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one

검색결과 1,466건 처리시간 0.025초

자기공명 검사시 코일 내 filling factor 증가를 통한 신호대 잡음비의 향상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improving signal to noise ratio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rough increasing filling factor inside surface coil)

  • 최관우;손순룡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99-5304
    • /
    • 2012
  • 인체는 공기, 지방, 근육, 뼈, 혈관과 같이 서로 다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각 조직간 자화율 차이로 인해 자장의 불균일이 항상 발생하여 신호가 감소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조직으로 구성된 인체의 신호감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의 조직밀도와 유사한 실리콘을 이용하여 공기와 맞닿은 굴곡진 부분에 보상함으로써 자기공명영상의 신호를 높이고자 하였다. 특별한 증상이 없는 성인 8명으로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체 중 굴곡이 많고 구조가 복잡해 신호감소가 많이 발생하는 발을 설정하였다. 영상은 종족궁의 가운데부터 5개의 말절골을 포함하여 얻었으며, 중족골 및 족지골을 연장한 선에 평행하게 30절편을 얻었다. 측정은 실리콘의 적용 전 후 뼈와 연부조직의 SNR을 비교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뼈와 연부조직의 T1, T2 강조영상 모두 실리콘 적용 후가 적용 전에 비해 SNR이 월등히 높게 나왔으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체적소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코일내 인체의 부피를 늘린 획기적인 개선 방법으로, 본질적 문제인 체적소의 부피나 균일성 저하를 해결하여 SNR을 높일 수 있었다.

자폐 환자의 자해로 인한 구강 내 손상 : 증례 보고 (SELF-INJURIOUS BEHAVIOR IN A PATIENT WITH AUTISM : A CASE REPORT)

  • 지은혜;이효설;최형준;김성오;최병재;손흥규;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14
    • /
    • 2012
  • 자폐증 및 정신 지체가 있는 환자의 입술 깨물기 증상을 mouthguard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조절하였다. 치과적으로 접근 가능한 구강 내 자해 증상의 치료는 가철성 혹은 고정성 장치를 이용하거나 관련 치아의 발치, 악교정 수술 등을 시도할 수 있으며 각 환자에 맞는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해 행동이 일시적으로 개선되었다 해도 재발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적인 관리와 소아정신과와의 협진 하에 정신심리학적 환경 개선 및 약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조에 의한 Core와 CAD-CAM에 의한 Core의 적합도 비교평가 (Comparison of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n the Cast and CAD-CAM Cores)

  • 한만소;김기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8-374
    • /
    • 2012
  • 제한된 조건 하에서 수행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하여 제작된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보다 전통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한 금속 코어가 모든 부위에서 우수하였다(p<.001). 2. 두 그룹 모두에서 적합도가 가장 미흡한 부분은 절단부였고, 축벽부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아직까지는 치과용 캐드캠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이 기존의 기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철물의 적합도만큼 만족스럽지는 못하였으나 임상적 허용 범위 안에 존재하였다는 점에서 치과용 캐드캠은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기계가 개선되고 가공 방식이 지금보다 발전한다면 기존의 기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보철물의 완성도를 능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소 침습적 조대술을 이용한 치성낭종의 치료 증례 보고 (Minimally Invasive Marsupialization for Treating Odontogenic Cysts: Case Reports)

  • 류지연;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김종철;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35-242
    • /
    • 2017
  • 조대술 및 감압술은 악골내 치성기원 낭종에 대한 치료법으로서 여러 문헌을 통해 그 효과가 확립되어 왔다. 특히, 소아치과 영역에서 병소 크기가 크거나 발육 중인 치배 등 중요 구조물을 포함한 경우 보존적인 치료로서 우선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조대술 후에는 낭종의 개방성 유지를 위해 맞춤 제작 아크릴 폐쇄장치(obturator) 또는 공간유지장치, 실리콘 관, 비강 캐눌라 등의 감압 스텐트(decompression stent)를 사용하는데, 이는 주변 연조직 자극 및 환아의 불편감, 낭종 크기 감소에 따른 탈락 가능성 등 임상적 문제점을 지니며 환아 협조도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증례들에서는 하악골 부위 영구 치배를 포함한 치성 낭종에 대하여 감압술시행시 16게이지 정맥 주사바늘을 활용한 금속관을 발치와를 통해 낭종 내부로 삽입하고 인접치에 레진으로 고정하는 최소 침습적 시술을 통해 환아의 양호한 협조하에 병소 제거 및 자발적 맹출을 유도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치과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코발트-크롬 소결 금속 코핑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평가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Cobalt-Chromium Sintering Metal Coping Fabricated by Dental CAD/CAM System)

  • 김동연;신천호;정일도;김지환;김웅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36-5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한 코발트-크롬 주조 금속 코핑과 코발트-크롬 소결 금속 코핑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코발트-크롬 금속 코핑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평가는 기존의 주조방식인 CCM 그룹보다 소결과정만으로 제작한 CSM 그룹이 전반적으로 모두 우수하였다. 또한 CSM 그룹의 변연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할 수 범위인 $120{\mu}m$ 이내 존재하였다는 결과를 통해서 그동안 매몰, 소환, 주조인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보철물의 오차가 발생 하였으나 소결과정만으로 공정 과정의 오차를 줄임으로써 완성도 높은 코발트-크롬 금속 코핑 제작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카복실레이트계 시멘트의 접착력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THE ADHESIVE QUALITIES OF POLYCARBOXYLATE CEMENTS)

  • 이한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34
    • /
    • 1979
  • In this study, the adhesive strength of three commercial polycarboxylate cements to ten types of dental casting alloys, such as gold, palladium, silver, indium, copper, nickel, chromium, and human enamel and dentine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at of a conventional zinc phosphate cement. The $8.0mm{\times}3.0mm$ cylindrical alloy specimens were made by casting. The enamel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the labial surface of human upper incisor, and the dentine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the occulusal surface of the human molar respectively. Sound extracted human teeth, which had been kept in a fresh condition since, extraction, were mounted in a wax box with a cold-curing acrylic resin to expose the flattened area. The mounted teeth were then placed in a Specimen Cutter (Technicut) and were cut down under a water spray, and then the flat area on the all specimens were ground by hand with 400 and 600 grit wet silicone carbide paper. Two such specimens were then cemented together face-to-face with freshly mixed cement, and moderate finger pressure was applied to squeeze the cement to a thin and uniform film. All cemented specimens were then kept in a thermostatic humidor cabinet regulated at $23{\pm}2^{\circ}C.$ and more than 95 per cent relative humidity and tested after 24 hours and 1 week. Link chain was attached to each alloy specimen to reduce the rigidity of the jig assembly, and then all the specimens were mounted in the grips of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a tensile load was delivered to the adhering surface at a cross head speed of 0.20 mm/min. The loads to which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were recorded on a chart moving at 0.50 mm/min. The adhesive strength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load when the specimen separated from the cement block and by dividing the load by the area. The test was performed in a room at $23{\pm}2^{\circ}C.$ and $50{\pm}10$ per cent relative humidity. A minimum of five specimens were tested each material and those which deviated more than 15 per cent from the mean were discarded and new specimens prepared. From the experi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t was found tha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olycarboxylate cement to all alloys tested was considerably greater than that of the zinc phosphate cement. 2)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olycarboxylate cements was superior to the non precious alloys, such as the copper, indium, nickel and chromium alloys, but it was inferior to the precious gold, silver and palladium alloys. 3) Surface treatment of the alloy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adhesion. It appears that a polycarboxylate cement will adhere better to a smooth surface than to a rough one. This contrasts with zinc phosphate cements, where a rough helps mechanical interlocking. 4) The adhesion of the polycarboxylate cement with enamel was found superior to its adhesion with dentine.

  • PDF

자연치열자와 가철성 국소의치 장착자의 저작효율과 근활성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MASTICATORY PERFORMANCE AND MUSCLE ACTIVITY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 백진;박남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1-10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differences in masticatory performance, muscle activity, and patterns of occlusal contact between persons with natural dentition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Twenty healthy adult subjects with more than 28 teeth and thirteen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that classified Kennedy classification I was selected. The degree of pulverized rice and peanut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means of sieving method to compare the masticatory performance. For the muscle activity, EMG was recorded in selected muscles(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 during mastication and resting state. The occlusal record in maximal intercuspation was taken with a silicone occlusal bite registration material for analysis of the patterns of occlusal contac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chewed peanuts, masticatory performance ratio at 10-sieve size was 81.31% in natural dentition group.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 27.01% without RPD and 69.09% with RPD. When chewed rice, 42.04%, 11.87%, and 21.58%,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of masticatory performance ratio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2. The mean EMG value in resting state was $1.06{\mu}V$ on temporal muscle, $0.98{\mu}V$ on masseter muscle in natural dentition group.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1.13{\mu}V$ on temporal muscle, $1.05{\mu}V$ on masseter muscle without RPD and $1.11{\mu}V$ on temporal muscle, $1.04{\mu}V$ on masseter muscle with RPD. 3. The mean EMG value during mastication was $45.64{\mu}V$ in natural dentition group, and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22.06{\mu}V$ without RPD and $31.01{\mu}V$ with RPD when chewed peanuts. When chewed rice, $45.24{\mu}V,\;25.53{\mu}V\;and\;32.14{\mu}V$,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of mean masticatory EMG value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4. The number of posterior occlusal contact point was 20.15 in natural dentition group and 11.92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The area of perforated surface was $16.50mm^2$ in natural dentition group and $6.06mm^2$ in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The area of contact surface was $78.93mm^2,\;51.52mm^2$, respectively. 5. The area of contact surface was effective to masticatory performance ratio in natural dentition group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ers (p<0.05).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masticatory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movable partial denture wearing, and for efficient mastication, tight occlusal contact surface shoud be maintained by maximum support that is provided from mucosa.

  • PDF

수두층 치료용 션트밸브의 압력-유량 제어특성 수치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The Pressure-Flow Control Characteristics of Shunt Valves Used to Treat Patients with Hydrocephalus)

  • 장종윤;이종선;서창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03-412
    • /
    • 2001
  • 수두증 환자의 뇌압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션트밸브의 압력-유량제어 특성과 설계변수 변화에 따른 특성곡선의 변화를 수치적으로 해석 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션트밸브는 국내에서 설계 제작된 일정 압력형 다이아프램 타입이며 실험을 통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션트밸브 내부에 장착된 압력-유량 제어용 소형 다이아프램이 실리콘 일래스토머 계통의 유연한 재질이므로 유동구조 상호해석을 수행하였다 구조해석시의 재료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고탄성 재료에 대한 므니 리블린(Mooney-Rivlin) 근사를 적용하였다. 수치해석결과 얻어진 압력-유량제어 특성곡선은 실험결과와 유사하였고 션트밸브를 통한 압력강하의 대부분은 소형 다이아프램에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해석된 션트밸브의 압력-유량 특성곡선의 기울기는 7.37mm$H_2O$.hr/cc로서 상용 션트밸브의 기울기 평균값 0.40mm$H_2O$.hr/cc과 비슷하여 일정압력형 션트밸브의 특성을 잘 나타내었다. 오프닝압력의 크기는 밸브 다이아프램의 초기쳐짐량 크기에 의존하였고. 25mm$H_2O$와 80mm$H_2O$의 오프닝압력을 얻기 위해서는 10.2$\mu$m와 35.3$\mu$m의 초기쳐짐량이 필요하였다. 밸브가 열리면서 유동이 발생할 경우, 유동 오리피스 간극이 107m 이내이므로 션트밸브의 성공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정밀설계와 제작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이아프램의 초기쳐짐량과 유동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다이아프램 끝단의 라운딩 크기가 압력-유량 특성곡선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계변수임을 확인하였다.

  • PDF

Effect of Timing of Light Curing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ree Self-adhesive Resin Cements

  • Yoo, Yeon-Kwon;Kim, Sung-Hun;Ryu, Jae-Jun;Ryu, Jae-Ju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28-34
    • /
    • 2008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compare the effect of varying timing of light curing on shear bond strength, and; 2)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ree self-adhesive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72 extracted non-carious teeth were divided into 24 for Unicem tests, 24 for Maxcem tests, and 24 for Biscem tests; they were assigned 3 * 2 subgroups of 12 teeth each. The specimens were prepared as follows: 1) The calculus and periodontal ligament were removed from the teeth; 2) The teeth were stored in normal saline; 3) The occlusal enamel of each tooth was removed using high-speed coarse diamond burs under water cooling, and; 4) Finally, the teeth were flattened by 600-grit silicone carbide paper disks. Resin blocks were adhered using either Unicem, Maxcem, or Biscem. Light curing timing was divided into two groups: U10, M10, and B10 were exposed to light after 10 seconds, and; U150, M150, and B150 on the other side were exposed to light after 150 seconds.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by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cross head speed of 1mm/min.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Results. The shear bond strength of U150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10 (U150: 20.55.7Mpa, U10: 18.73.80Mpa). On the other hand, the shear bond strength of M15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10. The shear bond strength of B150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10 (M150:14.45.7Mpa, M10: 9.94.2Mpa, B150: 24.38.3Mpa, B10: 17.27.3Mpa). When the light curing timing was 10sec after bonding, the shear bond strength of Unicem was highest; the shear bond strength of Biscem was highest when the light curing timing was 150sec after bonding (U10: 18.73.80Mpa, B150: 24.38.3Mpa). Significance. Since Unicem is less sensitive based on light curing timing, dentists seem to use it without considering the light curing timing. Maxcem showed the lowest bonding strength (especially M10). Thus, when using Maxcem, dentists need to delay the light curing after adhesion.

  • PDF

화장품에서 UV 차단제의 피부 자극성과 SPF 측정 (SPF Measurement and Cytotoxicity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

  • 김인영;강삼우
    • 분석과학
    • /
    • 제11권2호
    • /
    • pp.79-87
    • /
    • 1998
  • 최근의 소비자들은 waterproof 기능을 가진 광범위한 UV 차단 제품을 선호하며, 피부 안전성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NR method로 세포 자극성(in-vitro)을 실험한 결과, UV-B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8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고, UV-A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6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들의 patch-test는 각각 10.5와 11.25 이하로 피부에 자극성은 없었다. UV 흡수 곡선, UV-B는 octyl methoxycinnamate(OMC), UV-A는 butyl methoxy dibenzoylmethane(BMDM) 가장 적합하였다. 따라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OMC와 BMDM이 nylon과 polyethylene에 코팅된 원료인 $Nylonpoly^{TM}$ UVA/UVB을 사용하였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zinc oxide(ZnO)와 titanium dioxide($TiO_2$)를 사용하였다. ZnO와 $TiO_2$의 혼합 비율은 6:4가 적당하였다. 총 UV차단제의 함량은 ZnO 6%, $TiO_2$ 4%와 $Nylonpoly^{TM}$ UVA/UVB 5%를 썬 스크린 크림에 혼합하였다. In-vi-tro의 SPF값은 38.9이었다. 응용으로, 동일 함량을 넣은 O/W type과 W/S type의 썬 스크린 크림을 만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SPF를 측정한 결과, SPF가 O/W type보다 W/S type이 5배 이상 오래 지속되었다. 이것은 해수욕, 등산, 스키를 탈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매끄러움성, 피부 안전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