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walk Landscap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계획 연구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 한봉호;곽정인;박석철;허지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8-141
    • /
    • 2014
  • 본 연구는 송파구의 도시녹지 네트워크 강화와 도시녹지 확충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송파구 관내 공원, 녹지축 현황을 분석하고, 가로변녹지 현황, 보도폭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로변에 위치한 19개 공원과 녹지축 연계가 가능한 13개 가로를 도출하였다. 가로변 녹지는 자연녹지 및 조성녹지와 연계된 가로가 56,546m이었고, 보도폭은 추가적인 띠녹지 확보 및 보식 가능한 보도폭 5m 이상의 가로가 8,600m이었다. 이를 종합하여 도시녹지 네트워크 가로로 올림픽로, 송파대로, 남부순환로, 위례성길을 선정하였다. 네트워크 가로의 가로녹지 조성 현황을 분석하여 가로녹지 조성 및 가로수 식재량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가로녹지 개선은 관목 위주 가로녹지의 녹지구조 다양화, 가로변 녹지를 활용한 가로녹지 보완을 제시하였다. 가로수 식재량 증진은 가로녹지 개선계획을 바탕으로 수목 보완 식재를 통해 식재량 증진이 가능한 가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송파구 네트워크 가로 중 아교목 보식(1주) 가능 구간은 전체 길이 34,206m중 63.6%이었다. 녹지 네트워크 가로별 식재량 증진계획에 따른 주수변화를 산정한 결과 4,708주의 추가식재를 통해 전체 9,518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도시복개하천의 복원사업 이후 인접 주거지의 물리적 특성 변화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 김준영;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33-14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the restoration of covered urban streams in seoul. The changes of adjacent residential area after restoration were analyzed by changes of land using, urban structure, individual lot of land and architecture to investigate relationship of the urban stream and residential change. The result as follow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of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This change of infrastructure through stream restoration has transformed land use and urban structure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Secondly, there is the changes of the individual lot of land. It seemed that new development by combined lots would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blocks. But, the changes of lots such as combining or dividing lots tend to be concentrated in stream-side, main road and main streets. In stream-side, commercial function of land use has changed to residential one which has restored streams landscape by transformation of lots use without changes of ownership-lots. Finally, there is the change of architecture. It turned out new building in adjacent residential area is similar to general development. However, new building in streamside is related to direction of stream. In addition, remodeling and expansion tend to change in commercial buildings on stream-side bridges of corner lots intensively. As a result, it is related to expectation of architectural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sidewalk environment by stream restoration.

가로공간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변건축물 형태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Element of Buildings Affecting in Street Spaces)

  • 최임주;조현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7
    • /
    • 2010
  • 가로는 도시를 구성하는 선적(線的) 요소로서 도시 발전의 축이다. 이러한 가로의 본질적 기능은 통행이 목적인 교통공간이지만 이와 함께 사람과 사람의 만남, 휴식, 오락 등의 다양한 활동을 담아내는 커뮤니티의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가로는 기본적으로 보도와 차도 그리고 가로를 에워싸고 있는 가로변 건축물로 구성되는 3차원의 공간이다. 이때 가로변건축물은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중요한 물리적 구성요소로 가로변건축물의 입면은 사람들이 가로공간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로변 건축물의 입면을 구성하는 형태구성요소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적 우세요소들을 추출하고 각각의 요소들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여 향후 도시가로 경관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울란바타르시 학교 내 녹지 감소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auses of Open Space Loss of Schools in Ulaanbaatar City)

  • 어치르 바트치멕;서주환;최재혁
    • 농촌계획
    • /
    • 제22권4호
    • /
    • pp.37-4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ss of open space of schools in Ulaanbaatar city and found out main causes of the conversion trend of open space to suggest alternatives. 76 designated sites were selected from 118 public schools within 6 districts of Ulaanbaatar city. These 76 schools were eligible for analysis of the open space change between 2005 and 2015 with Google Earth Pro. The results showed that $175,048m^2$ open space was developed and two dominant types of open space conversion were found; 1) constructions of school facilities such as soccer field, extended school buildings, parking lot, sidewalk, and square, and 2) constructions of apartment buildings and service facilities such as community center, pedestrian, sports facilities, and parking lot. Apartment complex development has commonly happened in all districts and caused bigger open space loss than other types of development. Chingeltei distric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Ulaanbaatar city, and schools in this district lost the biggest open space, $50,036m^2$/35.24% over 10 years. The rate of open space loss seemed to be related to the distance from the urban center and open space loss was an ongoing event in Ulaanbaatar city. This trend would not be improved without a strong regulation, so, in this study, making strict regulations that prevent conversions of open space were suggested to conserve open space in Ulaanbaatar city.

유럽 도시 광장에서 나타나는 공유문화기반의 공간적 구성 특성 및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of Shared Culture in European City Squar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75-83
    • /
    • 2017
  • The cultural tendency based on sharing and cooperation, which has recently been a hot issue, accelerates throughout the world. This study began with a perception that a sharing culture is inherent in urban public spac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theoretical study of the sharing cult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composition of public spaces. This study selected squares in 16 European cities as cases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in which a sharing culture is inherent, this study drew the shape and type of planes and sharing elements such as accessibility, symbolism and activity with the squares in the cases. 2)The shape of planes in the squares in the cases has been formed in close relations with the historic meaning and events of the area and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surrounding the square. The squares in the cas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plane types, and these squares have developmental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sharing culture as a place for fre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oncerning social issues. 3)In the squares in the cases, the weight of road-centered access appears high, and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human-friendly / environment-friendly infrastructure in the city or judging from the trend of the recent increase of pedestrian-centered plans for public space, it is judged that approaches with a high utilization rate of sidewalk or public transportation would be desirable. 4)Symbolic elements of the square become a device by which citizens can share the historic symbolism, along with artistic inspiration. In addition, by serving as an observatory from which people can take a view of the landscape of the city, it allows visual sharing of the entire city as well as the square. 5)A square is common pool resources in the community, an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that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the composition of public design.

도심 가로수 뿌리의 융기특성 연구 - 대전 서구 가로수를 대상으로 - (A Study on Root Damage to Street Pavement from the Roots of Roadside Tre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Roadside Trees in Seo-gu, Daejeon City -)

  • 탁승철;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58-69
    • /
    • 2018
  • 가로수 뿌리융기발생의 빈도가 높은 대전시 서구 내 둔산동택지개발 가로수를 대상으로 뿌리 융기상태와 가로시설 현황조사를 통해 가로수와 가로시설간의 융기특성과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는 대전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6곳의 메타세쿼이아와 양버즘나무로 선정 조사하였으며, 가로수 뿌리 융기 발생 시 가로수 보호틀 파손율(95.3%)이 차도경계석파손율(19.7%)보다 높았다. 또한, 보호덮개가 없는 가로수는 포장면 융기현상 발생 확률이 높으며, 식수대면적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보호틀 파손빈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융기형태의 빈도는 꼬리형>마운딩형>불규칙형 순이며, 융기방향의 빈도는 차도경계석과 평행을 기준으로 차량진행방향이 $180^{\circ}$ 보도 쪽이 $90^{\circ}$로 기준하였을 때 1방향($0{\sim}44^{\circ}$), 2방향($45{\sim}89^{\circ}$), 3방향($90{\sim}134^{\circ}$)에서 가장 많은 포장면 융기발생이 일어났다. 또한 융기길이는 약 31~60cm에서 융기발생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융기높이는 3~6cm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 융기 변형량 결과를 비교해보면 조사 수종이 주수가 메타세쿼이아가 양버즘나무보다 2주 적음에도 불구하고 양버즘나무의 변형량보다 약 1.3배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메타세쿼이아가 양버즘나무보다 포장면 융기로 인한 변형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융기길이, 융기너비, 융기높이가 클수록 변형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흉고직경, 보도 폭의 규격, 융기현상의 빈도와 변형량의 관계는 꼭 비례하지 않으며, 토양습도와 식재 기반 등 외부적인 요소로 인해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어 융기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방향의 개선방안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