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a Gel Chromatography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34초

Solvent Extraction과 Gel Chromatography를 이용한 Phenoxyethanol Galactoside와 Chlorphenesin Galactoside의 정제 (Purifications of Phenoxyethanol Galactoside and Chlorphenesin Galactoside using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Gel Chromatography)

  • 정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54-961
    • /
    • 2017
  • 재조합 ${\beta}$-galactosidase (${\beta}$-gal)을 이용하여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합성된 2-phenoxyethanol galactoside (PE-gal)과 chlorphenesin galactoside (CPN-gal)의 정제를 실시하였다. 먼저 PE와 PE-gal이 포함된 반응물에 ethyl acetate (EA)를 넣고, EA/water 이상계 시스템에서 PE와 PE-gal을 분획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PE는 EA층으로 PE-gal은 water층으로 분획되었다. 그리고, 물층을 모아서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silica gel chromatography만 실시하여 PE-gal을 정제한 경우와, EA 처리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PE-gal을 정제한 경우의 정제 PE-gal에 대하여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TLC (thin-layer chromatography)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EA를 처리하여 분획한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한 시료에서 잔여 PE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silica gel chromatography만 실시하여 PE-gal을 정제한 경우에는 상당량의 잔여 PE가 관찰되었다. 이 때, mole 기준으로 약 21%의 정제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CPN-gal의 정제에서도 EA 분획 처리 후,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더니, 잔여 CPN이 거의 없는 순수한 CPN-gal을 얻을 수 있었다.

Silica-based Gel Filtration 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단백질-실리카 상호작용 (Protein-silica Interaction in Silica-base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 최중갑;유경수
    • 약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61-465
    • /
    • 1991
  • Silica-base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has been used to characterize molecular weight of proteins. However, the molecular weight measured by this method was distorted by protein-silica interactions like hydrophobic and electrostatic forces. Therefore, we characterized protein-silica interaction using two forms of phytochrome (124 kDa) having different hydrophobicity and surface charge. PH and ionic strength affected the retention time of phytochrome suggesting that electrostatic force is the major interaction between protein and silica surface.

  • PDF

옥수수 종실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탐색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Zea mays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300-305
    • /
    • 1993
  • 옥수수 종설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생물질 을 탐색하기 위하여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 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 brassinosteroid 활생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생 성분을 분리하고 H HPLC에 의해 활성 본체를 구명한 결과, castas­t terone과 teasterone이 동정되었는데, 대부분 cas­t tasterone형태로 존재하였다. 옥수수 종실에 함유된 b brassinosteroid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 체중량 g당 3-8ng 수준이였다.

  • PDF

Purification of the Candida utilis Extracellular Invertase using Affinity Chromatography

  • Ginalska, G.;Belcarz, A.;Lobarzewski, J.;Leonowicz, A.;Cho, Nam-S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12-17
    • /
    • 2002
  • The extracellular invertase (EC 3.2.1.26) (Candida utilis) preparation was obtained from the liquid medium after desalting and freeze drying. This prepared enzyme was used for the comparative purification on 4 activated matrices by liquid column affinity chromatography method. In this method there were used controlled porous glass (CPG) silanized covalently activated by keratin, silanized silica gel and silica gel covalently covered by keratin. It was found that the invertase purification process was better using both CPG matrices (silanized CPG and keratin activated CPG) than these with two silica gel supports. Also the elution coefficient of the invertase from the two CPG columns was about 93 to 94%. Two silica gel supports found to be superior in terms of purification efficiency. The invertase purification process was confirmed by PAGE electrophoresis.

들깨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Perilla frutescense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97-202
    • /
    • 1993
  • 들깨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 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각 활성획분에 대해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main brassinosteroid로 castasterone이 그리고 minor brassinosteroid로 homodolicholide가 최초로 동정되었다. 들깨에 함유된 brassinosteroid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 g당 $0.5{\sim}0.8\;ng$ 수준이었다.

  • PDF

두릅수피에서 항미생물활성을 갖는 3,4- 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Bark of Aralia elata)

  • 마승진;고병섭;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07-812
    • /
    • 1995
  • 두릅나무(Aralia elata $S_{EEMANN}$) 껍질의 MeOH 추출물이 세균과 효모, 곰팡이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보여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partition chromatography, HPLC, TLC 등의 기법으로 주활성본체를 분리하였다. MS, GC-MS, IR, 1^H-NMR, 13^C-NMR 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항미생물 활성의 본체구명을 시도한 결과 3,4-dihydroxybenzoic acid로 동정되었다. 3,4-dihydroxybenzoic acid가 항미생물 활성본체로서 분리된 것도 처음으로 생각되며 두릅에서 이 물질이 분리, 동정된 것도 처음으로 생각된다. 건조 두릅껍질 g당 3,4-dihydroxybenzoic acid의 함량은 0.869mg 정도이었다.

  • PDF

부추의 항미생물 활성물질 (Antimicrobial Substances in Leek (Allium tuberosum))

  • 김선재;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04-608
    • /
    • 1996
  • 부추에 존재하는 항미생물 활성물질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항미생물 활성의 검색 및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부추 MeOH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을 17종의 미생물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Gram 양성의 세균, Gram 음성의 세균 그리고 효모에 대해서 광범위한 미생물 증식 억제능을 나타냈다. 부추를 MeOH로 추출,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활성을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TLC, silica gel partition chromatography, HPLC 등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부추에 존재하는 항비생물 활성물질은 약간의 극성을 띠는 중성물질로 200-400정도 분자량을 갖는 6종의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 PDF

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오징어유로부터 eicosapentaenoic acid(EPA) 및 docosahexaenoic acid(DHA)의 분리농축 (Purification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Esters from Squid Oil by Silver Ion Chromatography)

  • 경영수;우영련;윤정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61-364
    • /
    • 2004
  • 은 이온이 불포화 지방산과의 착화합물을 만든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은 이온 교환수지(SER)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SER을 비롯하여 silica gel, 질산은 함침 silica gel, 은 이온 제올라이트를 column 충전물로 사용하여 EPA와 DHA를 분리 농축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SER과 silica gel의 9 : 1(w/w)혼합물을 충전물로 사용하였을 때 결과가 가장 좋았으며 이 경우 EPA와 DHA는 각각 27.9%와 49.1%로 농축되었고 수율은 각각 86.0%, 87.3%로 나타났다. SER만을 사용한 경우 EPA와 DHA는 각각 23.5%와 42.1%로 농축되었으며 이는 SER과 silica gel의 혼합 충전물 사용 시 보다 다소 낮은 결과이었다. 질산은 함침 silica gel의 경우 다른 충전물과 비교하여 농축율과 수율이 그다지 좋지 않았으나 EPA와 DHA의 분리 측면에서는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SER은 재사용이 가능하고, 사용한 은 이온수지 자체도 쉽게 재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한 은 이온도 AgCl 침전이나 $AgNO_3$로 회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다른 농축과정과 비교하여 훨씬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결명자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Cassia tora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99-104
    • /
    • 1993
  • 결명자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각 활성획분에 대해 TLC 및 $C_{18}$ column과 ODS column을 사용한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결명자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로 최초로 teasterone, castasterone, brassinolide 가 동정되었다. 결명자에 함유된 brassinosteroid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g당 $3.5{\sim}5.5\;ng$ 정도였으며, 동정된 3종의 brassinosteroid는teasterone, castasterone, brassinolide순으로 존재하였다.

  • PDF

벼종자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oryza sativa seeds)

  • 박근형;김선재;박종대;이란숙;현규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5호
    • /
    • pp.376-380
    • /
    • 1993
  • 벼종자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동진벼 미숙종자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raphy 등으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성성분을 분리하였다. HPLC에 의해 활성본체를 구명한 결과, castaserone, teasterone, 6-deoxocastasterone이 최초로 동정되었다. 벼종자에 함유된 brassinosteroid 활성물질의 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체중량 g당 $0.5{\sim}1.5\;ng$ 수준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