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scan Sonar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6초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를 위한 측면주사음탐기 적용 사례 (Applications of Side Scan Sonar for Shipbuilding and Offshore Project)

  • 오형순;김태형;권순도;김성락;신성일;김상준;김성엽;우종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73-379
    • /
    • 2015
  • Side Scan Sonar (SSS) is capable of acquiring real-time data for seabed scouring, bathymetry, mine countermeasurement, etc. In a shipyard, an SSS package is utilized to measure the water depth and find debris in the sea because a sufficient water depth and non-interruption have to be ensured before implementing an underwater installation such as a large thruster.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an SSS for the construction of an offshore project.

소너 및 수중 CCTV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수영만 인공어초 주변에 군집한 어군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Fish Aggregations Responding to Artificial Reefs Using a Split-beam Echo Sounder, Side-scan Sonar, and an Underwater CCTV Camera System at Suyeong Man, Busan, Korea)

  • 이대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66-272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and evaluate the school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istribution density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and acoustic size (target strength), of commercially valuable species swimming in response to artificial reefs installed at Suyeong Man, Busan, Korea. Fish aggregations at two artificial reef areas and at a nearby natural rocky reef habitat were recorded and analyzed using a 70 kHz split-beam echo sounder and 330 kHz side-scan sonar from August to September, 2006. An underwater CCTV camera system was also used to observe marine organisms in physical contact with and swimming very close to artificial reefs. During the acoustic observations at three reef sites, useful information about schooling characteristics of fish aggregations responding to artificial reefs were obtained, but more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ing behavior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s in areas containing natural reef structures and artificial reefs.

수량계산을 위한 LiDAR와 SBES데이터 통합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LiDAR and SBES data Merging Program for Calculation of Water Volume)

  • 오윤석;배상근;김병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7-16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을 이용한 지상지형자료(DEM, DSM DTM 등)와 단빔 음향측심기(SBES; Single Beam Echo Sounder), 측면음향주사기(SSS; Side Scan Sonar)를 이용한 하저 지형자료의 통합방안을 모색하고, LiDAR 데이터와 SSS/SBES 데이터를 통합하고 지형의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 표현, 수량계산 등의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정확도 비교는 상용 소프트웨어인 Surfer를 이용하였다.

  • PDF

Side Scan Sonar 탐사자료의 영상처리와 해저면 Backscattering 음향특성 (Digital Processing and Acoustic Backscattering Characteristics on the Seafloor Image by Side Scan Sonar)

  • 김성렬;유홍룡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3-152
    • /
    • 1987
  • SMS 960(Seafloor Mapping System) Side Scan Sonar에 자기테이프기록계 (Kennedy 900)를 연결하여 해저면 탐사자료를 수치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이를 제주도 성산포 근해에서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그 결과를 검토 하였다. 처리시스템은 주로 VAX 11/780 (4MB)를 사용하여 FORTRAN-77로 작성 되었으며 자료의 변환, 보정, 수치분석 및 도면제작 (cartography)을 주요기능으로 가지고 있다. SMS960에 의해 얻어진 수치자료는 특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독자적으로 제작한 자료선별 계수기(Data Selecting Counter와 개인용 컴퓨터 personar computer을 사용하여 주처리 전산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그 형태를 변환시켰으며, 경사거리(slant range)의 보정과 자료의 질적 개선을 위한 전처리 과 정을 거친 다음, 색상표현 으로 해저면 영상도면을 제작하였다. 후방산란 (backscattering) 음파자료를 통계처리하여 4가지 색상으로 제작된 영상도면을, 해저 퇴적물의 물성분포도와 비교해 본 결과 주로 평균입도와 분급도에 잘 대비되었다. 따라서 Side Scan Sonar에 의한 해저면 후 방상란 음향특성을 적절히 분석하므로 써 해저퇴적물의 퇴적상분포연구에 상당한 응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Side Scan Sonar to Disposed Material Analysis at the Bottom of Coastal Water and River

  • Lee, Joong-Woo;An, Do-Gyo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6
    • /
    • 2003
  • Due to the growth of popul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at the coastal cities, there has been much increase in necessity to effective control of the wastes into the coastal water and river. The amount of disposal at those waters has been increased rapidly ana it is necessary for us to track of it in order to keep the waterway safe and the water clean.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 terms of water quality in these regions have been conducted frequently but the systematic survey of the disposed wastes at the bottom was neglected and/or minor.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tatus of disposed waste distribution at the bottom of coastal water and river from the scanned images. The intensity of sound received by the side scan sonar tow fish from the sea floor provides information as to the gene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perficial wastes. The port and starboard side scanned images produced from two arrays of transducers borne on a tow fish connected by tow cable to a tug boat have the area with width of 22m~112m and band of 44m~224m. All data are displayed in real-time on a high-resolution color display ($1280{\times}1024$ pixels) together with position information by DGPS. From the field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recorded images, we could draw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bottom disposals. Furthermore, we could make a database system which might be useful for navigation and fundamental for planning the waste reception and process control system.

측면주사음탐기 센서 기술 동향 및 응용 (Trends and Applications on Multi-beam Side Scan Sonar Sensor Technology)

  • 계중읍;조재일;유원필;최성록;박재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6호
    • /
    • pp.167-179
    • /
    • 2013
  • 측면주사음탐기(side scan sonar) 센서는 해저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탐색하는 장비로서 해양탐사 및 지질조사, 해저통신 및 어초조사, 기뢰 및 잠수정 탐색 등 해양탐사와 관련한 대표적 장비라고 할 수 있다. 센서는 해저와 목표물을 표시하기 위해 소나 플랫폼의 움직임을 사용하며, 동작주파수 범위는 20kHz~500kHz이다. 이 주파수는 요구되는 깊이와 목표물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센서는 수직으로 $45^{\circ}$, 수평으로 $2^{\circ}$ 정도의 신호전파 방사각도 폭을 가진다. 최근에는 해양탐사와 개발을 위해 빠른 스캔속도와 정확한 정보,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기 위해 해저면에 대한 다중빔 영상센서의 핵심기술로 활용되면서 그 활용성과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측면주사소나 센서의 기본 원리 및 종류, 디중빔측면주사소나 기술동향, 응용분야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국내 기반기술 및 상용화 개발이 취약한 측면주사 음탐기 센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물리탐사기술을 이용한 침몰선 Dmitri Donskoi호 탐사 (Discovery of the Dmitri Donskoi ship near Ulleung Island(East Sea of Korea), using geophysical surveys)

  • 유해수;김수정;박동원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1호
    • /
    • pp.104-111
    • /
    • 2005
  • 1883 년에 진수된 러시아 순양함 드미트리 돈스코이(Dmitri Donskoi ; 6,200톤)호는 러일전쟁에 참전하여 1905년 5 월 29 일 동해 울릉도 근해에서 침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침몰선을 찾기 위해 1999 년부터 2003 년까지 5 년간 탐사를 수행하였다. 러시아와 일본의 해전사 자료를 토대로 침몰 예상 위치를 파악하여 탐사해역을 설정하였다. 3 차원 해저 지형 조사, 해상 자력 탐사, 천부지층조사, 해저면 영상 조사 등의 기록을 종합 분석하여 침몰선으로 추정되는 이상체를 확인하였다. 지구물리탐사를 통해 확인된 이상체에 대해 심해카메라와 무인잠수정(remotely operated vehicle) 및 유인잠수정 Pathfinder 를 이용한 정밀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울릉도 저동항에서 약 2 km 떨어진 해역, 수심 400 m 지점의 심해 계곡 중턱에 걸쳐진 돈스코이호를 발견하였다. 침몰선체에는 152 mm 함포 등이 그대로 장착되어 있고 선체 주변에는 전쟁 시 불에 탄 조타기 등의 잔해가 놓여있었다. 조사 지역은 강자성을 띤 대규모 화산암 지대이기 때문에 자력탐사로 침몰선을 식별하기가 어렵다. 천부지층탐사와 해저면 영상조사는 심해 계곡의 심한 지형 변화에 따라 음파의 난반사가 일어났으며 자력탐사 역시 자력이상도의 왜곡으로 인하여 이상체 식별이 곤란하였다. 그러나 중천해용 다중빔 음향 측심기의 경우 탐사선을 최대한 저속으로 운항하고 수심 및 지형에 따라 빔 각도를 조절하여 획득한 해저영상은 침몰선 확인에 매우 유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