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walk Landscap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1초

가로식재유형이 보행경관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Influence of Street Planting Types to the Evaluation of Sidewalk Landscape)

  • 김동찬;박경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4-23
    • /
    • 2006
  • Recently there have been great interest in the street landscapes, and numerous studies have been investigating shaping processes of urban landscapes, legal systems for scenery management, landscape preference and evaluation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investigating how planting types influence on street landscape evaluation and how the relationships among street landscapes are. This study aims to make a guidelines which can be used for securing afforestation in urban settings and improving urban environment. In specif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for urban street design and the base knowledge for identifying appropriate requirements for better street landscapes. We identify factors which make shape certain images of street landscape, and draw physical factors influencing on visual appropriateness through visual landscapes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landscapes according to planting types, on-the-spot survey at 14 streets in Gang-Nam district were made. The district is under executing street improving projects and shows the most satisfying planting types. To evaluate street landscapes which people experience during their walking, 100m of continuous streets are chosen. The survey sites exclude streets with irregular pattern, are adjacent to large urban parks or are used as parking spaces in part. We evaluated 9 street landscapes classified into 1-line-planting, 2-line-planting and 3-line-planting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of planting and the planting methods.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수 식재유형별 가로경관 평가 - 대구광역시 동대구로 은행나무를 대상으로 - (Evaluation of Streetscape by Street Planting Types using Dynamic Simulation - In the case of Ginkgo planted on the Dongdaegu-ro in Daegu -)

  • 신재윤;정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9-103
    • /
    • 2014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동대구로를 대상으로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가로수 식재 유형별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식재 유형은 총 4개로 1열 차도측 식재, 1열 보도중앙 식재, 2열 병렬 식재, 2열 교호식재 등으로 선정하고, 4m, 7m, 10m 간격별로 구분하였으며, 보행자 시점으로 제작한 동적 시뮬레이션으로 설문하였다. 분석 결과, 경관 선호도는 1열의 경우 차도측 4m 간격이 4.64로 높게 나타났고, 2열은 교호식재 7m가 5.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관형용사를 이용하여 경관 선호인자를 분석해 본 결과, 경관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쾌적한'과 '아름다운'으로 나타나, 식재를 통한 경관연출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보행체험을 바탕으로 가로수 식재 유형 및 간격에 대해 시각적으로 적합한 기준 제안을 목표로 하였고, 쾌적하고 질 높은 가로경관 조성을 위한 객관적 자료 및 식재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가로녹지의 개선을 위한 녹화환경평가 연구 -전주시를 대상으로- (A Study of Evaluating Streetscape Green Environments to Improve Urban Street Green Spaces - A Case Study of Jeonju City -)

  • 정문선;임현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7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valuation method to assess green environments of streetscapes to improve urban street green spaces in Jeonju City. Through a rapid assessment of urban street green spaces, we suggest an objective basis for expanding street green space as well as for adopting sustainabl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measures. We choose 12 sections of streetscapes (roads and sidewalks) to investigate existing street conditions which have more than four lanes and function as major road axes. Six large roads and six medium roads of Jeonju City center area are investigated as pilot assessment study sites. Site inventory checklists consis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treetscape, street tree status, and planting condition evaluati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treetscapes are composed of physical and neighborhood factors. For instance, items for physical factors are types and width of road/sidewalks, paving materials, tree protection materials, and green strip. And surrounding landuse is a neighborhood factor. Assessment items for street tree status are street plant names (tree/shrubs/ground cover), size, and planting intervals. Planting condition evaluation items are tree shape, damage, canopy density, and planting types with existence of adjacent green space. Evaluation results a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such as A(maintain or repair), B(greening enhancement), and C(structural improvement). In case of grade A, streetscapes have enough sidewalk width for maintaining green strip and a multi-layered planting(in large road only) with fairly good growing conditions of street trees. For grade B and C, streetscapes have a moderate level of sidewalk width with a single street tree planting. In addition, street tree growing conditions are appeared poor so that green enhancement or maintenance measures are needed. For median, only grade B and C are found as its planting growing foundations are very limited in space. As a result, acquiring enough sidewalk space is essential to enhance ecological quality of urban street green.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have green strip with reasonable widths for plant growing conditions in sidewalks. In addition, we need to consider native species with multi-layer plant compositions while designing street green.

이용자의 도시적 공간체험을 유도하는 도서관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Space for Introducing Urban Experiences)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40-247
    • /
    • 2014
  •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space, in which user experiences and social networking are central in its design. Today, a library is a place to provide diverse accesses and experiences to information networks, where various individuals and user groups come and share mutual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Library users developed social ties and a sense of community through library experiences. As a multipurpose space of a community, a libra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ublic space like sidewalks and plazas. The eight case studies of libraries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each factor of library experience, including landscape, sidewalk, and plaza experience. The study drew it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 library is a regional landmark for the users. Thus, it tends to be designed to allow transparency on its surface which introduces inner and outer landscape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Second, the users experience a library similarly as they experience an urban street where they interface, browse, and interact with people and information. As they interact and share experiences, they develop solidarity and social ties among them. A library is designed to preserve continuity to adjacent streets, which increases accessibility to the building and hosts street activities into the building. Third, a library today is designed to be a flexible open space with information networking as well as community networking which allows library users diverse activities within it. For example, a multipurpose grand stairs in the middle of the main circulation of a building allows the users diverse activities. A large open stack with reading areas gives the users the feeling of an urban plaza where they can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conclusion, all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a user-oriented design for a library building.

동-서 가로에서 차양이 보행자의 열적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ding on Pedestrians' Thermal Comfort in the E-W Street)

  • 류남형;이춘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0-74
    • /
    • 2018
  • 본 연구는 폭염 시 동-서향 가로의 북측 보도($N35^{\circ}10.73{\sim}10.75^{\prime}$, $E128^{\circ}55.90-58.00^{\prime}$, 표고: 50m)에서 기상측정장비, 순복사계, 반사구와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실측을 통해 가로수와 쉘터에 의한 차양이 인체가 체감하는 열환경에 주는 영향을 MRT, L-MRT, UTCI, 바닥면, 벽면, 천개면의 구성요소별 방사온도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1 및 2열 가로수와 생울타리, 쉘터와 어-닝, 햇빛 노출지에 대한 열환경을 측정하였다. 9일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의 선 자세의 인체가 흡수한 매 1분 간격 인체-생기상학적 자료 그리고 1일간 오후 1시 16분부터 35분까지 보도 구성요소의 방사온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로수와 쉘터에 의한 차양은 여름철 낮 동안 UTCI를 감소시킴으로써 열스트레스를 완화하였는데, 햇빛 노출지에 비해 1 가로수와 생울타리는 0.4단계~0.5단계, 2열 가로수와 생울타리는 0.5단계~0.8단계, 쉘터와 어-닝은 0.3단계~1.0단계로 낮추어 주었다. 하지만 폭염 시에는 가로수와 쉘터 하부의 열환경도 이용자들에게 대부분의 시간대에 "매우 강한 열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햇빛에 노출된 보도 상의 열환경은 "매우 강한 열스트레스" 또는 "극심한 열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온 $37^{\circ}C$를 기준으로 한 보도 구성요소의 열스트레스 부하온도는 포장면 $7.4^{\circ}C{\sim}21.4^{\circ}C$, 도로면 $14.7^{\circ}C{\sim}15.8^{\circ}C$, 쉘터의 캐노피 $12.7^{\circ}C$, 어-닝 $8.6^{\circ}C$, 가로시설물 $7.0^{\circ}C$, 건물벽면 $3.5^{\circ}C{\sim}6.4^{\circ}C$ 순으로 나타났다. 열스트레스 부하율은 포장면 34.9%~81.0%, 도로면 9.6%~25.2%, 쉘터의 캐노피 24.8%, 건물벽면 14.1%~15.4%, 어-닝 7.0%, 가로시설물 5.7% 순으로 나타났다. 보도에서 보행자의 열적 쾌적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양을 통해 포장면 및 도로면 그리고 건물벽면의 방사온도를 낮추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정지와 전정을 통해 가로수의 수관투영면적과 LAI를 높여야 하며, 도로변에 지엽이 치밀한 생울타리를 조성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리고 쉘터나 어-닝의 표면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서멀 라이너, 고반사 재료, 식생 녹화 등의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건물벽면에 재귀반사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반사광을 제어하여야 하며, 적극적으로는 보도 포장 표면온도를 낮추기 위해 보도 포장면에 물을 뿌리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시도로 녹지의 도로 표면온도 져감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Urban Road Vegetation on a Decrease of Road Surface Temperature)

  • 조혜진;임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07-116
    • /
    • 2011
  • 도시의 온도상승의 주요 인자 중 하나가 도시부 도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도로 녹지가 표면온도의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도로 18개 지점을 선정하여 도로횡단구성요소(주변토지이용, 차도, 보도, 식수대, 중앙분리대)별로 열화상 카메라로 표면온도를 조사하고, 도시도로 녹지 면적을 측정하였다. 도시도로 녹지의 도로 표면온도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로 주변토지이용이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일 경우 도로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며, 식생중앙분리대의 면적, 식수대의 면적 순으로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주변 뿐만 아니라 도로설계의 구성요소 내에서 식수대, 중앙분리대 등의 녹지면적 증가는 도로의 표변온도 저감에 영향을 미친다. 도시의 고온화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도시도로 녹지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도 한 방편이다.

대학 캠퍼스내 보도블록에 출현한 잡초 식물상 (Weed Flora of Sidewalk at the University Campus)

  • 이상화;이규석;김기남;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3-61
    • /
    • 2007
  • Most of the plants and trees are landscaping plants at the university campus, Thus, the natural flora can be found on sidewalks like urban a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lora on sidewalks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vegetation survey was done. The study site is Natural Science Campus, Sungkyunkwan University which is located at Suwon, Korea. Vascular plants surveyed were consisted of 130 taxa, 39 families, 99 genera, 115 species, 15 varieties. Indigenous weeds was 101 species (77.7%). Naturalized weeds was 29 species (22.3%). In the families, Compositae 30 species (23%), Gramineae 18 species (14%), Leguminosae 9 species (7%), Caryophyllaceae 8 species (6%), Cruciferae 8 species (6%), Polygonaceae 5 species (4%), Euphorbiaceae 5 species (4%), Scrophulariaceae 4 species (3%), Rosaceae 3 species (2%), Violaceae 3 species (2%), Convolvulaceae 3 species (2%) and etc. 34 species (27%). Life Form of flora in the site by Raunkiaer classification was Therophytes 67 species (51.5%), Hemicryptophytes 46 species (35.4%), Geophytes 8 species (6.2%), Nanophanerophytes 4 species (3.1%), Phanerohytes 3 species (2.3%) and Chamaephytes 2 species (1.5%). Naturalized Ratios was 10.7%.

열쾌적성에 대한 가로수 수직적 구조의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Street Tree's Vertical Structures on Thermal Comfort)

  • 이수빈;최혜영;조현길;윤영조;길승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29
    • /
    • 2021
  • Urban green spaces offer a variety of benefits to living things and humans. However, existing green spaces have been reduced and fragmented due to urbanization, and there is a limit to creating new large green spaces in densely developed cities. Street trees have fewer restrictions on land use, which can be a measure to secure green areas in cities. In Korea, excessive pruning is being done on some street trees for reasons such as blocking of building signboards, contact with electric wires, and restrictions on sidewalk width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nefits provided by street trees and their structures to come up with an efficient and systematic planning and management plan for urban street trees.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mal comfort improvement by the shades of street trees and the vertical structure, planting environment, and types of street trees. To calculate the thermal comfort felt by human body, we calculated UTCI (Universal Thermal Climate Index) of each street tree. For the vertical structure of street trees, we used Terrestrial LiDAR and the point clouds of street tree's crown was sliced vertically at 1m intervals. We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thermal comfort improvement using the variables we obtained from fields. As a result, in the case of a street tree's vertical structure, the lager the volume of tree's crown located 3-4m (β=0.298, p<.05) and 6-7m (β=0.568, p<.001) above clear length, the better the cooling effect. In addition, the thermal comfort improvement was assessed to decrease as the DBH increased (β=-0.435, p<.001). In general, the crown diameter and DBH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cooling effect occurring as crown diameter increases. In this study, the opposite result was obtained due to the small number of trees measured, so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ree samples. In the case of the planting environment, the effect of improving thermal comfort was higher in the shaded area of trees planted to the south (β=-0.541, p<.001). Since unsystematic management of street trees can deteriorate the function of them, quantitative evaluations of the vertical structure of street trees are required, which can provide specific measures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f urban street trees with thermal comfort effect.

도시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 쾌적성 증대를 위한 효율적 가로녹지 조성방안 연구 - 계획 및 설계를 위한 매개변수 도출과 녹지조성 방법 제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fficient Sidewalk Green Space Development for 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s and Enhancing Pedestrian Comfort - Focused on the Derivation of Parameters for Design, and Proposing Methods for Green Space Creation -)

  • 박주현;엄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1-38
    • /
    • 2024
  •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도시 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쾌적성 증대를 위한 효율적인 가로녹지 조성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녹지 계획 및 설계에 활용가능한 매개변수를 도출하고, 매개변수별로 열환경 완화 매커니즘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녹지 계획 및 설계 시 활용가능한 수종선택 방법 및 녹지조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논문 중 4단계 과정을 통해 고찰하고자 하는 61개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논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열스트레스가 높은 종횡비 낮고 천공률이 높은 오픈된 거리협곡의 경우, 그늘의 양과 질을 높이기 위해 수관폭이 넓고, 수고가 높고, 지하고가 낮고, 엽면적 지수가 높고, 수관의 녹량이 많은 활엽수를 다열의 좁은 간격으로 다층식재하는 것이 열저감에 효과적이다. 반면 열스트레스가 비교적 적은 종횡비가 높고 천공률이 낮은 깊고 좁은 거리협곡의 경우, 거리협곡 내 환기력을 높이기 위해 수관폭이 좁고, 지하고가 높고, 수관높이가 낮고, 엽면적 지수가 낮은 활엽수를 넓은 간격으로 식재하는 것이 열저감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거리협곡 내 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쾌적성 증대를 위한 가로녹지 조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녹지의 위치 선정 및 우선순위 선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계획 및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로경관의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 번화한 가로를 만드는 심리적, 물리적 인자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of Street Landscape -Focused on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which Creates a Busy Street)

  • 이재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5-146
    • /
    • 2004
  •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가로공간 안에서 시각으로 느끼는 심리적인 인자와 물리적으로는 가로의 구조에 의해서 인지되는 인자의 복합적인 체험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로경관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어떤 요소가 가로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많은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로공간을 심리적인 측면과 물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우선, 가로공간을 지역의 특성(상업지역, 업무지역, 복합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기 위해서 지역의 특성이 명확한 가로를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가로에서 느끼는 심리적 인자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설문방법을 사용하여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분석 결과, 가로경관의 이미지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비슷한 성향을 갖고 있으며 가로의 이미지는 쾌적함과 번화함을 만드는 인자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자분석의 결과로 알게 되었다. 인자분석에 의해서 구분된 가로의 이미지 중에서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집단은 가로의 물리적 구성요소 면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어서 상반된 이미지를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가로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번화함이 있는 가로와 번화함이 없는 가로의 이미지는 물리적 구성요소 중에서 가로 폭, 보도 폭과 차도 폭의 비율, 건물의 높이와 가로 폭의 비율, 그리고 식재율 등의 차이가 가로의 이미지가 상반되게 느끼게 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는 어떤 종류의 가로라도 가로의 이미지를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하였으며, 번화한 이미지를 갖는 가로를 만들기 위한 물리적 인 요소의 구성방법도 알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하기 위하여 가로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번화함이 있는 가로를 조성하기 위한 자료를 만드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