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growth

검색결과 1,780건 처리시간 0.03초

Production of a Phytotoxic Compound, 3-Phenylpropionic Acid by a Bacterial Endophyte, Arthrobacter humicola YC6002 Isolated from the Root of Zoysia japonica

  • Chung, Eu-Jin;Park, Joo-Hwang;Park, Tae-Soon;Ahn, Jong-Woong;Chung, Young-R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45-252
    • /
    • 2010
  • An endophytic bacterial strain, Arthrobacter humicola YC6002, was isolated from a surface sterilized root of Korean turf grass (Zoysia japonica) collected from Jinju, Korea. This strain showed inhibitory effect on germination and shoot growth of radish. The inhibition of germination and shoot growth of radish seeds varied depending on the age of culture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it was incubated. The culture filtrate of 1/10-strength Tryptic Soy Broth medium, incubated for 48 hours at $30^{\circ}C$,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radish seed germination and shoot growth (92% inhibition as compared to control). The active compound with seed germination and shoot growth inhibition was purified and identified as 3-phenylpropionic acid. The purified compound had 53% and 93% inhibitory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shoot growth of radish for 500 and 1000 ppm solutions, respectively.

Microprogation And Environment Conditions Affecting On Growth Of In Vitro And Ex Vitro Of A. Formosanus Hay

  • Ket, Nguyen-Van;Paek, Kee-Yoeup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6-7
    • /
    • 2002
  •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effectiveness of in vitro culture method for A. formosanus and study the environment in vitro conditions affecting on growth. The first series of experiments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three different basal media, MS (Murashige and Skoog, 1962), Knudson (KC; Knudson, 1946) and modified hyponex on growth and multiplication during in vitro culture. Multiple shoot proliferation was induced in shoot tip explants on Hyponex (H3) media supplemented with BA (1 mg1$^{-1}$) or TDZ (1-2 mg1$^{-1}$). Addition of activated charcoal (1%) to the TDZ containing medium promoted rapid shoot tip proliferation (11.1 shoots per explant) but the same medium had an opposite effect resulting in poor proliferation in the nodal explants. However, the regenerated shoots had slow growth rate and failed to elongate. This problem was overcome by transferring the shoot clumps to a hormone free H3 media supplemented with 2% sucrose and 0.5% activated charcoal. Using bioreactor culture for scaling up was also shown the best way for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growth of this plant.(중략)

  • PDF

울금의 경정배양에 의한 기내번식 (In vitro Propagation using Shoot Tip Culture of Curcuma longa L.)

  • 최성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38-441
    • /
    • 2003
  • 울금의 기내대량번식을 위한 경정배양에 알맞은 기본배지의 종류와 기내증식 및 생장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농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울금의 경정은 MS(Murashige and Skoog)기본배지에 치상한 경우 Wanspojen, LS, White 배지보다 shoot와 root의 형성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기내의 유식물체 생장은 오옥신(NAA 0.5-l.0 $\textrm{mg}/\textrm{l}$)과 사이토키닌(BA 1.0-5.0 $\textrm{mg}/\textrm{l}$) 혼용처리가 효과적이었다.

Eucalyptus pellita의 기내(器內) 줄기생장에 미치는 LEDs (Light-emitting diodes) 및 환기처리(換氣處理)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and Ventilation on the in vitro Shoot Growth of Eucalyptus pellita)

  • 김지아;문흥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16-722
    • /
    • 2006
  • Eucalyptus pellita 기내줄기를 재료로 광질에 따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줄기의 생장은 광질보다는 환기처리가 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기처리 한 청색광(blue LED) 하에서 묘고, 잎수, 절간수 및 액아수가 양호하였고, 잎에 캘러스가 형성되지 않았다. 식물체의 충실정도를 나타내는 건물율 역시 환기처리 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청색광 하에서 가장 높은 건물율을 나타냈다. 광질별 총엽록소 함량은 형광등과 혼합광 R5B5(50% red LED + 50% blue LED)에서 $24.5{\mu}g/g$$20.1{\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합성에 관여하는 카로티노이드 함량 역시 적색광(red LED)을 제외한 모든 광질에서 환기 처리 시 양호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 pellita의 기내 줄기생장은 환기처리가 중요하고,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을 기준으로 볼 때 혼합광 R5B5에서 건전한 줄기생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액아배양(腋芽培養)에 의한 신품종(新品種) 대추나무의 실용적(實用的)인 대량증식(大量增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Practical Micropropagation of Juiube Cultivars through Axillary Bud Culture)

  • 김덕식;이세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45-452
    • /
    • 1988
  • 조직배양(組織培養)에 의(依)한 대추나무 신품종(新品種) 실용적(實用的)인 대량증식방법(大量增殖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액아(腋芽)를 이용(利用), 기내생장(器內生長) 및 야외순화(野外馴化)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BAP 0.5mg/l가 들어있는 1/2MS배지(培地)에 charcoal을 첨가(添加)하여 기내생장(器內生長)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금성(錦城)'의 경우(境遇) charcoal 500mg/l 처리(處理)하였을 때 줄기의 신장(伸張) 및 발생(發生)된 줄기의 수(數)가 각각(各各) 6.4cm, 10개(個)로 가장 높았고 '복조(福棗)'에서는 1,000mg/l 처리시(處理時) 7.5cm, 12.4개(個)로 가장 좋았다. 2. 조사(調査)한 IBA 농도중(濃度中), 그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발근율(發根率) 및 callus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며, IBA 1.0mg/l 처리구(處理區)에서 줄기의 생장(生長)이 가장 좋았다. 3. 조직배양(組織培養)에 따른 생장반응(生長反應)의 차(差)를 조사(調査)한 바, '금성(錦城)'의 경우(境遇) 발생(發生)되는 줄기수에 있어 액아(腋芽)가 정경(頂莖)보다 2배(倍)정도 많았으나 '복조(福棗)'에서는 정경(頂莖)이 줄기신장(伸張) 및 발생(發生)되는 줄기수(數)에 있어 액아(腋芽)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기내(器內) 배양묘(培養苗) 순화시험(馴化試驗)에서는 근원기(根原基)만 형성(形成)된 묘(苗)가 활차율(活差率)이 97.8%로 발근묘(發根苗)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5. 온실내(溫室內) 삽목시험(揷木試驗)에서는 paclobutrazol 처리(處理)가 발근율(發根率) 및 뿌리생장(生長)에 있어 IBA, NAA, $Rooton^{(R)}$ 처리구(處理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블루베리의 미세번식에서 배지와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 (Influence of Medium and Plant Growth Regulator on Micropropagation Efficiency in Blueberry)

  • 김화영;강순필;홍세진;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7-172
    • /
    • 2015
  • 본 연구는 조직배양을 이용한 효율적인 블루베리의 묘생산 체계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신초형성을 위한 초대배양을 위해서는 WPM 배지가 MS 배지보다 신초형성률, 마디수, 신초장 등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식물생장 조절제가 신초형성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zeatin(1, $2mg{\cdot}L^{-1}$), 2iP(10, $15mg{\cdot}L^{-1}$), 그리고 BA(4, $6mg{\cdot}L^{-1}$)를 처리하였으며, 신초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zeatin($0.5mg{\cdot}L^{-1}$), 2iP(10, $15mg{\cdot}L^{-1}$), 그리고 BA($0.05mg{\cdot}L^{-1}$)를 처리하였다. 신초형성에 미치는 결과는 zeatin 처리가 신초형성률, 마디수, 신초장 등에서 유의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반면 무처리와 BA 처리에서는 신초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2iP 처리의 경우 신초형성률이 낮았다. 기내 삽목으로 생산된 블루베리 신초의 계대배양에 있어 신초 발생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zeatin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신초의 형성률과 형성된 신초의 개수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zeati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초의 마디수는 증가하나 신초장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신초증식을 위한 적정한 zeatin 농도는 $0.5mg{\cdot}L^{-1}$ 였다.

Cucurbita foetidissima 와 Asclepias syriaca의 정단배양을 통한 기내 대량증식 (Micropropagation of Cucurbita foetidissima and Asclepias syriaca through Shoot Tip Culture of Seeding)

  • 염미란;이선교;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3-69
    • /
    • 2000
  • Buffalo gourd의 기내배양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기내 발아, 증식, 발근에 적합한 생장조절제와 배양환경 조건을 구명코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Buffalo gourd의 종자는 암상태가 명상태 보다 더 높은 발아율을 얻을 수 있었다. BA 1.0 mg/L에 IAA 0.3-0.6 mg/L가 혼용처리된 MS 배지에서 신초증식 및 생육이 가장 양호했고 kinetin과 2iP는 신초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증식을 위한 적정배양 온도는 22-$25^{\circ}C$ 였다. 기내발근은 오옥신 첨가로 쉽게 유도되었는데 특히 IBA 1.0-2.0mg/L 및 IAA 2.0mg/L 단용처리가 기내 발근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지상부 생장도 양호하였다. 발근된 신초를 포장에 이식한 결과, 생존율이 90%이상에 달하였다. Common milkweed의 종자를 기내 파종하여 명상태에서 발아시킨 결과, 발아율이 71.2%로 비교적 높았다. 전반적으로 BA가 다른 사이토키닌 보다 기내생장에 더 효과적이었으나, 농도에 따라 효과는 달랐다. BA 3.0mg/L에 IAA 0.3 mg/L 혹은 0.6mg/L 혼용처리하는 것이 신초 생체중, 마디수의 증가에 효과적이었고 2iP는 신초신장에 효과적이였다. Com-mon milkweed의 기내생장은 온도에 아주 민감하였는데, 22 $^{\circ}C$에서 생장이 양호한 반면 $25^{\circ}C$ 이상에서는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Common milkweed의 경우 기내 발근율이 매우 저조하였는데 배양전 신초를 IBA 10.0~100.0 mg/L용액에 30~120분간 처리 후 MS배지에 접종하였을 경우 발근율이 4~5%로 매우 낮았다.

  • PDF

생장점배양에 의한 우량마늘 체계적 증식 1.생장점배 양으로부터 기관형성 (Systematic Propagation of High Quality Garlic (Allium sativum L.) Through Shoot Apical Meristem Culture 1. Organogenesis from in Vitro Cultured Shoot-tips)

  • Lee, Eun-Mo;Lee, Young-Bok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1-166
    • /
    • 1994
  • 본 연구는 마늘 무병우량종구의 효율적인 생산, 증식 및 보급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지형 서산종 마늘의 생장점 배양시 기관분화에 미치는 배양 온도, 배양시기, 생장조절물질 및 저온처리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동절기의 생장점 배양은 28/2$0^{\circ}C$의 변온 조건에서 배양하는 것보다 24$^{\circ}C$ 항온조건에서 배양하는 것이 생존율 및 shoot 형성과 생장이 양호하였다. 마늘인편 휴면기인 7, 8월에는 kinetin 2 mg/L와 NAA 0.1 mg/L을 첨가한 배지에서 생존율 및 shoot의 생장이 양호한 반면에, GA$_3$ 1 mg/L 첨가한 배지는 억제되었다. 또한 휴면기에는 생장점 배양 전 종구를 15-60일간 4$^{\circ}C$에서 저온처리 함으로서 shoot 생장 및 발근을 촉진시켰으며, 또한 구형성 배지에 계대배양시 저온처리기간이 증가할수록 기내인경구 형성 및 비대를 촉진하였다.

  • PDF

주간 절단시기 및 생장조절제를 이용한 '후지'/M9 사과나무 수관 상단부 생장조절 (Growth Control of Upper Part in 'Fuji'/M.9 Apple Tree Canopy by Cutting Time of Trunk and Plant Growth Regulators)

  • 사공동훈;이재왕;윤태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96
    • /
    • 2018
  • BACKGROUND: The vigorous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apple tree canopy leads to poor fruit quality and flower bud formation in lower part of canopy.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proper control method about the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apple tree canopy. METHODS AND RESULTS: Trunks of 'Fuji'/M9 apple trees were cut (back pruned) to 2.5 m in tree height on 11 February (dormant) or 12 April (full bloom). Naphthalene acetic acid (NAA) was applied at 2.0% to cut surface when trunk was pruned. Prohexadione-calcium (Pro-Ca) was sprayed at 250 mg/L above 2.0 m in tree height at 23 April (petal fall). The NAA or Pro-Ca application after trunk was pruned at dormant (TR-2 and TR-3) significantly reduced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canopy compared with the control (tree was only pruned at dormant, TR-1), but the percent of shoots showing the secondary growth of TR-3 was higher over 2 times than that of TR-2. The reduction of shoot growth in upper part of canopy by TR-2 and TR-3 increased the fruit red color from the lower part in the treating year and blooming of the lower part in the following year. CONCLUSION: Applying 2.0% NAA to cut surface of pruned apple trunk at dormant was the most effective way for stabilization of the tree vigor in upper part of the canopy in a high density apple orchard.

직파(直播) 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 연구(硏究) - 2. 영양(營養) 조건(條件)에 따른 약해(藥害)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seeded Rice - 2. Phytotoxicity of Herbicide with Nutrient Condition)

  • 임일빈;구정건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30
    • /
    • 1997
  • 담수 직파 벼에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초제들의 영양(營養) 유무(有無)에 따른 약해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methyl, pyrazosulfuron-ethyl 및 imazosulfuron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보다 근부(根部)의 생육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영양(營養) 조건 재배에서 무영양(無營養) 조건의 재배에서보다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또한 영양(營養) 재배와 무영양(無營養) 재배에서 벼 생육 억제율(抑制率)의 차이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가장 컸다. 2. Dimepiper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 근부(根部) 모두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 생육 저해 정도가 컸으며, 근부(根部)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특히 초장신장이 크게 억제되었다. 3. Molinate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율(抑制率)이 근부(根部)보다 컸으며 경엽부(莖葉部)는 영양(營養)조건에서, 근부(根部)는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 생육 억제율(抑制率)이 큰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