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age Additiv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8초

찰 옥수수 과피두께의 유전 (Interitance of Pericarp Thickness of Waxy Maize)

  • 이인섭;최봉호;이원구;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89-494
    • /
    • 1993
  • 6개 자식계통 옥수수에 의한 이면교배 조합들 (역교배 포함 30조합)에 대하여 찰옥수수의 식미를 좌우하는 과피두께에 관한 유전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식계통 가운데서 옥수수 과피의 두께가 가장 얇았던 것은 제원계통이었다. 2. 교잡종 중에서 과피의 두께가 가장 얇았던 것은 제원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된 교잡종들이었다. 3. 자식계통 가운데 칠보와 당진 계통도 과피가 얇은 편이었는데 이들이 교배된 조합들 역시 과피두께가 않았다. 4. 과피두께가 가장 두터웠던 자식계통은 단양계통이었는데, 이를 양친으로 이용된 교배조합들이 비교적 과피두께가 두터웠다. 5. 옥수수립의 과피두께는 옥수수립의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옥수수의 배 부위의 과피가 않았고, 옥수수립의 측면에서는 큰 차이를 찾아 볼수 없었으나 다른 부위보다는 비교적 두꺼웠다. 6. 옥수수립의 상, 하 부위에 따른 과피 두께도 교잡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입의 하위부분보다 상위부위의 두께가 좀 더 않았다. 7. 옥수수입의 두께에 미치는 유전적 효과를 보면 일반조합능력의 효과에 의한 영향이 보다 켰고, 특정조합능력의 효과는 분산의 크기에 있어서 일반조합능력의 효과보다 적 었다. 8. 양친 계통의 일반조합능력 효과에 있어서도 제원계통의 효과와 단양계통에 의한 효과가 대조적으로 큰 차이가 있어서 계통효과(line of fects)가 켰음을 확인하였다. 9. 과피두께에 관여하는 유전인자의 효과는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과피두께를 얇게 하는 유전인자 효과는 과피를 두껍게 하는 유전인자의 효과보다 우성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Effects of purified lignin on in vitro rumen metabolism and growth performance of feedlot cattle

  • Wang, Yuxi;McAllister, Tim A.;Lora, Jairo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3호
    • /
    • pp.392-399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s were to assess the effects of purified lignin from wheat straw (sodium hydroxide dehydrated lignin; SHDL)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and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feedlot cattle. Methods: In vitr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incubating a timothy-alfalfa (50:50) forage mixture (48 h) and barley grain (24 h) with 0, 0.25, 0.5, 1.0, and 2.0 mg/mL of rumen fluid (equivalent to 0, 2, 4, 8, and 16 g SHDL/kg diet). Productions of $CH_4$ and total gas, volatile fatty acids, ammonia, dry matter (DM) disappearance (DMD) and digestion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or starch were measured. Sixty Hereford-Angus cross weaned steer calves were individually fed a typical barley silage-barley grain based total mixed ration and supplemented with SHDL at 0, 4, 8, and 16 g/kg DM for 70 (growing), 28 (transition), and 121 d (finishing) period. Cattle were slaughter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carcass traits were assessed. Results: With forage, SHDL linearly (p<0.001) reduced 48-h in vitro DMD from 54.9% to 39.2%, NDF disappearance from 34.1% to 18.6% and the acetate: propionate ratio from 2.56 to 2.41, but linearly (p<0.001) increased $CH_4$ production from 9.5 to 12.4 mL/100 mg DMD. With barley grain, SHDL linearly increased (p<0.001) 24-h DMD from74.6% to 84.5%, but linearly (p<0.001) reduced $CH_4$ production from 5.6 to 4.2 mL/100 mg DMD and $NH_3$ accumulation from 9.15 to $4.49{\mu}mol/mL$. Supplementation of SHDL did not affect growth, but tended (p = 0.10) to linearly reduce feed intake, and quadratically increased (p = 0.059) feed efficiency during the finishing period. Addition of SHDL also tended (p = 0.098) to linearly increase the saleable meat yield of the carcass from 52.5% to 55.7%. Conclusion: Purified lignin used as feed additive has potential to improve feed efficiency for finishing feedlot cattle and carcass quality.

육계분과 제과부산물을 이용한 반추가축용 완전혼합사료(TMR) 제조 시 가공처리 방법이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nufacturing Methods of Broiler Litter and Bakery By-product Ration for Rumina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 곽완섭;윤정식;정근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93-60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육계분과 제과부산물로 구성되는 반추가축용 TMR의 효과적인 제조 방법 모색을 위하여 총 5회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실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험 1: 퇴적발효 공법을 이용한 TMR의 소규모(1 ton) 제조. 실험 2: 퇴적발효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TMR의 펠렛화. 실험 3: 퇴적발효 공법을 이용한 TMR의 현장 규모(15 ton) 제조. 실험 4: 혐기발효 공법을 이용한 TMR의 현장 규모(0.5 ton 타이콘백 이용) 제조. 실험 5: 육계분 단독 퇴적발효 후 급여 시 TMR 제조. 선별 육계분과 건조 제과부산물은 총가소화영양소(TDN) 함량이 69%(체중 200 kg의 육성 한우 요구량 충족)가 되도록 혼합되었으며, 각 실험별 처리에 따른 온도 변화, 외관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성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육계분에 제과부산물을 혼합함으로서 OM은 상당히 증가하였고(P<0.05), 과다한 단백질과 섬유소 함량은 육성우 요구량 수준으로 낮아지는(P<0.05) 등의 영양적으로 상호 보완적인 조화를 보였다. 실험 1과 3의 퇴적발효 공법 적용 시 발생된 발효열은 살균 효과를 충족시킬 정도로 상승하였으며, 공정 중의 화학적 성분상의 손실은 미미하였고, 표층의 공기 접촉 부위에 흰 곰팡이가 발생하고, 내부 고열로 인한 부분적 숯화(charring) 현상이 나타났다. 이의 펠렛화 시(실험 2) 단순 소형 펠렛기의 이용이 충분히 가능하였으며, 공정 중의 약간의 OM 손실과 ADF-CP 증가 현상이 수반되었다(P<0.05). 실험 4의 혐기발효 공법 적용 시 공정 간의 true protein : NPN 비율의 감소(P<0.05) 현상 이외에는 별다른 화학적 성분상의 차이는 없었으나, 한 달간의 발효기간만으로는 양호한 발효 성상을 보이지 못하였다. 실험 5의 육계분 단독 퇴적발효는 true protein : NPN 비율 감소(P<0.1), 섬유소 중 hemicellulose 함량 감소(P<0.05) 및 ADF-CP 함량 증가(고열로 인해)를 초래하는 경향이었고(P<0.1), 퇴적발효된 육계분을 급여 전에 제과부산물과 혼합하는 것도 위생적이고, 영양 보전적인 방법인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