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umja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Statistical Analysis of Effective Components for Aroma of Sigumjang

  • Choi, Ung-Kyu;Park, June-H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249-254
    • /
    • 2005
  • The relationship between Sigumjang gas chromatographic patterns precisely analyzed with capillary column and ranked order in sensory analysis was investigat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ghly predictable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obtained in the analysis. Ninety percent of the Sigumjang aroma was explained by the regression models at step 15 in four transformation except for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root square and relative value transformed with logarithm. The aroma of Sigumjang was most affected by 2,3-dimethylpyrazine at absolute value and absolute value transformed with logarithm and by 2-furancarboxaldehyde in other transformation. The quality of sigumjang was highly affected by ${\beta}$-phallendrenal, methylpyrazine, tetramethylpyrazine, 5-methyl-2-furancarboxaldehyde, unknown 2, octanoic acid, 4-ethylphenol, methyl 10,13-octadecanoate and ethyl linoleate.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의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the Flavor Components of Barley Bran, Barley Meju and Sigumjang)

  • 최웅규;곽동주;손동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3-30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의 향기성분 조성차이를 규명하였다.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에서 동정된 향기성분은 각각 46, 67 및 61종이었다. 시금장의 향기성분은 tetramethylpyrazine > 2-furancarboxaldehyde > ethyl palmitate > 4-ethylphenol의 순으로 많았다. 보리등겨, 보리메주 및 시금장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13종이며, 이 중 butanoic acid,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및 2-보리메주와 시금장으로 진행될수록 그 함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nonanoic acid, 2-furancarboxaldehyde, benzenacetaldehyde 및 tetramethylpyrazine은 보리등겨에서 보리메주와 시금장으로 진행될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전통 시금장 메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Th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jang Meju)

  • 최웅규;김영주;지원대;손동화;최동환;정민선;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87-8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수집한 시금장 메주와 보리 등겨의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보리 등겨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52가지이었다. 이 중 hexanal의 함량이 20.53 area %으로 가장 많았으며, butanoic acid>2-pentylfuran>hexanoic acid의 순으로 많았다. 12종의 시금장 메주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66가지이었다. 함량은 2-furancarboxaldehyde와 1-(3-methoxyphenyl)-ethanone 및 tetramethylpyrazine이 동정된 다른 향기성분의 함량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리등겨와 시금장 메주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22종이었으며, 이 중 butanoic acid, hexanal 및 2-pentylfuran은 보리등겨에서 그 함량이 훨씬 많았으며, 2-furancarboxaldehyde, 1-(3-methoxyphenyl)-ethanone 및 tetramethylpyrazine은 시금장 메주에서 그 함량이 훨씬 많았다. 보리등겨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30종이었으며, 시금장 메주에서만 검출된 성분은 44종이었다.

  • PDF

시금장의 제조방법 조사 및 맛의 통계적 평가 (Producing Method and Statistical Evaluation of Taste of Sigumjang)

  • 최웅규;손동화;지원대;최동환;김영주;이성원;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78-787
    • /
    • 1999
  • 시금장의 품질표준화를 위하여 시금장의 제조방법을 조사하고, 시금장의 각종 맛성분과 관능검사 점수사이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시금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금장의 제조방법은 훈연과정을 거치는 것이 매우 특징적이었다. 시금장의 맛성분 중 아미노산의 함량은 proline>valine>glutamic acid>alanine의 순으로 높았다. 유기산은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만이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maltose>fructose>inositol>mannitol의 순으로 많은 함량을 보였다. 각 성분의 함량과 관능검사 점수 사이의 단일상관은 전체적으로 낮아 시금장의 맛을 한개의 성분만으로 설명할 수 없었다. 가장 상관이 높은 성분은 inositol과 fructose였다.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행한 결과 절대치와 상대치의 대수변환에서 각각 17와 16개의 성분으로 시금장 맛의 90%를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시금장, 청국장 및 표고버섯을 혼합 발효한 제품의 이화학 및 기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products by using Sigumjang, Cheonggukjang and oak mushroom)

  • 지견(홍지형);김수정;김은주;호성(김형수);황은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6-28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국장, 시금장, 표고버섯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새로운 발효 식품(일명: 청금장)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금장, 청국장, 시금장과 청국장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청금장 A(Sigumjang:Cheonggukjang=1:2), 청금장 B(Sigumjang:Cheonggukjang=1:1), 청금장 C(Sigumjang: Cheonggukjang=2:1) 시료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청금장은 시금장보다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청국장보다 지방과 칼로리는 낮았으나, 유리당 함량은 청금장 C에서 5.8681 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시금장과 청금장 C가 양성대조구인 BHT와 유사할 정도로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능은 시금장이 가장 높은 SOD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고 청금장 중에서는 청금장 C가 가장 높았다. 금속이온의 지방산패 촉진에 대한 청금장의 억제능은 $Cu^{2+}$ ion에 대한 억제능보다 $Fe^{2+}$ ion에 대한 억제능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활성 산소종의 지방산패 촉진에 대한 청금장의 억제능은 $KO_2$보다 $H_2O_2$에 대한 억제능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저해능은 700 ppm 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특히 시금장과 청금장 C는 높은 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능은 모든 농도(300 ppm, 500 ppm, 700 ppm)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시금장과 청금장 C는 높은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능을 나타내어 혈당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관능평가 결과 청금장 C가 색, 향기, 쓴맛, 짠맛 및 종합적인 맛에서 가장 높은 평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시금장과 청국장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시금장과 청국장을 2:1로 혼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Sigumjang Aroma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Gas Chromatographic Profiles

  • Choi, Ung-Kyu;Kwon, O-Jun;Lee, Eun-Jeong;Son, Dong-Hwa;Cho, Young-Je;Im, Moo-Hyeog;Chung, Yung-G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476-481
    • /
    • 2000
  • A linear correlation, b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found between the sensory test of Sigumjang aroma and the gas chromatographic data which were transformed with logarithm. GC data is the most objective method to evaluate Sigumjang aroma. A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more than 0.9 were obtained at the 9th and 13th steps, respectively. At step 31,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level of 0.95 was attained. The accuracy of its estimation became higher as the number of the variables entered into the regression model increased. Over 90% of the Sigumjang aroma was explained by 13 compounds indentified on GC. The contributing proportion of the peak 26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eaks 57 (9.27%), 29 (7.51%), 54 (6.01%), 8 (5.99%), 49 (4.97%), and 13 (4.11%).

  • PDF

시금장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f Sigumjang with Fermentation)

  • 최응규;권오준;손동화;차원섭;조영제;이석일;양성호;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7-112
    • /
    • 2001
  • 시금장의 발효기간별 각종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세균은 발효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효모와 곰팡이는 발효 3일째까지는 그 수가 점점 증가하다가 4일째 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젖산균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5종류가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및 butyric acid 등 3종이 검출되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와 citric acid가 가장 많았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1,407.9{\sim}3,053.9\;mg%$였으며, glutamic acid>phenylalanine)arginine>valine순으로 많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4.4{\sim}37.0\;mg%$였다. 총 무기질 함량은 $12,966.7{\sim}13,864.5\;mg%$였으며, 첨가된 Na를 제외하면 K>P>Mg>Ca>Fe>Zn>Mn>Cu의 순으로 많았다. Ca과 P의 비는 0.1이었다. 시금장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18:2, 16:0, 18:1이 전체의 약 92.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총 불포화 지방산은 $76.3{\pm}1.1%$였다. 관능검사결과 $20^{\circ}C$에서 3일째부터 5일째 사이에 가장 높았다.

  • PDF

전통 시금장 발효기간별 Aflatoxin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Aflatoxin and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jang)

  • 손동화;최웅규;권오준;임무혁;단경녀;차원섭;조영제;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1-18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금장의 발효기간별 각종 성분변화와 aflatoxin의 함유유무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조단백의 함량은 $19.8{\sim}20.8%$였다. 조지방은 $1.3{\sim}1.6%$였으며, 회분은 $3.1{\sim}3.2%$였다. 시금장을 제조한 직후의 pH는 5.79였으며, 발효가 진행될수록 낮아져서 발효 6일째에는 4.24를 나타내었다. L값은 $29.45{\sim}30.94$사이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a값과 b값은 각각 $+3.01{\sim}+3.63$사이와 $+5.39{\sim}+6.34$사이로 나타났다. aflatoxin은 발효 전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금장의 발효기간 동안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81가지로 ester류가 17종, acid류가 12종, aldehyde류가 11종, alcohol류와 phenol류가 각각 8종, ketone류가 5종, pyrazine류, furan류, hydrocarbone류가 각각 3종, sulfur-containing compound가 2종, 질소함유화합물과 pyridine류가 각각 1종, 기타 7종이었다.

  • PDF

시판 전통 시금장 메주의 품질특성조사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igumjang meju)

  • 정영건;손동화;지원대;최웅규;김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1-237
    • /
    • 1999
  • 시금장 메주는 보리등겨를 도우넛형태로 반든 후 훈연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징적이었으며 평균 발효기간은 약 60일에서 90일 정도였다. 호기성 세균수는 $6.8{\times}10^7\;cfu/g$으로 $3.2{\times}10^6\;cfu/g$인 혐기성 세균수에 비해 20배 가량 많았다. 효모와 곰팡이의 수는 각각 $1.0{\times}10^6\;cfu/g$$4.0{\times}10^5\;cfu/g$였다. 수분함량은 $10.5{\pm}2.6%$, 지방함량은 $2.9{\pm}1.1%$, 단백질과 회분은 각각 $8.3{\pm}0.7%$$3.8{\pm}0.7%$가 함유되어 있었다. pH는 $6.0{\pm}0.5$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가 $54.5{\pm}4.7$, 적색도는$+3.3{\pm}0.7$, 황색도는 $+10.7{\pm}2.0$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K가 $910.8{\pm}207.3\;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P > Mg> Ca > Na > Fe > Zn > Mn > Cu의 순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Ca과 P의 비는 0.1로 조사되었다. 유리당은 maltose를 포함하여 5종류가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524.9{\pm}1295.3\;mg%$이었고 proline>valine>alanine>tyrosine>glutamic acid의 순이었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0.0{\pm}12.9%$로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구성 지방산은 18 : 2, 18 : 1, 16 : 0이 전체의 93.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포화지방산은 $23.2{\pm}1.9%$,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23.5{\pm}5.2%$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FA/SFA는 $2.3{\pm,}0.3$으로 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경북 동해안 지역 식생활 문화에 관한 연구(I) - 일상식과 특별식 - (The Study of Dietary Culture in East Cot Area in Kyungpook Province (I) - for Normal and Particular Folk Meals -)

  • 윤숙경;박미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7-81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surveyed for the normal meal and particular folk meal in east cot area in Kyungpook province, Pohang, Youngduk, and Uljin areas. The results are as below: Most subjects for surveying were 30-40 years old and permanent residents in those areas. For the normal meal, the boiled rice was the top main dishes among 18 main dishes. The folloing upper five main dishes were boiled bean rice, boiled barley rice, boiled miscellaneous cereals rice, noodles, and Bbimbab (miced rice with cooked various vegetables and meats). Less frequent main dishes were raw fish Bbimbab and the various fish soups etc. The two upper side dishes, out of 17 surveyed ones, were kimchi and soybean paste soup. Twelve dishes(about 70%) out of 17 side dishes, the loach soup, the marinated and fermented raw fishes (fish Sikhae'), the baked mackerel, the pickled fishes, the friedsardine, the green seaweed, and the quid, etc. were made from the sea products. For the particular folk meal, about 30 kinds of the specific folk food items of this area were surveyed: Gudungchi' Sikhae', which was made with seaweed, out of the 11 kinds of fish Sikhae', raw fish(Whae') in water, Sigumjang', a salty agar, a steamed seaweed which was covered with the flour or bean power the various kinds of fish soups, the various kinds of fish stews were the particular folk side dishes in these areas. The dietary habit in these east coast areas were affected by the various sea food products, the fishes and the seaweeds, which were acquired easily through four season in these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