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nkage

검색결과 3,256건 처리시간 0.029초

건조수축 해석을 통한 종이의 벌크 및 강직성 향상 (Improvement of Paper Bulk and Stiffness by Using Drying Shrinkage Analysis)

  • 이진호;박종문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4호
    • /
    • pp.49-58
    • /
    • 2011
  • The maximum drying shrinkage velocity was proposed to verify bulk and stiffness improvement mechanism during drying according to papermaking parameters. It was based on the wet-web shrinkage behavior without the restraint of wet-web during drying, so intact drying impact could be measured. Bulking agent reduced the drying shrinkage and the maximum drying shrinkage velocity, so paper bulk increased and paper strength decreased. When adding cationic starch to stock with the bulking agent for strengthening, the bulk was increased further with additional decreasing of the drying shrinkage and the maximum drying shrinkage velocity. Paper strength also increased except tensile stiffness index with decreasing the drying shrinkage and the maximum drying shrinkage velocity. When using additional strength additives for strengthening of fiber interfaces extended by bulking agent and cationic starch, amphoteric strength additive increased paper stiffness without loss of paper bulk. It was considered that the added amphoteric strength additives were cross-linked to the stretched cationic starch and this cross-linking increased elasticity of fiber-polymer-fiber interfaces without changing the drying behavior. Paper bulk could be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maximum drying shrinkage velocity. The drying shrinkage of paper also could be controlled by fiber-to-fiber bonding interfaces by the bulking agent. In this case, paper strength including stiffness was decreased by reducing fiber-to-fiber bonding but it could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fiber-to-fiber interfaces with polymer complex without loss of bulk.

수축저감제 혼입에 따른 전력구 박스구조물의 건조수축균열 저감 (Reduction of Drying Shrinkage Cracking of Box Culvert for Power Transmission with Shrinkage Reducing Agent)

  • 우상균;김기중;이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02-10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착식 전력구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특성을 파악하고, 수축저감제 혼입에 따른 건조수축균열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력구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등건조수축에 의한 균열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 가지 주요영향인자를 고려한 수치해석과 수치해석을 한 결과와 실제 전력구 타설을 하여 측정한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로부터 건조 수축 시험체에 대한 건조수축량을 산정에 대한 해석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전력구 타설 실험을 통해 종방향 및 횡방향 균열발생 가능성을 입증 하였다. 전력구 실증시험체 건조수축량 수치해석 결과, 균열저감 콘크리트 배합의 경우 종방향 및 횡방향 응력에 있어 일반배합에 비해 40~50%정도의 현저한 감소를 보이며, 이에 따라 균열저감 콘크리트를 전력구에 적용하였을 경우 현저한 균열감소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Prediction Model on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 유성원;소양섭;조민정;고경택;정상화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97-105
    • /
    • 2006
  •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초기균열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혼화재료를 혼입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을 분석한 후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변수를 가진 시편에 대해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험변수는 혼화재료의 종류 및 혼입률로 설정하였으며 물-시멘트비는 30%로 고정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시를 치환한 경우에는 자기수축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우에는 자기수축이 증가하였다. 또한,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의 혼입량이 클수록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회귀분석을 통해 혼화재료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자기수축 예측식은 실험결과와 비교적 일치하였다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 (Characteristics of Shrinkage on Concrete using Electric Arc Furnace Slag as Coarse Aggregate)

  • 최효은;최소영;김일순;양은익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25-132
    • /
    • 2020
  • 콘크리트의 수축현상은 체적 변화를 발생시키며 균열의 원인이 되어 구조물 내구성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콘크리트의 수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특히 골재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변형을 구속하여 수축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골재의 특성은 수축 현상에서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한편, 골재 부족 현상으로 인해 천연 골재 대체재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 되는 재료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축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수축 예측 모델을 비교하여 기존 예측 모델 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굵은 골재로 사용함에 따라 수축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수축 저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예측 모델과의 비교 시 건조수축과 자기수축 각각 GL2000 모델과 Tazawa 모델이 가장 유사한 예측값을 나타냈으나,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골재 및 혼화재의 물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로슬래그를 함유한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 (Characteristics of Autogenous Shrinkage for Concrete Containing Blast-Furnace Slag)

  • 이광명;권기헌;이회근;이승훈;김규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621-626
    • /
    • 2004
  • 일반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고성능콘크리트 제조 시 고로슬래그(BFS)의 사용은 워커빌리티, 장기 강도 및 내구성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슬래그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수축이 크며 특히 자기수축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으로 제어하지 않으면 심각한 균열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축에 의한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BFS를 함유한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거동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결합재(시멘트+BFS) 비(W/B)가 0.27${\~}$0.42이고 BFS 대체율이 각각 $0\%$, $30\%$, $50\%$인 각주형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여 자기수축을 측정한 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수축 예측 모델의 재료 상수 값들을 결정하였다. 또한, 응력 발현에 기여하는 자기수축을 유효자기수축으로 정의하고, 다양한 W/B를 고려한 재령 28일에서의 유효자기수축 변형률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W/B가 동일할 때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BFS의 사용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동일한 양의 BFS를 사용한 경우, W/B가 낮아짐에 따라 자기수축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기수축을 줄이는 수축저감제 등의 혼화 재료를 사용하거나 시공 현장에서의 충분한 습윤양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팽창재 및 수축저감제를 이용한 PSC 교량용 3성분계 그라우트의 수축특성 평가 (Evaluating Shrinkage Characteristic of Ternary Grout for PSC Bridge Using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gent)

  • 원천봉;안기홍;류금성;고경택;윤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519-5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혼화제에 따른 3성분계 그라우트에 대하여 자유수축 및 구속수축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3성분계 그라우트는 플라이애쉬, 지르코늄 실리카퓸을 사용하였고, 팽창재(a, b)와 수축저감제 혼화제를 병용 사용하였다. 또한 유럽규정 EN 445에 따라 그라우트의 기본재료특성 실험을 수행하여 블리딩, 체적변화량, 유동성,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기본재료특성 거동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팽창재와 수축저감제 혼입률에 따라 유동성은 다소 영향은 없었으나, 우수한 블리딩 및 침하 저감성능과 압축강도를 나타났다. 자유수축 거동에서는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혼입한 변수들은 0.0E-0.0R 변수보다 최소 29%의 수축저감성능을 보여 주었다. 특히 팽창재 a와 수축저감제를 병용 사용한 변수에서는 수축 저감의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화제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텐던 구속에 의한 수축균열은 뒤늦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독 팽창재 a 2.0%, 수축저감제 0.50%를 혼입한 변수에서는 우수한 수축저감성능으로 수축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실험 조건에서는 팽창재 a 2.0%, 수축저감제 0.50%인 조합이 PSC 교량용 고품질 3성분계 그라우트의 최적의 혼입률인 것으로 분석된다.

수축저감제와 팽창재를 병용 치환한 콘크리트의 수축 특성 (Properties of Shrinkage in Concrete Incorporating Shrinkage Reducing Agent and Expansive Additive)

  • 김광화;문학룡;심영태;이병상;정용희;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4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61-64
    • /
    • 2004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gineering and shrinkage properties of concrete incorporating shrinkage reducing agent(SRA) and expansive additive(EA) in order to reduce shrinkage of concrete. According to results, as for the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increase in, SRA and EA content leads to reduce the fluidity but to increase the air content, and as for setting time, there is little difference. For strength properties, it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SRA dosage and increased up to 5% of EA content. For the properties of drying shrinkage, it shows decline tendency with an increase in SRA and EA content reiteratively. It alto reduces significantly with the combination of SRA-EA systems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the admixture. In the scope of this paper, it is found that the use of SRA with 0.5% and EA with 5% has optimum effects on the various properties of concrete. And under the combination of SRA and EA, it can reduce drying shrinkage about 37%.

  • PDF

목재(木材)의 치수변동(変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Movement of Wood)

  • 정희석;이필우;이남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36-42
    • /
    • 1986
  • Both the control and heated specimen of oak, hornbean, alder, poplar, red pine and pitch pine among domestic commercial species and taun imported were used for radial and tangential shrinkage and movement that occurred on changing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tmosphere from 90 percent to 60 percent at $25^{\circ}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adial and tangential shrinkage of the control and heated hornbean and oak wood, except alder, of high specific gravity showed greater than species with low specific gravity. The ratio of tangential to radial shrinkage was 1.46 for taun to 2.70 for alder. Green volume specific gravity of the heated and soaked specimen of all species except poplar decreased 1.5 to 3.1 percent. Shrinkage of the heated specimen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specimen, and antishrink efficiency of all timbers except alder had negative value. Shrinkage from green to air dry of treated specimens increased more than case of total shrinkage, and radial shrinkage of those specimen increased greater than tangential shrinkage. 3. The movement of the heating specimen for 120 hours decreased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the heating specimen for 240 hours. The movement of heating oak, poplar, red pine and pitch pine (or 240 hours increased rat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specimen.

  • PDF

유리섬유가 첨가된 수지에서 사출성형품의 성형수축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the part shrinkage in injection molding for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 모정혁;류민영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9-165
    • /
    • 2004
  • The shrinkages of injection molded parts are different in molding operational conditions and mold design. It also differs from resins. The shrinkages of injection molded parts for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C (polycarbonate),and glass reinforced PBT and PC have been studied for various operational conditions of injection molding. The part shrinkage of crystalline polymer, PBT was higher than that of amorphous polymer, PC by about two times. The part shrinkages of both polymers decreased as glass fiber content increases. Higher Injection temperature and lower injection pressure resulted in a higher shrinkage in both PBT and PC resins. As mold temperature increases the part shrinkage of PC decreased. However, the part shrinkage of PBT increased as mold temperature increases. The part shrinkage of both PBT and PC resins decreased as gate size increases since the pressure delivery is mush easier for a larger gate size. The part shrinkage of flow direction was less than that of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flow for both pure and glass fiber reinforced resins. The part shrinkage at the position close to the gate was less than that of the position far from the gate.

  • PDF

잣나무 수간내 재질변동에 관한 연구(I) -심재와 변재의 생재함수율과 수축율 차이- (Studies on Variability in Wood Properties in Tree Stems of Pinus koraiensis (I) -Differences in Green Moisture Content and Shrinkage between Heartwood and Sapwood-)

  • 김병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28-34
    • /
    • 1995
  •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 et Z.)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because it will be harvested largely within next 20~30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green moisture content, specific gravity and shrinkage in the stems of a Korean pine tree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echnical process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re were about 110% differences in the heartwood and sapwood' green moisture contents (heartwood=59.5%; sapwood=170.6%).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volumetric shrinkage between heratwood and sapwood,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ontents between them. Therefore, moisture conten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shrinkage. 3.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ight and shrinkage in heartwood. However, in the sapwood, shrinkag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height. 4. Shrinkage levels were the most significant in south-bound direction and least significant in north-bound direction in both heartwood and sapwood.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gravity and shrinkage in the sapwood. However, no such a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heartw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