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ps anchored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진해만 태풍 피항 선박의 주묘 한계 풍속에 관한 연구 (Minimum Wind Speed of Dragging Anchor for Ships in Jinhae Bay Typhoon Refuge)

  • 강병선;정창현;박영수;공길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4-482
    • /
    • 2021
  • 우리나라는 지리적 위치와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필리핀이나 대만 근처에서 전향한 태풍이 매년 평균 2~3개 통과한다. 진해만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태풍 피항지로 알려져 있으며, 태풍 내습 시 피항 선박들로 가득차고 나중에는 주변 항로까지 묘박한 선박들로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묘박중인 선박이 강풍으로 주묘가 발생될 경우에는 선박 간 이격거리가 짧아 충돌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진해만의 체계적인 묘박 안전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묘박지 수심에 따른 선박 톤수별 주묘 한계 풍속을 제시하였다. 수심 20 m에서는 묘쇄를 7~9 Shackles 신출하였을 때 주묘 발생 한계 풍속은 48~63 knots, 수심 35 m에서는 46~61 knots, 수심 50 m에서는 39~54 knots로 평가되었다. 수심이 증가하면서 외력에 의해 파주부가 5 m 미만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주묘가 발생하는 한계 풍속은 4~8 knots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고파주력 앵커(AC-14형)가 설치된 선박이 재래형 앵커(ASS형)가 설치된 선박보다 주묘 한계 풍속이 더 크게 평가되었지만, 수심이 50 m로 깊은 곳에서는 고파주력 앵커를 사용하더라도 주묘가 쉽게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acrofouling Communities on Ocean-going Ships in the Far East Sea Basin

  • Moshchenko, Alexander V.;Zvyagintsev, Alexander Y.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63-75
    • /
    • 2001
  •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fouling found on the hulls of 28 ships traveling through 6 main shipping routes (SR)in the Far East Sea Basin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amples obtained during 1976-1990 expeditions of the Institute of Marine Biology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s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hips anchored in the harbor by SCUBA diving and in dry-docks of the Vladivostok ship-repairing yard. Similar composition of the fouling communities occurred on the ships travelling the same SR. In five cases, fouling was dominated by different Cirripedia communities. And, in one case, a community of the mussel Mytilus trossulus was found. In most cases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es showed extremely low lev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animals and algal species in fouling communities. Each ocean-going ship had an original structure of the fouling. Spatially disconnected animal associations of tropical and boreal origin may simultaneously coexist at the same ship. This paper testified to the originality of the zone of anthropogenic substrata as a benthos concentrator in the pelagic regions of the world ocean. The fouling from different zones showed that each zone possesses peculiar features and regularities of the composi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organisms dwelling here.

  • PDF

인천항의 선박오염원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의 확산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from Ship Based Sources in Incheon Port)

  • 김광호;권병혁;김민성;이돈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88-496
    • /
    • 2017
  • 선박의 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는 최근 IMO/MEPC(국제해사기구/해양환경보호위원회)를 통해서 진행 중이다. 선박오염원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은 국지적인 요인에 의해서 연안지역을 비롯하여 육지로 확산될 수 있다. 인천과 같이 선박 배출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있는 항구 도시에서 선박오염원 조절은 연안지역의 대기질 관리정책을 효율적으로 고안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연안지역의 대기오염물질 중 선박에 의한 NOx와 SOx의 농도는 전체 NOx와 SOx 농도의 각각 14 %와 10 %를 차지한다(NIER, 2008). 연안도시지역의 대기질은 국지적인 순환에 의존하는 오염물질의 확산 경향과 선박의 수에 영향을 받는다. 선박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된 오염물질의 확산을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의 기상장을 기초로 CALPUFF(California Puff model)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안도시지역의 대기확산모델은 정박한 선박과 입 출항하는 선박으로 나누어 각각 점오염원과 선오염원으로 구분하여 모의하였다. 선박척수 82~84척을 기준으로 NOx의 총 평균 배출량은 입 출항시 각각 6.2 g/s, 6.8 g/s이었고, SOx의 총 평균 배출량은 입 출항시 각각 3.6 g/s, 5.1 g/s 이었다. 정박 중인 선박의 NOx와 SOx에 대한 총 평균 배출량은 각각 0.77 g/s, 1.93 g/s이었다. 육풍의 영향으로 인하여 인천항으로부터 내륙으로 진행되는 오염물질의 수송이 억제되었고, 내륙의 SOx와 NOx 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원인이 되었다. 해풍에 의해 NOx와 SOx가 내륙으로 확산되었고, 내륙의 NOx와 SOx의 농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인천항과 인접한 지역의 오염물질의 농도는 해륙풍의 영향보다 인천항에 정박 중인 선박오염원에 의한 영향이 더욱 크게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연안도시지역의 대기질 정책고안과 배출기준을 정하는 것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진해만 태풍 피항지 정박 선박간 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nchored Ships in Jinhae Bay Typhoon Refuge)

  • 강원식;김지윤;김대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8-347
    • /
    • 2023
  • 진해만은 태풍 내습 시 피항 선박이 폭주하고 강한 바람 등의 영향으로 주묘가 자주 발생하며 이에 따른 선박 간 충돌 및 좌초 등 해양사고 발생 개연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역 특성에 맞는 진해만 정박지의 선박 간 안전이격거리 설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해만 태풍 피항지에는 태풍 내습 시 평균 100 ~ 200여척의 선박이 정박을 하고 있으며 풍속이 25m/s 이상되는 강한 외력에서 전체 선박의 약 70%에 주묘가 발생하는 상황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설계기준 상 제시된 황천 시 정박 선박간 이격거리, 실제 피항지로서 사용된 진해만 피항선박 간 이격거리, 강한 외력에 따른 선박 표류 시 적정 안전거리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설계기준 상의 최소 기준과 비상조치 시간을 고려하여 약 400 ~ 900m의 안전이격거리가 필요하며, 공간상의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700 ~ 900m 이격거리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진해만 피항지를 이용하는 선박에 대해 선박간 안전 이격거리를 위한 지침 수립 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상도 남부지역 연해 군현과 수군영진의 선소(船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ipyard of the Costal Counties and the Naval Castle in the Southern Gyeongsang-do)

  • 권순강;이호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2호
    • /
    • pp.7-18
    • /
    • 2019
  • The Chosun Dynasty established and implemented measures to prevent Japanese invasion into the southern coast. To this end, the number of naval vessels and the number of ships were increased, and a shipyard(船所) was constructed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vessels. The shipyard is a port facility where military vessels are anchored and repaired, as well as public facilities that are needed for military training on public and land, as well as facilities for storing supplies and equipment needed for ships on land and defense at the port entrance. Despite being such an important facility for national defense, Shipyard has not been noticed.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ition of shipyard is divided into the riverside type and the riverbank type, which is due to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Korea. The repair cycle of naval vessels, the carrying out of Yeonhun(prevent the water from decaying the part of the ship, a raw tree was burned to smoke) and the place of sea training also affected the construction of the Gul River(掘江). The space structure of shipyard is divided into port entry facilitie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t the entrance to the harbor, border facilities for folding and repairing military vessels, and land facilities for holding land exercises and administrative work of military vessels and military equipment.

해상 상태를 고려한 모바일하버용 크레인의 구조최적설계 (Structural Optimization of the Mobile Harbor Carne Considering Sea State)

  • 이재준;임원종;정성범;정의진;박경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7-36
    • /
    • 2012
  • 모바일하버는 선박의 대형화로 인하여 항만에 접안 및 정박이 불가능하거나 선박의 접안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등 항만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이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해상에 있는 선박에 다가간 후, 모바일하버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에 컨테이너를 직접 상, 하역작업을 하도록 고안되었다. 모바일하버용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치로써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하버용 크레인의 형태들을 제시하고 각 형태에 따른 구조최적설계를 실시하였다. 불안정한 해상으로부터 발생되는 횡동요 및 종동요와 바람에 의한 풍하중을 최적설계의 하중조건으로 하였다. 또 한국선급 및 각각의 규정들을 최적설계의 제한조건으로 하여 규정을 만족하면서 경량화된 크레인 구조를 최적화하였다.

화성 당성 유적 일대의 지형 조사 및 퇴적물 분석을 통한 고환경 변화 및 고대 포구 입지 가능성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of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 and Possibility of Ancient Port Location Through Geomorphological Survey and Sediment Analysisin Hwaseong City)

  • 한민;양동윤;임재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41
    • /
    • 2017
  • In this study,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ancient port location near Hwaseong Dangseong.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ound Eunsupo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of past and present topographic maps and field survey. Grain size, age dating, and geochemical analysis on surface sediments and borehole sediments were performed. Through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it was interpreted that Eunsupo area was submerged in seawater especially at high tide in the past, and that ships could approach to the inside of the area through the tidal channel which were developed in the area. It is also assumed that ships were anchored at a low elevation point in the area.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 in the area was analyz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edimentary environment using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rface and borehole sediments and geochem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geomorphological interpretation for the possibility of ancient port location coincided well with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 interpreted through sediment analysi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estimating ancient port lo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accurate paleo-environmental changes will be restored through detailed geomorphological survey and additional borehole analysis in the future research.

SWOT/AHP 분석을 통한 전략적 AMP 설치 활성화 방안 (Strategic Vitalization Method of AMP Installation through SWOT/AHP Analysis)

  • 김인호;이강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9-60
    • /
    • 2019
  • Recentl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becomes so bad, which seriously threatens the health and even the life of people. So, government started to investigate several ways to reduce the amount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From a few years ago it has been known that ships anchored at port emit a lot of pollution and seriously affect air quality of neighboring cities. To reduce the pollution emitted by ship AMP (Alternative Maritime Power Supply) has been proposed, which uses the electricity instead of bunker C oil or diesel. Many developed countries already installed AMP to improve air quality in port area. Korea is in the stage of planning to install AMP at port. However, there are many complicated problems to be handled before AMP installation. Due to huge initial cost and long period of construction ship owner and habour operating company are reluctant to AMP installation. And there are serious technological difficulties in constructing AMP in existing harbour. Lack of AMP core technology and operational difficulties of AMP are also big challenges to be conquered. In this study SWOT/AHP method is used to find strategic and efficient ways to handle above complicated challenges and then to vitalize the AMP installation.

항만 감시를 위한 수중 강자성 표적 탐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ction of Underwater Ferromagnetic Target for Harbor Surveillance)

  • 김민호;주웅걸;임창선;윤상기;문상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0-357
    • /
    • 2015
  • Many countries have been developing and operating an underwater surveillance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ir oceanic environment from infiltrating hostile marine forces which intend to lay mines, conduct reconnaissance and destroy friendly ships anchored at the harbor. One of the most efficient methods to detect unidentified submarine approaching harbor is sensing variation of magnetism of target by magnetic sensors. This measurement system has an advantage of high possibility of detection and low probability of false alarm, compared to acoustic sensors, although it has relatively decreased detection range. The contents of this paper mainly cover the analysis of possible effectiveness of magnetic sensors. First of al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urveillance area and magnetic information of simulated targets has been analyzed. Subsequently, a signal processing method of separating target from geomagnetic field and methods of estimating target location has been proposed.

회귀분석을 이용한 주묘 위험성 평가 입력요소 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ing Input Values for Dragging Anchor Assessments Using Regression Analysis)

  • 강병선;정창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22-831
    • /
    • 2021
  • 선박의 주묘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지만 선박의 제원에 해당되는 다양한 입력요소들을 직접 찾아서 입력해야 하므로 VTS 관제사가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들로부터 이러한 입력요소들을 모두 확인하여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TS 관제사 입장에서 선박으로부터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총톤수(GT)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프로그램 입력요소들을 종속변수로 하여 선형 및 비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항식 모델(선형)과 멱급수 모델(비선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경우에는 모든 입력요소에서 멱수급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탱커선의 경우에는 수선간장, 선폭, 흘수는 멱수급 모델이 적합하고, 정면풍압면적, 앵커의 무게, 의장수, 묘쇄공으로부터 선저까지의 높이는 다항식 모델이 더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탱커선의 정면풍압면적 요소를 제외한 다른 나머지 종속변수들은 모두 결정계수가 0.7 이상으로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따라서 주묘 위험성 평가 프로그램의 입력요소 중 외력 요소, 해저 저질, 수심 및 앵커 체인의 신출량을 제외한 나머지 입력요소들은 선박의 총톤수만 입력하면 회귀분석 모델식에 의해 자동으로 입력됨으로써 주묘 위험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