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alized intersection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7초

교차로에 인접한 부 도로의 적정 이격거리 산정 (Determination of the Required Minimum Spacing Between Signalized Intersection and Minor Road)

  • 권성대;김윤미;강남원;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573-582
    • /
    • 2014
  • 교차로에 인접한 부 도로에 대한 설치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설치 및 운영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교통소통과 교통안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교차로 진출입과 관련하여 운영적인 측면에서는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지만, 교차로에 인접한 부 도로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미흡하고 이에 따른 합리적인 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에 인접한 부 도로에서 진출하는 차량에 대한 행태를 조사하고, 교통소통과 안전을 고려하여 교차로에 인접한 부 도로의 적절한 이격거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교통소통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교차로에 인접한 부 도로의 적정길이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교차로에 인접한 부 도로와과 관련된 설치기준 정립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신호등 설치 밀도가 일반국도의 구간 통행속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Signalized Intersection Density on Travel Speed for Korea's National Highways)

  • 정준화;문재필;김영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28
    • /
    • 2007
  • 국내 일반국도는 고속도로와 함께 도시 간을 연결하는 이동성 기능중심의 도로로 고속도로의 우회도로로써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현황을 살펴보면 유 출입이 완전히 통제된 수준의 도로에서부터 신호교차로가 빈번하게 설치되어 시가화 된 수준의 도로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일반국도의 구간 통행속도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변수로는 도로의 기하구조와 교통상황 등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중에서 신호등에 의한 속도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반국도의 통행속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호등 설치밀도였으며, 신호등 설치밀도가 0.3개/km 이하에서는 일정속도를 유지하고 0.7개/km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이후에는 속도가 낮게 안정화되었고, g/C=0.6은 0.8에 비해 $3{\sim}9km/h$로 감속되었다. 교통량 수준별로는 신호등 설치밀도가 미치는 영향이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전교차로의 접근로 신호최적화를 통한 도입효과 분석 (Measurement of Effectiveness of Signal Optimized Roundabout)

  • 엄정은;정희진;배상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1-98
    • /
    • 2015
  • PURPOSES : Although signalized intersections have been considered the best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in urban areas for several decades, roundabouts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as an alternative way to control traffic volume, especially when traffic is light. Because a roundabout's efficiency depends on the load geometry as well as the traffic volume, design guidelines for roundabouts are recommended only if the incoming traffic volume is very low. It is rare to substitute a roundabout for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 urban area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benefits from the transformation of 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into a roundabout in an urban area. When there is a more moderate volume of traffic, roundabouts can be effectively used by optimizing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way. METHODS : The methodologi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 signalized intersec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traff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signalized intersection was transformed into a roundabout using VISSIM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Then, we estimated and analyzed the effects and the performance of the roundabout. In addition, we adjusted a method to improve the benefits of the transformation via the optimization of signals located at an approaching road to control the incoming traffic volume.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improved delays compared with the signalized intersection during the morning peak hour, non-peak hour, and evening peak hour by 1.78%, 12.45%, and 12.72%, respectively.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of each scenarios, the signal-optimized roundabout had less delay time tha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If optimized signal control algorithms are installed in roundabouts in the future, this will lead to more efficient traffic management.

도로주행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신호교차로 속도저감에 대한 Positive Guidance 효과 연구 (Effectiveness of Positive Guidance for Speed Reduc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 by Using Driving Simulator)

  • 노관섭;이종학;김종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9-67
    • /
    • 2011
  • 신호교차로 구간의 위험원인에 대해서 사전에 사고예방을 강구한다면 사고건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신호교차로에서 기하구조 개선과 같이 많은 예산을 투자하지 않더라도 사고감소효과를 낼 수 있다. PG(Positive Guidance) 기법은 신호교차로에서 도로안전시설물의 개선을 통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속으로 인해서 사고위험성이 높은 신호교차로 1곳을 선정하여 대상지점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선정된 구간은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대상구간의 현황을 그대로 재현하여 실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PG개선 전 후의 지점별 속도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선 후에는 운전자가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아서 신호교차로 부근에서 속도를 감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PG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일부 신호교차로에 대해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지 않더라도 저비용으로 교통사고 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회전교차로와 4지 신호교차로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odern Roundabouts and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 박병호;김태영;한상욱;양정모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7-35
    • /
    • 2009
  • 회전교차로(roundabout)는 영국에서 교통서클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영국은 1966년 모든 회전교차로에서 "우선권(give-way)"제도를 도입하였는데, 그것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은 교차로 내에서 가장 멀리 회전하는 차량에 우선권을 주거나 양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나 유럽에서 사용되는 회전교차로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전교통량의 변화를 반영하여 분석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회전교차로와 신호교차로를 SIDRA를 이용하여 평균제어지체를 분석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2,000pcph 이하일 때,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둘째, 2차로 회전교차로는 총 진입 교통량이 3,200pcph 이하일 경우에 신호교차로보다 효과적이 된다. 셋째, 좌우회전 전용차로 설치 교차로일 경우 회전교차로의 면적이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 PDF

도로안전시설의 사고감소효과 메타분석 :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Road Safety Facilities on Accident Reduction: Focusing on Signalized Intersection)

  • 최지혜;임준범;이수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1-303
    • /
    • 2016
  • 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건수는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2014년 전체 교통사고의 44%를 차지하면서 교차로는 교통안전에 취약한 도로형태로 주목되고 있다. 특히 선정된 사고다발지점 대다수가 신호교차로를 포함하고 있어, 신호교차로의 안전개선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주로 도로안전시설 개선사업을 시행하여 주어진 예산 내에서 단기간에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안전개선사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안전시설의 사고감소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나 독립적으로 수행된 연구별 특성은 종합하기 어렵고, 각 연구결과가 대표성을 갖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전히 한정된 예산과 불확실한 도로안전시설 설치효과로 인해 선뜻 안전개선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기존의 신호교차로 교통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활용한 여러 사고예측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각 변인이 대표할 수 있는 개선효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 전체 사고건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 중 19건의 논문을 선정하고 8개 변인에 대한 34개의 개별효과크기(effect size)를 산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도로안전시설 설치와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의 관계는 좌회전 전용차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사고영향을 나타내어, 도로안전시설이 사고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통계적인 결과자료를 도출하였다. 그 중 도류화설치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 좌회전차로 가속구간, 조명시설, 횡단보도, 우회전 전용차로, 중앙분리대 순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호교차로에서 곡선반경에 따른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 산정 (Estimation of the Through Car Equivalent for Left-Turn Movement According to the Left-Turn Curve Radius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

  • 오영태;김기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28
    • /
    • 2001
  • 본 연구는 다양한 좌회전 곡선반경을 갖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포화교통류율의 분석을 통하여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를 산정하는 것이다. 한국 도로 용량편람에서는 곡선반경이 약 20m 이상인 곳에서는 좌회전 전용차로에 대하여 직진과 같은 포화교통류율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어 좌회전 보정계수는 없는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KHCM은 간선도로 위주로 조사 분석되어 곡선반경이 20m 이하인 교차로가 제외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좌회전 전용차로 1개를 갖고 곡선반경이 20m 이하인 교차로 포함하여 다양한 곡선반경 가진 교차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포화교통류율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분산분석의 후속단계인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방법중 던컨검정(Duncan's Test)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좌회전의 직진환산계수는 도로용량편람에서 교차로 분석시 교차로 곡선반경을 반영한 정확한 포화교통류율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좌회전 곡선반경 20m 미만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S는 직진포화교통류율 보다 낮게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직진환산계수화 시키면 좌회전 곡선반경에 따라서 1.05에서 1.14사이다.

  • PDF

신호교차로 안전성향상을 위한 단속카메라의 효과분석 연구 -측면직각 충돌사고를 중심으로- (Effect Analysis on Red Light Camera for Signalized Intersection Safety -Focused on Side Right-Angle Collision Accidents-)

  • 오주택;김용석;이용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9-127
    • /
    • 2015
  • PURPOSES : Before-and-after studies of red light cameras were conducted with the aim of reducing the number of side right-angle collisions.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used for the before-and-after studie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METHODS : This research used the naive before-and-after method, the comparison-group method, and the empirical Bayes method to study the effects of red light cameras on side-angle collisions. The results of the three before-and-after methods were compar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safety indication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RESULTS :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ide right-angle collisions can be reduced by installing red light camera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ll three methods guarantee safety improvements of 25~30% on average.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each method, the naive before-and-after method, the comparison-group method, and the empirical Bayes method showed safety improvements of 25.6%, 27.8%, and 29.7%, respectively.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red light cameras are an effective countermeasure to improve intersection safety. In particular, by installing red light cameras, side right-angle collisions can be reduced by up to approximately 25~30%.

기존 HCM 분석방법과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신호교차로의 차로별 분석방법 연구 (Assessing Signalized Intersection Performance by Individual Lane Level Using Current HCM Methods and Software)

  • 이재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49
    • /
    • 2008
  • 현재 HCM 신호교차로의 운영평가는 차로군 단위로 이루어져 차로별 고유 특성을 일반화하여 실제교통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추가적인 자료수집을 요구하지 않고 현 HCM 분석방법과 관련 software를 활용하여 신호교차로 운영을 차로별로 분석하는 단계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차로별 분석결과는 현재 HCM 차로군 분석결과와 차로별 분석이 가능한 호주 HCM 분석방법을 따르는 aaSIDRA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차로별 분석방법은 현 HCM 방법에 비해 HCM 지체도 산정공식중 증분지체의 민감도에 따른 영향으로 미미하게 높은 지체도를 보였다. 포화도와 대기행렬길이 등의 부가적인 효과척도는 두 방식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고 aaSIDRA와의 결과비교에서는 비보호좌회전차로의 분석결과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차로별 분석방법은 보다 미시적인 신호교차로 분석을 통해 현 분석 방법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