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 Language Interpret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수어통역사 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수어통역사, 청각장애인통역사, 농인의 인식 (Perception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Deaf Interpreters and Deaf on Opera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Qualification System)

  • 이준우;황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43-556
    • /
    • 2021
  • 본 연구는 현장에서 수어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어통역사와 청각장애인통역사 그리고 수어통역서비스를 이용하는 농인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현 수어통역사 자격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수어통역사 자격제도 운영의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각 그룹별로 세 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를 다시 종합한 결과 '수어통역 역량과 전문성을 공인받을 수 있는 자격제도로의 변화'와 '한국수어와 농문화에 기초한 자격제도로의 개선'으로 정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어통역사 자격시험 관리 운영을 전담하는 상설 기관 신설', '수어통역의 전문성 및 수준과 경력이 반영된 자격제도로 개편', '모든 시험 문제와 시험의 과정을 수어 중심으로 진행', '농인이 주체가 되는 시스템', '수어통역사와 청각 장애인통역사를 위한 윤리강령 제정'을 제언하였다.

수화통역사를 위한 강의실 및 강당에서의 정보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Information Support System in the Classrooms and Auditoriums for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s)

  • 유현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13-518
    • /
    • 2010
  • 청각장애인의 사회진출의 증가로 대부분의 강연회에서 청각장애인을 고려한 수화통역사의 배치와 통역내용의 명확성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통역내용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화통역사는 강연자의 모습과 강의내용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반드시 청중을 바라보면서 통역을 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규모의 강연회를 고려한 강의실과 강당에서 수화통역사에게 강연자의 모습과 강연 내용 등의 정보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관련 시스템, 실험 방법 등에 관해 서술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화통역사에게 제안한 시스템을 통한 강연 내용과 강연자의 모습에 대한 영상을 제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CNN기반의 온라인 수어통역 상담 시스템에 관한 연구 (CNN-based Online Sign Language Translation Counseling System)

  • 박원철;박구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7-22
    • /
    • 2021
  • 청각장애인들은 수어통역 없이 상담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수어 통역사 인력이 많이 부족하여 수어 통역사까지 상담이 연결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거나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penCV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수어를 영상으로 촬영하고 수어 동작을 인식하여 수어가 뜻하는 의미를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담사는 저장된 수어번역 상담내용을 열람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전문 수어 통역사가 없어도 상담이 가능하여 수어 통역사를 기다려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제안 시스템을 청각장애인 상담서비스에 적용할 경우 상담 효과의 향상과 향후 청각장애인 상담에 관한 학문적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상처리 기반 숫자 수화표현 인식 알고리즘 (Numeric Sign Language Interpreting Algorithm Based on Hand Image Processing)

  • 권경필;유준혁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33-142
    • /
    • 2019
  • The existing auxiliary communicating aids for the hearing-impaired have an inconvenience of using additional expensive sensing devices. This paper presents a hand image detection based algorithm to interpret the sign language of the hearing-impaired. The proposed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exploits the hand image only captured by the camera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gloves with extra sensors. Based on the hand image processing, the system can perfectly classify several numeric sign language representations. This work proposes a simple lightweight classification algorithm to identify the hand image of the hearing-impaired to communicate with others even further in an environment of complex backgrou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interpret the numeric sign language quite well with an accuracy of 95.6% on average.

수화언어통역서비스에 대한 청각장애인의 주관적 인식 유형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earing-Impaired Persons o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 오수경;송미연
    • 재활복지
    • /
    • 제21권4호
    • /
    • pp.1-31
    • /
    • 2017
  •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에게 보다 유용한 수화언어통역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Q방법을 활용하여 청각장애인의 수화언어통역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과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39개의 진술문을 추출하고, 청각장애인 20명에 대한 Q분류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인이 많이 이용하는 기관에 수화통역사를 배치하는데 대한 공통 인식 분석과 함께, '수화언어통역의 전문화 추구형', '전통적인 수화언어통역서비스 추구형', '수화언어통역서비스 확대 및 개선 추구형' 등 차별화된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주요 공공시설에 수화통역사 상주화 방안, 수화통역사 자격제도 및 교육훈련과정의 개선 방안, 영역별 전문화와 수화언어통역서비스 형태의 개선 방안, 고령층에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수화언어통역 이용자의 욕구를 반영한 수화통역사 배치 등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딥러닝 방식의 웨어러블 센서를 사용한 미국식 수화 인식 시스템 (American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Using Wearable Sensors with Deep Learning Approach)

  • 정택위;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91-298
    • /
    • 2020
  • 수화는 청각 장애인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러나 수화는 충분히 대중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청각 장애인이 수화를 통해서 일반 사람들과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팅 및 딥러닝 기반 미국식 수화인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손등과 손가락에 장착되는 총 6개의 IMUs(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를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여 156개 특징이 수집된 데이터 추출을 통해서 총 28개 단어에 대한 미국식 수화 인식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LSTM (Long Short-Term Memory)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대 99.89%의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었고 향후 청각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지역 청각·언어장애인의 구강위생관리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y about Oral Hygiene Management Attitude among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Speech defect in an Area)

  • 이정희;박명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3-278
    • /
    • 2010
  • This study surveye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speech defect living in an area of Gyeonggi-do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ed them with a deaf interpreter's help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1 to February 14, 2009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oral health management attitude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to the number of times of tooth brushing according to gender, 62.5% of males and 34.2% of females brushed their teeth 2 times, and 25.0% and 35.4% 3 times. 2. As to experiences in scaling according to Academic qualification, those with high academic qualification had scaling more regularly 3. As to tooth brushing methods according to cohabitant, the rolling method was most common regardless of cohabitant. As to the number of times of tooth brushing according to residence type, 41.9% of those living with their parents brushed their teeth 3 times, and 69.2% of those living alone and 47.5% of married ones 2 times. 4. With regard to how to access oral hygiene management education, 81.1% of elementary school graduates used multimedia materials and sign language explanation and captions, 48.6% of middle school graduates used multimedia materials and sign language explanation and 14.3% multimedia materials and captions, 50.0% of high school graduates used multimedia materials and sign language explanation and 17.3% multimedia materials and captions. The parish for the buccal cavity hygiene managements of the hearing impairments speech defect and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are needed.

u-Learning 기반 IT 직업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A Survey Study of IT Vocational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in Ubiquitous Learing for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s)

  • 이근민;김동옥;이신영
    • 재활복지
    • /
    • 제15권4호
    • /
    • pp.351-37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u-Learning 학습매체인 IT 기기와 웹 기반의 e-Learning 교육을 서로 호환할 수 있는 IT 직업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청각장애인의 접근성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 그리고 u-Learning 기반 차세대 IT 학습 매체로서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장애인 기관협회의 수화통역사 사전교육을 통하여 경북·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100명의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 컴퓨터 교육과 웹 기반의 e-Learning 교육에 대한 청각장애인에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는 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수화 동영상 및 자막 서비스를 제공해 주지 않는 점과 더불어 강의내용에 대한 청각장애인의 의미파악에 어려움으로 인해 학습효과가 낮아 수화통역이 가능한 교수와 꾸준한 상호협력 및 멘토링이 필요하며, 또한 자막의 크기와 색상 및 배치, 수화동영상의 크기와 배치 등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사용자환경 설정 및 강의 내용과 자막서비스를 동시에 텍스트를 제공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u-Learning 학습매체인 IT 기기와 웹 기반의 e-Learning 교육을 서로 호환할 수 있는 IT 직업교육과정 개설 시 수업참여 여부가 74%로 나타나 청각장애인에게 높은 기대감을 보여 IT 직업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T 직업교육과정을 수강하기 위한 선호하는 IT 기기로는 태블릿 PC가 가장 높았으며, IT직업 교육과정의 개설과목으로 IT 관련 자격증 과목개설을 가장 많이 선호하여 취업을 연계하기 위해서 컴퓨터 중급부터 고급과정까지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IT 직업교육과정의 다양한 콘텐츠가 필요할 것이다.

청각 장애인용 그림 직업흥미검사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Picture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 System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 반재훈;박혜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37-440
    • /
    • 2010
  •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직업을 통해 생활에 필요한 재화를 획득하고 나아가 자기 자신과 공동체에 대한 의미와 보람을 발견한다. 장애를 지닌 사람에게도 직업은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며, 직업을 통해 완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가게 된다. 청각장애인의 경우 짧은 근속기간과 높은 이직률이 문제로 지적되며, 매우 불안정한 고용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마련의 일환으로 청각장애인의 전반적인 심리적 특성과 직업적 흥미나 적성 등을 측정하는 직업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인의 직업평가를 위해 웹을 지원하는 청각장애인용 그림 직업흥미검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 대상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개발한 청각장애인용 그림 직업흥미검사를 이용한다. 이 검사는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동일한 장소에서 피검자와 검사자, 수화통역사가 검사를 수행하므로 검사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인터넷을 이용한 그림 직업흥미검사를 제공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평가의 용이성과 접근성을 보장한다.

  • PDF

임상병리기술학 전공 유사 취업연계 자격 현황 (Status of Employment-Related Qualifications Similar to a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Major)

  • 성현호;김대식;조영국;윤기남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25-5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병리 전공 유사 취업연계가 가능한 다양한 자격증을 조사하고 취득 방법과 활용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공 외 취업 연계 가능 자격은 산업보건지도사, 도핑검사관, 청각관리사. 수화통역사, 보건교육사, 손해사정사, 생명보험 언더라이터, 행정관리사, 병원행정사, 보험심사관리사, 병원코디네이터 등이 있다. 임상병리기술학 전공 유사 관련 진출자격 현황으로는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임상시험 모니터요원, 해부조직사, 화학분석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생물공학기사, 생물안전관리자, 생명공학기술지도사, 의료기기품질책임자, 실험동물기술원, 동물간호복지사, 선박의료관리자가 있다. 따라서, 임상병리사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격 현황의 사회분석조사가 필요할 것이며, 임상병리사 출신으로 다른 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황조사도 필요할 것이다. 향후, 임상병리사는 개인의 업무역량 강화의 노력을 통하여 업무적 범위를 확대시키고, 사례를 공유하여 영역 확대와 전문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