유충 체액을 열처리(6$0^{\circ}C$, 5분), gel 여과 및 DEAE-cellulose와 CM-cellulose chromatography법에 의해 분리.정제한 결과 순도가 거의 100%에 가까운 MHP-b를 얻었다.

  • PDF

Fatty Acid Profile and Thermal Behavior of Fat-Rich Edible Insect Oils Compared to Commonly Consumed Animal and Plant Oils

  • Kasidate Chantakun;Tanyamon Petcharat;Saowakon Wattanachant;Muhammad Shahrim Bin Ab Karim;Pensiri Kaewth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90-804
    • /
    • 2024
  • This study compar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dible insect oils from silkworm (Bombyx mori) pupa (SP), sago palm weevil (Rhynchophorus ferrugineus) larva (PW), and bamboo caterpillar (Omphisa fuscidentalis; BC) to oils from chicken skin (CK), beef back fat (BF), pork back fat (PF), salmon belly (SB), sea bass belly (BB), coconut (C), and peanut (P). The fatty acid profiles and thermal behaviors (crystallization and melting) of the extracted oils were evaluated. PW and BC oils had more saturated fatty acids (SFAs) than CK, PF, SB, BB, and P oils. SP oil had equivalent SFA content to CK and BB oils. Insect oils exhibited similar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centrations in all samples, except C oils. PW and BC oils exhibited a higher content of palmitoleic acid than the other oils. SP oils contain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imilar to those in SB and BB oils,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in PW, BC, CK, BF, and PF oils. SP oil also exhibi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α-linolenic acid (C18:3 n-3). Arachidonic acid (0.01-0.02 g/100 g) in all insect oils was lower level compared to CK, BF, PF, SB, and BB oils. SP oil (0.03 g/100 g) exhibit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eicosapentaenoic acid compared to PW (0.01 g/100 g) and BC (0.01 g/100 g) oils. The insect oils were liquid at ambient temperature, solid below -15℃, and required less energy (∆Hm-max) for melting than other samples. This study indicated that insects, particularly SP,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source of fat to meet its growing demand.

인공사료의 단백질수준이 가잠의 영양생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Protein in the Artificial Diet on Nutritional Physiology of the Silkworm, Bombyx mori)

  • 설광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49
    • /
    • 1982
  • 가잠의 5령기간중 사료의 단백질수준을 달리하였을 경우 유충의 소화율, 체중증가, 혈중단백양 및 요산배설양에 미치는 영향의 상호관계와 견질 및 사료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험한 결과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누에의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본 실험의 범위내에서는, 근사소화율은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단백질소화율은 이와는 반대로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낮은 쪽이 높았다 2. 체중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5령 3일째까지는 사료의 단백질수준에 따른 증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4일째부터는 대체로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높을수록 체중증가도 커짐을 보였다. 3. 혈중단백양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5령 3일째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높을수록 혈중단백양도 높은 경향이었다. 한편, 단백질섭취량에 대한 혈중단백양의 경시적 변화는 2일째 이후 점차 감소하다가 5,6일째에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요산배설양에 미치는 영향은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높을수록 요산배설양도 많은 경향이었는데 2일째는 일단 감소하나 3일째부터는 증감을 반복하는데 단백질수준이 높은 A,B사료구와 낮은 C,D사료구의 요산배설양의 경시적 변화양상은 다소 달랐다. 한편, 단백질섭취량에 대한 요산배설양의 경시적 변화는 2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혈중단백양에 대한 요산배설양의 경시적 변화 역시 2일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A, C사료구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5. 견질에 미치는 영향은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높을수록 견질은 양호한 결과였다. 6. 사료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건물식하양에 대한 증체 및 견생산효율은 사료의 단백질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단백질섭취량에 대한 효율은 사료의 단백질수준에 따를 일정한 경향없이 B,C 사료구가 높았다. 각 계종의 회귀계수( $b_{LL=0.184}$, $b_{LC}$ =0.175, $b_{CL=0.165}$$b_{CC}$ =0.188)는 모두유의성이 인정되어 가식육의 증가속도는 체중의 증가속도보다 현저히 빠른 것으로 판명되었다. 3. 체중구성요소중 주령경과에 따라 그 중량비율이 증가되는 것은 우모, 복강지방, 흉부 및 퇴경부이고, 감소되는 것은 두부, 경부, 가식내장 및 부가식내장이며 방혈량, 각부, 익부 및 배부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連署로 申請하여 理事會의 同意를 얻어야 한다. 第十五條 會則 以外의 件은 通常 慣例에 依한다.oro’, ‘Norin 6’ 등)은 고도의 이병성이었고 저항성 품종들은 대개 병반이 없거나 저항성 병반(hypersensitivity 반응, b 혹은 bg 형)을 나타내었다.. 발뢰까지는 수확기를 지연시킬 수록 건엽수량은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발뢰 이후에는 수확기를 지연시켜도 수량 차이는 인정되지 않는다. Stevioside 함량은 발뢰기에 가장 높았고 이보다 빠르거나 늦게 수확할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엽수량과 Stevioside 함량을 고려한 수확적기는 발뢰시부터 개화전까지이고 수원 지방에서는 9월 10일~9월 15일경이었다. 11. 영양계의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범위는 각각 5.4~l4.3%, 1.5~8.3%로 변이폭이 크며 Stevioside와 Rebaudioside 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와 출수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또한 저온에 의하여 이삭 추출도가 낮거나 간장단축율이 큰 품종은 임실율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10. 냉수처리에 의한 임실장해는 감수분열기처리(엽이간장-15~10cm)

  • PDF

가잠난 배자발육과정에서 각종내용물질의 변동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Biochemical Studies in Relation to Chance of Materials in Process of Growth of Embyro in Silkworm Eggs (Bombyx mori L.))

  • 임영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29
    • /
    • 1971
  • 가잠난을 대상으로 하고 시료조건을 Part 1에서는 갑배자에서부터 최청시키면서 부화직전에 이르기까지 Ascorbic acid와 Lipids (triglyceride 와 cholesterol) 및 free fatty acid를 분석하고 Part 2에서는 시료의 일부를 병$_{B}$ 시기에 방사선 800${\gamma}$에서 40분간 조사시킨 후 표준구와 같은 조건에서 최청하면서 glucose와 phosphorus를 분석, 비교 검토하는 동시에 이상의 각종 내용물질의 변동을 생화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scorbic acid는 병$_{B}$ 배자에서 319.5${\gamma}$/g으로 가장 많았고 그 후부화전까지 감소해 감을 알 수 있었다. 2. Triglyceride는 병$_{A}$ 배자에서 27.54mg/g으로 난내세포가 활성화되는 시기에 가장 많았고 그 후 배자가 발육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Total Cholesterol이나 Free Cholesterol은 최청초기부터 부화직전까지 큰 변동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3. Free Fatty acid 는 Triglyceride가 가장 증가한 병$_{A}$ 에서 257.4$\mu$ mole/g으로 최소량을 나타냈고 반대로 감소되는 己A에서 1,020$\mu$ mole/g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전반적으로 보아 배자가 발육함에 따라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4. Glucose는 표준구 점청기 281.2mg/g으로 가장 많은 증가를 보이고 방사선 조사구에서도 같은 시기 179.6mg/g으로 최고를 나타내어 동일한 경향을 보이나 양적으로 ${\gamma}$-Ray 처리구가 적다는 것과 Free Fatty acid 및 Phosphorus와의 상반된 변동을 알 수 있었다. 5. 표준구에서 Organic phosphorus는 병에서 5.23mg/g이었고 ${\gamma}$-Ray 처리구는 己A에서 5.73mg/g으로 가장 많은 양을 나타내고 Inorganic phosphorus에서는 약간의 변동이 있을 뿐이다. 방사선 처리구는 Organic phosphorus와 Inoranic phosphorus는 다 같이 최청초기에는 적으나 己A 이후는 급격히 증가하여 부화직전에 이르기까지 표준구보다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얻은 것은 금후 잠종의 취급 보존에 크게 밑 받침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잠난각의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Som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Egg Shell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 마영일;박광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5-72
    • /
    • 1983
  • 가잠의 휴면성을 난각의 조직학적 특성을 보고자 난각층에 대한 전자현미경상을 관찰하였고 또한 난각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수분투과성, 염산투과성, 염색성 및 난각 구조단백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난각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뚜렷이 4층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구조적인 차이가 보인다. 즉 외층 밖에 또 다른 전자밀도가 낮은 얇은 층이 휴면난에는 존재하고 있으나 비휴면 및 즉침난에는 이 층을 볼 수 없다. 2. 산난후 20∼24시간째의 휴면난과 비휴면난 및 즉침난 사이에 난각염산투과성의 차이를 보면 휴면난에 비해 즉침난 및 비휴면난이 모두 투과성이 높았고 또한 난령이 지남에 따라 휴면난은 투과성이 떨어지는데 반하여 즉침난 및 비휴면난은 투과성이 높아졌다. 3. 휴면난의 ether 처리난은 무처리난에 비해 난각의 투과성이 변하는 것으로 보아 난각물질 중 ether 용출물이 존재한다. 4. 난각의 수분투과성도 염산투과성에 있어서와 같이 휴면난이 즉침난 및 비휴면난에 비해 수분투과성이 낮았다. 5. 가잠난각의 조직화학적 특성은 단백질과 당에 대한 염색성이 높아 난각에는 단백질과 당이 풍부하며 특히 지질에 대한 염색성은 거의 음성이나 내층으로 갈수록 진하게 염색되었다. 6. 누에의 난각점착물은 PAS-alcian 반응으로 보아 mucopolysaccharides이다. 7. 난각 구조단백질 중 SH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상에 있어서 휴면난과 비휴면난 모두 2개의 band가 인정되나 비휴면난의 경우 이동거리가 빠른 band는 매우 흔적적이며 또한 영동거리도 원점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두 처리간에 minor component에 차이가 보였다. 8. SH단백질에 대한 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휴면난 및 비휴면난 사이에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고 난각단백질중 SH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에는 glycine이 가장 많고 cystine함량은 적었다. SI K-2 는 Penicillin, Ampicillin과 Cephalothin에 저항성을 나타냈고 ts-U171, A-N92와 A-N115는 이 세항생제에 민감성을 나타냈다. Temperature - sensitive돌연변이균주를 42$^{\circ}C$에서 24시간 배양후에 28$^{\circ}C$로 옮기어 배양한 결과 ts-U601, -U603, -U604와 -U171은 성장을 더 이상하지 않았다.ta-exotoxin을 생산했는데, 48시간 배양 배지 $m\ell$당 70$\mu\textrm{g}$을 분비한 균주는 BTK-1이고, BTK-37 균주는 $m\ell$당 88$\mu\textrm{g}$(6.1$\times$$10^{8}$ Cells/$m\ell$) BTK-35 균주는 $m\ell$당 81$\mu\textrm{g}$(5.2$\times$$10^{8}$ Cells/$m\ell$)을 생산했고. 그외는 모두 70$\mu\textrm{g}$미만이었다. 3. Beta-exotoxin과 B. thuringiensis 균체을 동시에 per os, interaperitoneal injection, subcuntaneous injection, nasal cavity inoculation, intracerebral injection을 120시간 처리했어도 치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삼각호마법 and Japan#s 병음한자변환방식 have prospect to be preval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rom these results, 1) All th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