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ulder instability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6초

Youth throwing athletes do not show bilateral differences in medial elbow width or flexor tendon thickness

  • Morrow, Rudolph M.;McIlvian, Gary E.;Johnson, Jenifer;Timmons, Mark 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3호
    • /
    • pp.188-194
    • /
    • 2022
  • Background: Medial elbow laxity develops in throwing athletes due to valgus forces. Medial elbow instability in professional, collegiate, and high school athletes is well documented; however, the medial elbow of young throwing athletes has received less at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l elbow and common flexor tendon during applied elbow valgus stress of youth baseball player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5 participants. The medial elbow width and thickness of the common flexor tendon were measured on ultrasound images. Results: No significant side differences in medial elbow width or common flexor tendon were found at rest or under applied valgus stress. At rest, the medial elbow joint width was 3.34±0.94 mm on the dominant side and 3.42±0.86 mm on the non-dominant side. The dominant side increased to 3.83±1.02 mm with applied valgus stress, and the non-dominant side increased to 3.96±1.04 mm. The mean flexor tendon thickness was 3.89±0.63 mm on the dominant side and 4.02±0.70 mm on the non-dominant side. Conclusions: These findings differ from similar studies in older throwing athletes, likely because of the lack of accumulated stress on the medial elbow of youth throwing athletes. Maintaining elbow stability in young throwing athletes is a vital step to preventing injury later in their careers.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수술적 치료 (The Operative Treatment of Scapular Glenoid Fracture)

  • 강호정;정성훈;정민;한수봉;김성재;김종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2007
  • 목적: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수술을 시행했던 예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한 관절와 골절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변형 Ideberg씨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제 1형이 1예, 2형 3예, 3형 2예, 5형 1예, 6형 2예였다. 정복에 사용된 내고정물은 재건 금속판 6예, 소형 금속판 1예, 1/3 원통형 금속판 3예, 소형 나사 3예, 유관 나사 1예였다. 수술 후 견관절의 기능 평가는 Constant score 및 Adam의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7주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 우수가 4예, 양호가 3예, 보통이 2예 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나사의 관절와 침범, 관절와 하방에 안정성에 지장이 없는 골소실이 각각 1예가 있었다. 결론: 관절의 불안정성이 있거나 골편의 전위가 큰 관절와 골절의 경우에 수술적인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골절 양상이 분쇄가 심할수록 나쁜 결과를 보였다.

회전개근 순수 관절경적 봉합술과 국소절개 구제봉합술 비교분석 : 2~6년 추시결과 분석 (Arthroscopic Versus Mini-Open Salvage Repair of the Rotator Cuff Tear : Outcome Analysis at Two to Six Years Follow-up)

  • 김승호;하권익;박종혁;강진석;오성균;오일빈;유재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5권2호
    • /
    • pp.88-9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utcomes between arthroscopir repair and mini-open repair of medium and large rotator cuff tears in which arthroscopic repair was technically unsuccessful. We evaluated 76 patients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among them 42 patients had all-arthroscopic and 34 patients had mini-open salvage repairs. Patients who had acromioclavicular arthritis, subscapularis tear, or instability were excluded. There were 39 males and 37 females with mean age of 56 years (range,42 to 75 years). At a mean follow-up of 39 months (range, 24 to 64 months), the results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UCLA and ASES shoulder rating scale s. Shoulder scores improved in all ratings in both groups (p > 0.05). Overall, sixty-six patients showed excellent or gr)of and ten patients showed fair or poor scores by the UCLA scale. Seventy-two patients satisfactorily returned to prior activity. Four showed unsatisfactory return. The range of motion, strength, and patient's satisfaction were improved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 in shoulder scores, pain, and activity return between the arthroscopic and mini-open salvage groups (p > 0.05). However, Patients with larger size tear showed lower shoulder scores and less predictive recovery of the strength and function (p < 0.05). Postoperative pain was not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tear (p : 0.251). Arthroscopic repair of medium and large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s had iln equal outcome to technically unsuccessful arthroscopic repairs, which were salvaged by conversion to a mini- open repair technique. Surgical outcome depended on the size of the tear, rather than the method of repair.

견관절 초기 전방 탈구와 재발성 전방 탈구 (Initial and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in Shoulder)

  • 김영규;이재훈;김현민;이충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48-153
    • /
    • 2005
  • 초기 탈구에서 시행한 조기 안정화 술식이 재발성 탈구의 Bankart 복원술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관절경상 관찰되어진 관절낭 인대의 이완이나 관절와 연의 마멸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초기 탈구에서 발생된 Bankart 병변이 술기상으로 보다 쉽게 복원될 수 있으며 치유도 잘 되어 재발율이 감소될 것으로 생각되었고, 조기 수술적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일상 생활 및 스포츠 활동이 가능하리라 생각되었다. 따라서 활동력이 왕성하고 운동을 좋아하는 젊은 층이나 운동 선수에서는 문헌상에서 보고되고 있는 초기 탈구 후의 높은 재발율을 고려하여 초기 탈구 발생시 조기 안정화 술식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초기 탈구시 조기 안정화 술식을 시행할 지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적응이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nkart 병변과 SLAP 병변에서 경견관절와 술식시 Guide Pin 출구의 분석 (Analysis of Exit Site of Guide Pin Using Tansglenoid Suture Technique in Bankart and SLAP Lesion)

  • 이광진;신현대;변기용;김영모;주용범;김경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8권2호
    • /
    • pp.105-109
    • /
    • 2005
  • Purpose: To Analyze the exit site of pin inserted at the anterior glenoid rim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Bankart lesion and SLAP lesion using transglenoid suture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twenty adult right cadeveric scapula, insertions of pin were performed using guide at the position of 1, 2, 3 O'clock of glenoid rim. We measured the exit site of dorsal surface of the scapula by medial distance from sagittal plane of lateral border of scapular spine and the vertical distance from posterior border of the scapular spine. Results: When the pin was inserted caudally within 10 degree, at the position of 1, 2, 3 O'clock, the medial distance from lateral border of the scapula is averaged 29.4, 19.2, 34.0 mm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distance from posterior border of the scapular spine is averaged 15.0, 18.6, 17.2 mm respectively. When the pin was inserted caudally within 20-30 degree, the medial distance is averaged 14.6, 14.2, 15.8 mm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distance is averaged 31.6, 31.9, 32.1 mm respectively. Conclusion: When the pin was inserted caudally within ten degrees using the guide, the pin exit appeared at the more medial side of the base of scapular spine and the more inferior of scapular spine. This can make the firm suture tied over scapular spine during repair SLAP and the Bankart lesion, and also prevent the injury of suprascapular nerve.

견갑골 골절 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추나 요법을 포함한 한방재활치료: 증례 보고 (The Clinical Effects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Including Chuna Manual Therapy on Scapular Fracture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A Case Report)

  • 배준형;고준혁;김세윤;이한솔;장호경;안종현;김형석;정원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7-126
    • /
    • 2019
  • To evaluate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and Chuna treatment on patient with pain and limited range of motion (ROM) after scapular fracture. Patient was treated with Chuna manual therapy, acupuncture, herbal medicine, pharmacoacpuncture, cupping therapy and measured by ROM, visual analog scale (VAS),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merican shoulder elbow surgery scale (ASES), Korean shoulder score for instability (KSS). After the 3 weeks treatment, the patient's ROM, VAS, SPADI, ASES, KSS scores were improved. Rehabilitation program including Chuna manual therapy can be effectively used to improve scapular fracture patient's pain and symptom during rehabilitation perio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Chuna manu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movement and pain from fracture.

다양한 지지면에서 푸쉬업 플러스 운동이 20대 건강한 성인의 어깨 안정화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sh-up plus exercise on shoulder stabilization muscle thickness in healthy adults in their twenties on various support surfaces)

  • 정진규;박재철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55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ush-up plus exercise on the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trapezius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d pectoralis major muscles involved in shoulder stability in various support surface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thickness change of the shoulder stabilizing muscle was measured using an ultrasound device. Corresponding t-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hange within the group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5 weeks.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confirm the change between groups after 5 weeks. As a post hoc test, the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was performed,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a=0.05. Results: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trapezius muscle within the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UPEG and SPEG after 5 weeks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5 weeks (p<0.05).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serratus anterior and pectoralis major muscle within the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5 weeks in PEG, UPEG and SPEG (p<0.05), and the changes between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after 5 weeks (p<0.05).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ush-up exercis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was effective for strengthening the trapezius upper and serratus anterior.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basic data for a push-up plus exercise program in clinical practice.

견관절 운동 분율의 측정 (Measurement of shoulder motion fraction and motion ratio)

  • 강영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2호
    • /
    • pp.57-62
    • /
    • 2006
  • 연구 목적: 견관절 운동분율과 운동비의 측정과정을 이해하고, 견갑 흉곽관절과 관절와 상완관절의 운동비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100명의 건강한 대상자를 연령대별(20, 30, 40, 50, 60대)로 20명씩 나누어 각각의 견관절 촬영과 분율을 계산하였다. 견갑극에 수직이고 관절와 면에 평행인 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상완이 자연지위일 때 머리 방향 $15^{\circ}$, 90도 거상 시 $19^{\circ}$, 최대 거상 시 $22^{\circ}$로 입사각을 적용하였고, 몸의 회전 각도는 $40^{\circ},\;36^{\circ},\;22^{\circ}$로 시상면에서 외전시키며 촬영하였다. 관절운동 방향에 따른 운동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측각도계(goniometer)를 이용하여 양측 견관절의 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전운동의 팔의 각도와 방사선 영상의 팔의 각도를 측정하여 상완관절 운동 각도와 견갑 흉곽관절의 운동 각도를 계산하였다. 결 과: 오른팔의 운동 분율은 $90^{\circ}$에서 남자 1.22, 여자 1.70 이었고, 최대 거상 시 1.63, 1.84였다. 왼팔은 $90^{\circ}$에서 1.31, 1.54, 최대 거상 시 각각 1.57, 1.32였다. 오른 우세팔은 $90^{\circ}$에서 1.58, 최대 거상 시 1.43이었고, 왼쪽 우세팔 각각 1.82, 1.94였다. 20대에서는 $90^{\circ}$ 거상 시 1.56, 최대 거상 시 1.52였고, 30대는 1.82, 1.43, 40대는 1.23, 1.16, 50대는 1.80, 1.28, 60대는 1.24, 1.75로 나타났다. 견관절의 운동 특성상 남녀에 따른 운동비, 우세팔과 비우세팔, 연령대에 따른 운동비를 측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견관절 운동 분율의 기준은 견관절의 운동장애를 확인하고 견관절 질환의 치료 후 정상적인 견관절 기능회복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견관절 운동비 측정을 위한 운동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운동비를 계산할 수 있으면 방사선학적 자세와 입사각 설정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견관절 병변과 관련된 이두박건 활차의 관절경적 소견 (Arthroscopic Findings of Biceps pulley in Shoulder Pathology)

  • 최창혁;김신근;장우창;이승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6-141
    • /
    • 2002
  • 목적 : 이두박건 구 입구에서 이두박건의 내측 전위를 방지해주며, 관절내 활주를 유도해 주는 이두박건 활차는 상부 관절순 및 회전근개의 작용에 영향을 받아 발달하며, 형태학적인 혹은 기능적인 변형이 생길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관절경으로 관찰한 이두박건 활차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하고, 견관절의 병변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7월까지 견관절경 검사 및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49명에 대해서 이구박건 활차의 양상을 stretched type, sling type, detached sung type, concealed type으로 분류하여 관찰하였으며, 대상자는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 22례, 회전근 개 파열 12례, 충돌증후군 5례, 동결견 6례, 상부 관절순 병변 2례, 견갑흉곽 점액낭염 1례, 그리고 이두박건 장두 탈구 1례 이었다. 결과 : 전체 49례중 전형적인 양상인 stretched type은 24례$(49\%)$에서 관찰되었으며, sling type은 5례$(10\%)$, detached sling type은 2례, 그리고 concealed type이 1례 관찰되었으며, 회전근 개 파열이 이두박건 장두 부위까지 연장된 8례를 포함한 17례 $(35\%)$의 경우 그 양상을 확인 할 수 없었다. 결론 : 관절내 이두박건 장두의 내측전위를 방지하고 활주를 유도하는 이두박건 활차의 형성, 발달 및 증상의 유발에는 견관절의 병변 및 체상운동의 정도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견관절 역행성 인공관절 치환술의 원칙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Where we are? "Principles")

  • 노규철;서일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05-110
    • /
    • 2011
  • 목적: 견관절 역행성 인공관절 치환술의 합병증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최신의 예방 및 치료 방법을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기존의 구속형 인공관절 기구 (구-소켓 관절 혹은 역행성 구형 관절 디자인)는 견갑골의 외측에 회전 중심이 유지되어 제한된 관절 운동과 관절와 기구에 발생한 과도한 회전력으로 인해 조기 해리를 유발하여 실패해왔다. Grammont 역행성 인공관절 기구는 삼각근이 작용하는 새로운 생역학적 환경을 도입하여 회전근개 결손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과: 임상적 경험이 생역학 개념에 부응하면 역행성 인공관절은 회전근 개 결손 견관절 환자에서 $90^{\circ}$이상의 능동적 거상을 회복하게 한다. 그러나 외회전은 특히 소원근 지방침윤 내지 결손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종종 제한이 남는다. 내회전 역시 역행성 인공관절 후에는 거의 회복되지 않는다. 삼각근에 충분한 긴장을 회복하지 못하면 인공관절 불안성이 초래된다. 결론: 인공관절 치환술 후 재수술에서 그 결과는 예측가능성이 떨어지고, 합병증 및 재치환술 비율이 더 높음을 인지해야만 한다. 합병증을 인지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정의와 평가 지침을 포함한 표준화된 감시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